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공지] Divided by Zero 멤버십 전환 안내 ☕️

허깅페이스는 왜 로봇회사를 인수하나?

오픈소스 영역의 확장?

2025.04.22 | 조회 117 |
0
|
from.
Essence
Divided by Zero의 프로필 이미지

Divided by Zero

Divided by Zero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IT테크, 스타트업 그리고 자본시장에 대한 2차적 사고를 공유합니다.

Divided by Zero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IT테크, 스타트업 그리고 자본시장에 대한 2차적 사고를 공유합니다.

오픈소스 AI의 성지, 허깅페이스(Hugging Face)가 최근 프랑스의 로봇 스타트업 폴렌 로보틱스(Pollen Robotics)를 인수했다는 소식이 지난주에 들려왔죠. 허깅페이스에게는 다섯 번째 인수지만, 하드웨어 기업 인수는 이번이 처음인데요. ‘머신러닝계의 깃허브’로 불리며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입지를 굳힌 허깅페이스가, 갑자기 왜 로봇, 그것도 하드웨어 회사를 품에 안은 걸까요?

여기에는 단순한 사업 확장을 넘어, AI의 다음 단계를 향한 허깅페이스의 야심 찬 전략이 숨어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첨부 이미지

오픈소스 AI 제국

먼저 허깅페이스가 어떤 곳인지 되짚어볼 필요가 있겠죠. 2016년 설립된 이 회사는 원래 챗봇 서비스로 시작했지만, 금세 방향을 틀어 오픈소스 AI 플랫폼으로 거듭났습니다. 이들의 핵심 미션은 바로 'AI의 민주화'. 누구나 최첨단 AI 모델과 데이터셋, 도구를 쉽게 접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허깅페이스 허브(Hub)에는 현재 130만 개 이상의 AI 모델과 45만 개 이상의 데이터셋이 공유되고 있으며, '트랜스포머(Transformers)' 같은 강력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는 AI 개발의 표준처럼 자리 잡았습니다. 구글, 아마존, 엔비디아 등 빅테크 기업과 세콰이어 같은 유명 VC들의 투자를 유치하며 기업가치는 45억 달러(2023년 기준)를 넘었죠. 그야말로 오픈소스 AI 생태계의 중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폴렌 로보틱스는?

허깅페이스가 인수한 폴렌 로보틱스는 2016년 프랑스 보르도에서 설립된 로봇 스타트업입니다. 이 회사의 특징 역시 '오픈소스'에 대한 강력한 철학입니다. 실제 세상과 상호작용하는 로봇을 개발하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죠.

Reachy, 출처: Pollen Robotics
Reachy, 출처: Pollen Robotics

이들의 대표작은 휴머노이드 로봇 '리치(Reachy)'입니다. 인간의 팔처럼 7 자유도(7-Degree Of Freedom)를 가진 양팔, 생체를 모방한 관절 움직임, VR 장비를 이용한 원격 조종 기능 등이 특징이죠. 주로 대학 연구실이나 AI 실험실 등 연구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가격은 약 7만 달러 수준입니다. 소프트웨어 역시 오픈소스 로봇 운영체제(Robot Operating System 2) 기반에 파이썬 SDK를 제공하는 등 개방성을 지향합니다.

소프트웨어 강자가 하드웨어를 왜?

자, 그럼 다시 처음 질문으로 돌아와서, 허깅페이스는 왜 폴렌 로보틱스를 인수했을까요? 여기에는 몇 가지 중요한 전략적 계산이 깔려 있습니다.

  • Embodied AI 시장 선점: AI가 디지털 세상을 넘어 물리적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AI는 AI 발전의 다음 단계로 꼽힙니다. 허깅페이스는 이 시장이 열릴 것을 예견하고, 자사의 강점인 AI 소프트웨어와 폴렌의 하드웨어를 결합하여 오픈소스 기반의 'Embodied AI' 생태계 허브가 되려는 것
  • LeRobot + Reachy: 허깅페이스는 이미 2024년에 '르로봇(LeRobot)'이라는 로보틱스용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출시하며 로봇 분야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만으로는 부족했죠. 폴렌의 Reachy는 LeRobot으로 개발된 AI 모델을 실제로 구동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이상적인 오픈소스 하드웨어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소프트웨어(LeRobot)와 하드웨어(Reachy)의 시너지를 통해 완전한 개발 환경을 구축하려는 것
  • 오픈소스 철학의 확장: 전통적인 로봇 산업은 폐쇄적인 독점 기술 기반인 경우가 많습니다. 허깅페이스는 자신들이 AI 분야에서 성공했던 것처럼, 로보틱스 분야에도 개방과 협력의 오픈소스 방식을 확산시키려 합니다. 투명성을 높이고 진입 장벽을 낮춰 혁신을 가속화하겠다는 거죠

결국 이번 인수는 단순히 로봇 제품 하나를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허깅페이스 플랫폼의 영역을, 그리고 오픈소스의 전선을 디지털 AI에서 물리적 로봇까지 아우르는 완전한 생태계로 확장하려는, 매우 계산된 전략적 행보라고 봐야 합니다.

