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뉴스

인간 뇌로 컴퓨터를 만든다..?

생물학적 컴퓨터 ‘CL1’ – 실리콘 한계를 넘다

2025.03.08 |
에이아이오너의 프로필 이미지

에이아이오너

AI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인간 뇌세포를 이용한 최초의 상용 생물학적 컴퓨터 ‘CL1’이 등장했다. 코티칼 랩스(Cortical Labs)가 개발한 이 혁신적인 기술은 뉴런을 실리콘 칩과 결합해 기존 AI보다 뛰어난 학습 능력과 에너지 효율을 보여준다. 이는 신경과학, 인공지능, 로보틱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첨부 이미지

CL1의 등장 – 인간 뉴런과 실리콘 칩의 결합

 

CL1은 실험실에서 배양한 인간 뇌세포(뉴런)를 실리콘 칩과 결합해 만든 최초의 상용 생물학적 컴퓨터이다.

  • 뉴런이 칩을 통해 전기 신호를 주고받으며 작동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 ‘Biological Intelligence 운영체제(biOS)’를 통해 가상의 디지털 환경을 구현한다.
  • 생명유지 시스템이 내장되어 뉴런이 최대 6개월 동안 생존할 수 있다.

 

첨부 이미지

 

기존 AI와의 차이점 – 뛰어난 학습 능력과 에너지 효율

 

CL1은 기존 실리콘 기반 AI보다 훨씬 효율적인 학습 능력을 보이며, 적은 에너지로도 강력한 연산을 수행한다.

  • 뉴런은 스스로 프로그래밍되며 빠르고 유연한 학습이 가능하다.
  • CL1의 전력 소비는 기존 AI보다 수천 배 낮아 친환경적이다.
  • 외부 슈퍼컴퓨터 없이 자체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 독립성이 뛰어나다.

‘DishBrain’ 실험 – 뉴런이 Pong 게임을 학습하다

 

CL1의 가능성은 이미 ‘DishBrain’ 실험을 통해 검증되었다.

  • 80만 개의 인간 및 생쥐 뉴런이 불과 5분 만에 Pong 게임을 익혔다.
  • 뉴런은 보상과 처벌을 통해 목표 지향적 작업을 수행하는 능력을 보였다.
  • 이 연구는 생물학적 뉴런이 스스로 신호망을 구성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첨부 이미지

CL1의 활용 전망 – 의학, 로보틱스, AI 연구

 

CL1은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 신약 개발 및 신경질환 연구에 활용되어 더 정밀한 생명과학 연구가 가능하다.
  • 로보틱스에 적용하면 스스로 학습하고 적응하는 지능형 로봇 개발이 가능하다.
  • 클라우드 기반 원격 사용 서비스(Wetware-as-a-Service, WaaS)를 통해 연구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첨부 이미지

생물학적 컴퓨팅의 미래 – 인간 두뇌와 닮은 AI

 

생물학적 컴퓨팅은 기존 실리콘 컴퓨팅의 한계를 뛰어넘을 가능성이 크다.

  • 궁극적으로 ‘최소 기능 뇌(Minimal Viable Brain)’ 개발을 목표로 한다.
  • 인간처럼 학습하고 적응하는 AI 기술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 윤리적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CL1은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인간과 기계의 경계를 허무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앞으로 이 기술이 어떤 방향으로 발전할지, 그 영향력은 상상 이상일지도 모른다.

 

첨부 이미지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에이아이오너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5 에이아이오너

AI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뉴스레터 문의aiowner777@gmail.com

메일리 로고

도움말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뉴스레터 광고 문의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사업자 정보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 | 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