구글 검색은 죽어가고 있나? 🤔 | 검색시장의 미래

검색시장의 미래는 어떻게 변화할까요?

2024.01.21 | 조회 732 |
0
|

ai hacks

지금 당장 활용할 수 있는 흥미로운 사례들을 공유합니다.

 

🌐 구글 검색은 죽고 있다?

 

사진을 클릭하시면 원본 링크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사진을 클릭하시면 원본 링크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Google Search Is Dying"이라는 제목의 해당 글은 댓글만 무려 1500개가 넘는, ycombinator의 HackerNews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은 글 중 하나입니다.

 

글의 핵심만 요약해보자면:

 

💡 구글 검색은 죽고 있다. 나만의 의견이 아니다(Ex. Daniel Gross, Ask HN: Has Google search become quantitatively worse?, Michael Seibel, Paul Graham 등)

 

💡 구글 검색이 죽고 있는 이유:

- 광고: 구글의 CEO 둘은 "광고로 지원되는 검색 엔진은 본질적으로 광고주에게 편향되고 소비자의 필요로부터 멀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그들의 박사논문에서 언급했다.

-SEO 악용: SEO를 분석하여 검색순위를 높이는 시장이 형성될 정도로 있음. SEO만 높이고 컨텐츠는 부실한 내용들이 점점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AI(봇 컨텐츠): AI로 생성된 컨텐츠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외국에서는 (음모론에 불과하긴 하지만) 구글 브라우저에서 대부분의 활동은 봇이 하고 있고 웹사이트 대부분은 자동생성된 컨텐츠라는 이야기도 돌고 있을 정도 관련문서(Dead Internet Theory)

 

💡 구글보다는 "진짜" 사람들이 있는 레딧(인터넷 커뮤니티)이 답이다!

 

정도로 요약해볼 수 있습니다. (인상깊게 읽은 글이라 시간이 되신다면 직접 원문을 읽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그럼 구글이 정말 망하고 있는 건가요?

 

출처: Oberlo
출처: Oberlo

 

음.. 그건 아닌 것 같습니다. 구글은 여전히 점유율 90%를 넘게 검색시장을 장악하고 있습니다. (저번에 소개한 빙은 3% 밖에 안 되네요..ㅎㅎ)

 

구글은 분명 엄청난 검색 엔진입니다. 그렇기에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겠죠.

그럼에도 저는 위 글을 읽으며 굉장히 공감이 많이 갔는데요, 요즘에 광고 혹은 광고로 빙자한 컨텐츠들이 쏟아져 나오고, 제가 찾고자 하는 주제에 대한 글들을 잘 찾지 못하는 경험들을 많이 해서 그랬던 것 같습니다.

 

그때부터 다른 대안은 없을까를 대해 고민을 하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검색과 관련하여 이것저것 인터넷에 검색하며 몇 가지 흥미로운 제품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아래에서 제가 직접 사용해본 4가지 AI 검색 서비스들을 소개해보겠습니다.

 

 


 

 

🚀 Next Google? | 새로운 시도를 하는 기업들

지금부터 구글의 대안이 될 수 있는 스타트업의 서비스들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봅시다. (전부 지금 바로 사용해보실 수 있습니다! 각 번호 끝에 링크를 첨부했습니다)

 


 

1️⃣ 고품질 검색 | Kagi

처음 소개드릴 서비스는 kagi라는 검색엔진인데요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보자면:

 

💡 광고가 없습니다

네, 검색 엔진인데 광고가 없습니다.

대신 부분 유료 (기본 사용 초과 사용시 월10달러) 입니다.

광고가 없다는 것은, 돈을 주고 만든 컨텐츠들을 상단에 올릴 의무가 없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페이지 자체가 굉장히 깔끔하고 검색결과 또한 구글과 다릅니다. 직접 예시를 통해 보여드리겠습니다:

구글과 비교했을 때 광고나 저품질 컨텐츠에서 벗어나 좀 더 organic한 포스팅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빠른 답변

검색 화면 오른쪽에 있는 ‘빠른 답변’을 누르면 kagi의 언어모델이 여러 문서를 참조하여 답변을 해주는데 퀄리티가 상당히 좋습니다.