Reachy, 출처: Pollen Robotics
Reachy, 출처: Pollen Robotics

생태계의 확장

이번 인수로 허깅페이스 생태계는 어떻게 확장될까요?

  • 허깅페이스 허브의 진화: 이제 허브는 AI 모델과 데이터셋뿐만 아니라, Reachy 로봇의 소프트웨어, 문서, 하드웨어 설계 파일(3D 프린팅 가능한 부품 포함) 등 로보틱스 관련 자산까지 포괄하는 저장소가 됩니다
  • 데이터 생성의 선순환: Reachy의 VR 원격 조종 기능은 로봇 학습에 필요한 고품질 시연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이 데이터를 허브에 공유하고, LeRobot으로 더 나은 AI 모델을 학습시켜 다시 로봇에 적용하는 데이터-모델-하드웨어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죠.
  • 새로운 커뮤니티 유입: 로봇 하드웨어 지원은 기존 AI 개발자 외에 로봇 공학자, 하드웨어 엔지니어, 메이커 커뮤니티 등 새로운 사용자 그룹을 허깅페이스 생태계로 들어올겁니다

근데 로봇 가격이

한 가지 의문이 남습니다. 'AI 민주화'를 외치는 허깅페이스가 7만 달러짜리 고가 로봇을 파는 게 앞뒤가 맞지 않아 보일 수 있죠. 하지만 이건 아마 단계적인 전략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단 고성능 오픈소스 로봇(Reachy)으로 최첨단 연구 그룹을 공략하여 기술적 레퍼런스를 확보하고, 장기적으로는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기여와 기술 발전을 통해 로봇 제작 비용을 낮추거나, 더 저렴한 오픈소스 로봇 옵션을 제공하려는 큰 그림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허깅페이스는 과거 100달러짜리 로봇 팔 프로젝트에도 협력한 바 있죠.

이처럼 허깅페이스의 이번 행보는 AI 및 로봇 산업 전반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다른 AI 기업들이나 폐쇄적인 로봇 기업들에게 개방형 생태계라는 새로운 경쟁 압력을 가할 수 있습니다. AI 기업과 로봇 기업 간의 파트너십이 더 활발해질 수도 있고요.

특히 허깅페이스라는 강력한 플랫폼과 커뮤니티의 지원은 오픈소스 로봇 프로젝트들의 성장을 크게 촉진할 기폭제가 될 수 있습니다.

Reachy, 출처: Pollen Robotics
Reachy, 출처: Pollen Robotics

AI, 이제 몸을 갖다

그렇기에 허깅페이스의 폴렌 로보틱스 인수는 단순한 M&A를 넘어, AI의 미래가 점차 물리적인 형태로 구현될 것임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입니다. 오픈소스 AI 소프트웨어에서의 성공 방정식을 로봇 하드웨어 분야까지 확장하려는 이들의 담대한 시도는, 분명 업계 전체에 큰 자극이 될 겁니다.

물론 로봇 하드웨어, 특히 오픈소스 방식의 성공 여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기술적 난제와 더불어 안전, 보안,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구축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죠. 하지만 만약 허깅페이스의 이 전략이 성공한다면, 지능을 가진 로봇을 개발하고 공유하는 방식 자체를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을 수 있습니다.

결국 허깅페이스는 'AI 모델을 공유하는 플랫폼'을 넘어, '지능형 로봇을 함께 만들고 발전시키는 개방형 생태계'의 중심이 되려는 꿈을 꾸고 있는 셈입니다.

과연 이들의 야심 찬 비전이 현실이 될 수 있을지, AI와 로봇의 결합이 어떤 미래를 만들어갈지 지켜보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 될 것 같습니다.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Divided by Zero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5 Divided by Zero

Divided by Zero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IT테크, 스타트업 그리고 자본시장에 대한 2차적 사고를 공유합니다.

메일리 로고

도움말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뉴스레터 광고 문의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사업자 정보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 | 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