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의 시작은 아주 작은 아이디어로" 유튜브 창업자의 사업개발 스토리

유튜브, 사업개발 스토리, 스티브 첸, 창업자

2024.06.27 | 조회 44 |
0
|

그릿BD

창업가에게 도움될 글을 작성합니다.

오늘은 유튜브의 공동창업자였던 스티브 첸(Steve Chen)의 사업개발 스토리를 가져와봤습니다 :)

스티브 첸은 미국의 기업가로, 페이팔에서 근무할 당시 만났던 웹디자이너, 개발자와 함께 온라인 동영상 공유 플랫폼 유튜브(YouTube)를 설립한 공동 창업자입니다. 그는 유튜브를 설립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후 구글(Google)에 유튜브를 매각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이후 스티브 첸은 AVOS Systems를 설립하여 더 많은 기술 혁신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그의 창업 경험과 기술에 대한 통찰력은 많은 스타트업과 기업들에게 큰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YOUTUBE의 사업개발 스토리]

실리콘밸리의 창업 역사에서 유튜브는 신화에 가깝습니다. 2005년이 되기 전까지 인터넷 사이트에는 동영상을 게시하고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채널이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동영상 콘텐츠 공유’라는 초유의 무료 플랫폼이 유튜브가 창업되면서 탄생되었고 주로 정보와 지식을 검색하고 공유하던 인터넷의 역할은 유튜브가 등장하면서 큰 전환기를 맞이하게 됩니다.(*2005년 초기 버전의 Youtube)

그 중심에 ‘스티브 첸’이 있습니다. 스티브 첸에 대해 소개하자면, 그는 대만에서 태어나 8세 때 미국의 일리노이로 이주하게 되었고, 어릴적부터 컴퓨터를 좋아하게 되면서 초등학교 때부터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일리노이 대학에서 컴퓨터를 전공하지만 학업을 중도 포기하고 실리콘밸리로 진출하게 됩니다. 1999년, 전자결제 기업인 페이팔(PayPal)에 입사한 스티브 첸은 그곳에서 향후 유튜브의 공동 창업자인 웹디자이너 채드 헐리와 개발자 자웨드 카림을 만나게 됩니다.

샌프란시스코의 친구 집에서 모임을 가진 스티브 첸은 그곳에서 촬영한 동영상을 친구들과 공유할 방법을 찾고 있었습니다. 전자메일을 통해 친구들에게 동영상을 일일이 전송하기가 너무 귀찮았던 스티브 첸은 동영상을 사이트에 업로드 해 두고 친구들이 사이트를 방문, 직접 구독하는 플랫폼을 만들기로 결심합니다.

창업 후 한 달이 넘는 토론 끝에 그들은 3가지에 대해 의견의 일치를 보았다고 합니다. 
첫째, 누구나 동영상에 관심이 있다. 
둘째, 사이트는 이용하기 쉬워야 한다. 
셋째, 친구를 사귀는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 이름을 붙이기로 결정하고, ‘유튜브’라는 이름은 완성되기까지 시간은 단 하루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You’는 ‘모든 사람’을, ‘Tube’는 ‘TV’를 의미하며 두 단어를 함께 놓으면 모든 사람이 시청자이자 제작자라는 뜻이 되고 더 구체적으로는 ‘당신의 동영상 플랫폼’이란 뜻을 나타냅니다. 그렇게 2005년 2월 14일 ‘www.youtube.com’이라는 도메인을 샀고 2005년 4월 23일, 자웨드가 유튜브에 19초짜리 첫 번째 동영상 <Me at the zoo>를 올리면서 시작하게 됩니다.

(*조회수 3억회가 넘은 첫 영상, https://youtu.be/jNQXAC9IVRw?si=c2cG3HCPsoyl5HBk)

 

처음에 유튜브를 이용하는 사람은 창업자들뿐이었습니다. 그들은 친구들은 동원해 사이트를 홍보하고 심지어는 선물 이벤트까지 벌였지만 실제로 큰 효과는 없었습니다. 세 사람은 잡동사니로 가득한 차고에서 매일같이 머리를 싸맸습니다. 그런데 얼마 가지 않아 변화가 생겼습니다. 사이트에 대한 정의를 사용자에게 맡기기로 결심하게 됩니다. 사용자들의 자발적인 선택에 맡기면서 유튜브는 어느덧 콘텐츠를 생산하는 사이트가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2005년 6월에 하나의 결정을 내리게 됩니다. 