???: 구글에도 그거 있잖아

 

네 맞습니다. 사실 구글에도 있는 기능인데요,

 

Search Labs 버튼을 누른 후

SGE, 생성형 AI 검색을 활성화하면 구글에서도 검색어에 대한 요약을 해줍니다.

 

 

음 구글 역시 나쁘지 않은 퀄리티입니다.

다만 굳이 차이점을 꼽자면 kagi의 출처를 보면 SEO가 가장 높지 않지만 참고할 만한 여러 웹사이트를 바탕으로 더 구체적으로 답변한 걸 볼 수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kagi의 빠른 답변이 더 만족스러웠습니다.

 

 

💡 웹을 요약하다: Kagi Summarizer

kagi는 kagi summarizer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요, 설명을 보면 인터넷에 있는 어떤 컨텐츠든 요약을 해준다고 돼 있는데요. 설명 그대로 유튜브든 아티클이든 텍스트든 무엇이든 요약을 해주는 툴입니다. 요약 타입은 Summary와 Key Moments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Summary는 한 문단으로 압축요약을 해서 좀 더 짧은 편이고 Key Moments는 더 길게 요약을 해줍니다.

 

Key Moments를 예시로 보여드리겠습니다.

한국어로 요약해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궁금증 때문에 최근에 적은 블로그 글을 요약시켜봤습니다.

 

한 5~10초만에 이렇게 요약해줬는데.. 솔직히 정말 놀랐습니다. 저는 AI 요약 서비스들을 많이 쓰는 편인데 그중에서도 손에 꼽을 정도로 깔끔하게 요약해주네요.

어떤 형태의 웹사이트든 요약해줄 수 있는 서비스 중에 (심지어 한글 지원까지) 이 정도로 퀄리티 좋은건 kagi summarizer밖에 없다고 봅니다.

요약 화면아래에는 Discuss Further라는 버튼이 있는데 질문을 하면 웹사이트 내용을 바탕으로 정확하게 답변해줍니다. 정말 유용한 것 같습니다.

 


 

 

2️⃣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정답을 찾다 | thegigabrain

 

레딧(reddit)은 사용자가 컨텐츠를 공유하고 투표하며 토론할 수 있는 전세계에서 가장 큰 소셜 뉴스 웹사이트입니다. 레딧에는 서브레딧이라는 하위 레딧들이 있는데 각 서브레딧에는 그 분야에 관심이 있는 매니아들이 모이게 되죠. 때문에 서브레딧의 중심을 이루는 커뮤니티원들은 평균적인 사람들보다 그 분야에 대해 훨씬 많이, 자세히 알고 있습니다.

 

만약 이들의 인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thegigabrain은 아마 맨 위에 언급한 블로거가 애용할 서비스일 것 같은데요,

사용자의 질문에 대해 레딧의 포스팅과 댓글을 기반으로 답해주는 AI 서비스입니다.

thegigabrain은 구글과 어떤 면에서 다를까요?

레딧의 포스트와 댓글은 그 분야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의 대화와 토론에서 나온 인사이트입니다. 때문에 더 진정성 있고 신뢰성 있는 답변을 얻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커뮤니티 특성상 쉽게 접할 수 있는 책이나 웹사이트에 비해 훨씬 최신화 돼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사실 다른 글에서 자세히 설명한 적이 있는데요, 더 자세한 설명과 사용법을 알고 싶으신 분들은 해당 글을 참고해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www.aihacks.kr/레딧의-데이터를-기반으로-답변해주는-ai-gigabrain/

 


 

3️⃣ ChatGPT보다 빠른, 정확한, 똑똑한 | Perplexity AI

 

Perplexity AI는 언어모델에 웹검색을 장착한 AI 서비스입니다.

 

최근에 1000억 가까이 투자를 받아 화제가 됐는데요, 정말 미래의 검색은 이런 형식이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을 불러일으키는 서비스입니다.

 

💡 Copilot 기능

여기서 Copilot 기능이 재미있는데 Copilot 기능을 켜면 일반 검색엔진과 달리 여러 단계를 거쳐 최종답변을 내놓습니다. 때문에 품질이 정말 향상되는데, 제가 던진 질문에 무려 23개의 출처를 바탕으로 상세히 답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Focus & Attach 기능

또 눈여겨 본 기능으로 Focus와 Attach 기능이 있었는데

Focus 기능의 경우 본인이 찾고자 하는 웹사이트 안에서만 검색할 수 있어 더 자세하고 목적에 맞는 답을 들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학적인 지식을 물어본다면 Wolfram Alpha를 쓰는 게 유리한 것이죠.

Attach 기능은 이미지, 텍스트/pdf 파일을 올렸을 때 답변해주는 툴입니다.

 


 

4️⃣ 내가 가장 신뢰하는 전문가로부터 답을 듣다 | DEXA

인터넷 커뮤니티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과 의견을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출처가 불분명하다는 단점 또한 있습니다. 때문에 우리는 중요한 문제가 있을 때 전문가의 신뢰성 있는 답변을 원하는데요, 최근에 발견한 AI 서비스 중에 인상깊었던 DEXA를 소개하겠습니다!

 

DEXA는 렉스 프리드먼, 앤드류 후버만 등 해외의 유명한 팟캐스트들에서 나온 스크립트를 추출하여 그 스크립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질문에 답해주는 서비스입니다.

 

 

ai hacks 뉴스레터인 만큼 AI 관련 질문을 한 번 던져봤습니다. (참고: AGI는 한국어로 치면 "강인공지능"으로 사람마다 정의가 다 다르지만 일반적인 정의는 "모든 과제에서 인간보다 수행능력이 뛰어난 인공지능"을 이야기합니다.)

 

이렇게 답변을 주는데요, 영어가 불편하신 분들을 위해 한국어로 번역해서 다시 보여드리겠습니다. (참고로 마우스 우클릭->한국어로 번역 하면 웬만한 사이트는 잘 번역이 됩니다)

 

답변 내용은 살짝 뻔하..지만 ChatGPT나 다른 AI 서비스에 비해 교과서적으로 답하기 보다는 여러 팟캐스트를 바탕으로 답변하는 것이 굉장히 인상깊습니다.

 

💡 정말 팟캐스트에서 갖고 온 거 맞아?

AI의 큰 문제 중 하나는 할루시네이션(환각)효과인데요, 요즘 많은 AI 스타트업/기업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확한 출처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발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DEXA의 경우에는 원클릭으로 팟캐스트 유튜브 클립(출처)을 볼 수 있습니다. 때문에 팟캐스트의 맥락이나 사실여부가 궁금하다면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2~3시간 짜리 팟캐스트를 그냥 틀어주는 것이 아니라, 정확히 답변에 참조되었던 부분에서 영상이 시작하는 것이 매우매우 좋았습니다.

 

정말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스타트업이고 정말 재밌는 제품인 것 같습니다 🙂

 


 

💻 끝으로...

물론 구글은 여전히 엄청난 기업이고, 검색시장의 대장이며 미래의 검색시장을 이끌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지금의 기조 대로만 유지할 사용자들은 새로운 서비스를 찾아 나서게 될 것입니다.

점점 새로운 시도를 하며 검색 시장을 노리는 스타트업/기업들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구글은 과연 1위의 왕관을 지킬 수 있을까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AI Hacks 뉴스레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구독하시면 2024-01 기준 유용한 AI 툴에 대한 설명과 사용법을 정리한 페이지를 제공해드리고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좋은 글로 또 찾아오겠습니다. 🙂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ai hacks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4 ai hacks

지금 당장 활용할 수 있는 흥미로운 사례들을 공유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