사용자들이 다른 사이트에 유튜브의 콘텐츠를 얼마든지 퍼 나를 수 있게 한 것입니다. 한동안 사람들은 유튜브의 ‘퍼 나르기’ 기능이 자살 행위라고 평가했습니다. 사용자들이 유튜브에 로그인하지 않고도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예상은 적중했습니다. 친구들과 가족 모임의 홈비디오 콘텐츠뿐만이 유튜브는 기업의 중요한 광고 수단, 그것도 공짜 광고 수단이 되었기때문입니다. 인터넷 세상에 전파되고 재생되는 동영상에 유튜브라는 마크와 링크 주소가 늘 따라 다녔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동영상을 보고, 전파하고, 퍼 나르고 싶다면 유튜브로 오세요’가 회사의 모토가 되었습니다. 이 공유 시스템은 유튜브를 성장시키는데에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그들의 창업 초기에는 사무실을 갖는다는 것을 상상하지 못했습니다. 대부분의 업무는 온라인으로 처리하고 매주 3일 정도만 채드의 차고에서 만나 일처리를 했습니다. 창업과 더불어 스티브 첸의 생활도 완전히 달라지게 됩니다. 주말 따위는 존재하지 않았고 낮과 밤으로 업무시간을 구분할 수 없었습니다. 대략 24시간 일하고 10시간 쉬는 패턴이 일반적이었습니다. 그러던 중 2005년 10월, 유튜브에 투자를 결정한 세쿼이어캐피탈이 임시 사무실을 제공해 주었습니다. 유튜브는 독립된 품질평가 시스템을 아예 두지 않았습니다. 늘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유튜브에서 테스트팀은 시간 낭비에 불과 했고, 결과물에 문제가 생겼을 때 직원 간에 책임을 떠넘기는 빌미가 될 뿐이었습니다. 그 결과 직원 모두가 공동의 책임의식을 가지고 새로운 아이디어가 있으면 주저 없이 말하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었습니다.

결국 유튜브는 2006년 10월, 모든 이들의 예상을 뒤엎고 그 가치를 인정받아 구글에 16억 5000만 달러에 인수되었고, 전세계로 확장되면서 더 많은 구독자들이 몰려들었으며 하루 동영상 검색량은 미국 3대 방송국 서비스 분량을 모두 합친 것에 비교될 만큼 급성장을 거듭하게 되며 지금의 유튜브가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첸은 창업의 시작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했습니다. “모든 성공이 소설에 등장하는 것처럼 어떤 엄청난 계기로 인해 시작되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은 아주 ‘작은 아이디어’나 ‘작은 필요’에 의해 ‘충동적으로’ 시작되고 ‘지속적인 보완’과 ‘개선의 과정’을 거친다. 유튜브의 시작도 그랬다.”

 

[Steve Chen의 사업개발 마인드셋 7가지]1. Sometimes the greatest ideas are the simplest ones.때로는 가장 위대한 아이디어가 가장 단순한 아이디어이다.

가장 단순한 아이디어에서 혁신과 탁월함을 찾을 수 있다는 개념을 강조합니다. 그는 성공을 위해 복잡하고 복잡한 개념이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제안합니다. 때로는 한발 물러나 단순함을 받아들이는 것이 사람들의 심오한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Chen은 최고의 아이디어가 항상 심오하거나 정교한 것이 아니라 접근하기 쉽고 간단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단순함의 힘을 인식하고 소중히 여기도록 권장합니다.

2. Innovation is not about doing something new, but about doing something better.혁신은 새로운 것을 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은 것을 하는 것입니다.

혁신의 목적이 단순히 완전히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기술, 아이디어 또는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처음부터 완전히 갖춰진 채로 시작하기 보다는 지속적인 보완과 발전에 집중함으로써 보다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접근 방식으로 검증해나아가며 발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 Success is a journey, not a destination.성공은 여행의 과정이지 목적지가 아니다.

이 간단하면서도 심오한 말로 스티브 첸은 진정한 성공의 본질을 포착합니다. 종종 우리는 성공을 특정 목표 달성이나 특정 이정표 달성과 연관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성공이 고정된 종점이 아니라 성장, 학습, 자기 개선 의 지속적인 여정임을 상기시켜 줍니다 . 우리의 성공을 형성하고 정의하는 것은 프로세스 자체, 우여곡절, 직면하고 극복한 과제입니다. 우리가 여정을 받아들이고 과정을 받아들일 때에만 우리는 목표 달성에서 오는 기쁨과 성취감을 진정으로 경험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성공은 단순히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방식, 흔들리지 않는 결단력과 탄력성을 가지고 모든 노력에 접근하는 태도가 됩니다.

4. The best way to predict the future is to create it.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미래를 창조하는 것입니다.

미래를 구성하기 위해 수동적으로 추측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의 행동과 주도권을 통해 미래에 진정으로 영향을 미치고 예측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Chen은 이러한 관점을 수용함으로써 개인이 자신의 목표와 포부에 부합하는 미래를 창조하는 데 필요한 핵심 요소이기 때문에 적극적이고 혁신적이며 상상력을 발휘할 것을 촉구합니다. 궁극적으로 이 인용문은 우리가 발전을 추진하고 우리가 원하는 미래를 달성하기 위해 우리의 행동과 결정에 주인의식을 갖도록 격려합니다.

5. Don't be afraid to think outside the box and challenge conventional wisdom.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생각하고 기존 통념에 도전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다양한 사고 와 현상 유지에 대한 도전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Chen은 개인이 미리 정의된 규범의 경계를 넘어서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도록 격려함으로써 틀에 얽매이지 않는 관점과 접근 방식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통념에 도전함으로써만 새로운 아이디어가 형성되고, 새로운 해결책이 발견되며, 진정한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이 인용문은 우리가 기대하고 수용하는 것의 한계를 뛰어넘어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생각할 때 진정한 혁신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상기시켜 줍니다.

6. Failure is not the opposite of success, It is a necessary part of the journey to success.실패는 성공의 반대가 아닙니다. 실패는 성공을 향한 여정에서 필요한 부분입니다.

성공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에서 종종 간과되는 중요한 측면을 강조합니다. Chen은 실패를 단순히 성공의 반대라고 여겨서는 안 되며, 오히려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여정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개념은 성공이 오류나 좌절의 여지가 없는 선형 경로라는 일반적인 이해에 도전합니다. 대신 첸은 실패, 실수, 장애물을 통해서 사람이 진정으로 배우고 성장하며 궁극적으로 성공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실패를 과정의 필수 부분으로 받아들이면 개인은 성장 사고방식을 채택 하고 탄력성, 결단력, 적응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패를 재구성함으로써 Chen은 성공이 종점이 아니라 성장, 개선 및 자기 발견의 지속적인 여정임을 상기시킵니다.

7. The only way to discover how far you can go is by pushing your limits.얼마나 멀리 갈 수 있는지 알아내는 유일한 방법은 한계를 뛰어넘는 것입니다.

우리의 잠재력과 능력은 종종 스스로 부과한 한계나 실패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제약을 받습니다. 위험을 감수하고 도전해야만 우리 능력의 범위를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직업, 인간관계, 개인적 추구 등 한계를 뛰어넘음으로써 우리는 필연적으로 숨겨진 잠재력을 발휘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게 됩니다. 우리의 안전지대에서 벗어나면 우리는 더 높은 곳에 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력성, 결단력, 깊은 성취감을 키울 수 있습니다. 미지의 것을 포용하고 인식된 경계를 뛰어넘는 대담한 시도는 개인 성장을 위한 발판이자 진정한 잠재력을 실현하는 열쇠입니다. 

출처:
https://www.bookey.app/quote-author/steve-chen
https://blog.naver.com/e_adventure/223310870736
https://weeklyclip.com/entry/%EC%9C%A0%ED%8A%9C%EB%B8%8C%EC%9D%98-%ED%83%84%EC%83%9D%EA%B3%BC-%EC%B0%BD%EC%97%85%EA%B3%BC%EC%A0%95
https://europeanwriterstour.com/images-2023/youtube-logosu-2005
https://www.allgreatquotes.com/authors/steve-chen/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103220417Q
https://en.wikipedia.org/wiki/History_of_YouTube
https://www.timetoast.com/timelines/the-history-of-youtube--2
https://www.founderoo.co/playbooks/steve-chen-chad-hurley-jawed-karim-youtube


-

모든 창업가, 사업개발자 여러분들사업 개발에 있어
어떤 생각과 마인드로 진행하고 계시나요? 
여러분의 비전과 열정을 다시 한 번 되새기며 무한한 가능성을 향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하루를 보내시길 바라겠습니다 : )

 

🔥사업개발자 간의 피어 피드백이 궁금하다면?

오는 6월 29일 토요일 14:00 🚀

현재 사업개발을 진행중인 제품/서비스에 대한 상호 간 피드백, 사업개발과 관련된 고민 등 자유롭게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자리입니다.

보다 밀도있는 대화를 위해 6명 인원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참여를 희망하시는 분들은 하단 링크를 통해 신청해주세요 :)  

신청링크: https://event-us.kr/m/86028/17816

🔥사업개발 - 커뮤니티로 초대합니다!

오픈채팅방: https://open.kakao.com/o/gZvwBppg

온라인 커뮤니티: https://www.grit-bd.community

보다 원활한 소통을 위해 사업개발 커뮤니티를 만들고있습니다!

사업개발에 관심이 있는 분들, 사업개발자로 직무를 전환하고싶으신 분들, 

모든 분들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 예정이에요!

꾸준히 업데이트해나아갈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이 글을 흥미롭게 읽고, ‘사업개발’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신가요? 구독을 눌러주신다면, 다음 콘텐츠를 더 빠르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앞으로 더 많은 사업개발(Business Development, BD, Biz dev)과 관련된 콘텐츠를 올려드리겠습니다.

-이하 GritBD(그릿BD) 발행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그릿BD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4 그릿BD

창업가에게 도움될 글을 작성합니다.

뉴스레터 문의 : info@grit-bd.com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