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의 또 다른 이름 '냉장고'

나의 욕망은 냉장고 어디쯤에서 썩고 있는 야채와 같다.

2023.05.26 | 조회 74 |
0
|

글 쓰는 마음

매주 금요일, 글을 통해 더 나은 일상을 만들고 싶은 마음을 보내드립니다.

우리 집 냉장고에는 무엇이 들었을까. 가끔 아내에게 조심스럽게 물어봅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조심스럽게'입니다. 우리 집에서 냉장고는 아내의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함부로 침범해서도, 간섭해서도 안 되는 공간이라는 뜻이죠. 결혼하기 전이나 지금이나 제 기억 속의 냉장고는 '혹시' 또는 '만약에'로 시작되는, 일어나지 않은 미래에 대한 욕망이 담긴 공간인 것 같습니다. 특히 냉동실에는 언제부터인지 모르게 부동의 자세로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것들도 있습니다. 지난 몇 년 동안 이사를 함께 다니면서 말이죠.

어느 날 찬찬히 냉장고 안을 들여다보던 중 '참 내 마음과 닮았다'라는 생각을 한 적이 있습니다. 쟁여둔 불안과 일단 쥐고 보는 미련 때문에 마음의 여유가 없는 모습이, 마치 냉장고 안 어디쯤에서 썩어가고 있는 야채와 같아 보였기 때문입니다.

구독자님은 어떤가요? 여전히 마음 한편을 차지하고 있는 비워내지 못한 욕망이나 불안이 있지는 않나요? 오늘 영글음 작가님의 글을 통해 구독자님의 마음을 다시 한번 들여다볼 수 있는 시간이 되시길 바라봅니다. 

 


✍🏻 writing한 글쓰기

 

냉장고 없이 2주 반을 살았다

냉장고 크기만큼의 욕망에 관하여

글: 영글음 작가

 

냉장고 없이 2주 반을 살았다. 경우가 좀 특별했다. 남편이 한국으로 직장을 옮겨 간지 한 달밖에 안되었을 때 영국 사는 내가 두 딸을 데리고 그 집으로 들이닥쳤으니. 가구며 가전이며 세팅이 안된 상태였다. 그가 사는 집에는 이중으로 된 창문 틈(안창과 겉창 사이로)으로 폭 20cm 정도의 공간이 있었다. 

"급한 데로 여기에 놓으면 돼."

남편은 사들고 온 과일을 그곳에 놓으며 해맑게 웃었다. 일교차가 큰 한국의 4월, 창틈은 밤사이 훌륭한 냉장고 역할을 해주었다. 매일 아침마다 집을 나서기 전 모든 음식을 먹어 없앴다. 

결혼 당시 혼수를 장만할 때 사람들은 말했다.  

"냉장고는 무조건 큰 것으로!"

결혼을 먼저 한 선배들은 물론이거니와 아직 하지 않은 친구들조차 어디선가 이런 말을 주워듣고 와서는 확신에 차서 조언했다. 그래야 밑반찬도 보관하고 냉동식품을 많이 쟁여둘 수 있겠지. 김치냉장고를 별도로 구매하지 않는다면 각종 김치도 보관해야 하니 크면 클수록 좋다는 건 진리에 가까운 것 같았다. 그 말을 믿었다. 10평 남짓한 봉천동 신혼집에 800L가 넘는 양문형 냉장고를 욱여넣었다. 

하지만 갓 결혼한 20대의 젊은 남녀는 집밥보다는 사회밥을 더 많이 먹었다. 밑반찬을 만들 시간도, 살 시간도 부족했다. 냉장고는 휑했지만 거의 열지를 않아서 안에 뭐가 들었는지 잘 몰랐다. 단단한 당근도 냉장고 안에서 한 달 넘게 있으면 무르고 썩는다는 걸 그때 알았다. 거실 겸 부엌이던 공간에 그렇게 큰 냉장고가 차지하니 집은 더 좁아 보였다. 

냉장고 크기는 욕망의 크기에 비례했다. 그 안에 각종 반찬이나 맛있는 음식을 넣어두고 살고 싶다는 욕망, 김장김치 같은 걸 갖다 줄 누군가가 있기를 바라는 욕망 - 그래서 내가 사랑받고 있구나를 느끼고 싶은 욕망, 더 나아가 지금은 비록 10평 집에 살지만 언젠가는 크기에 걸맞은 넓은 집을 갖고 싶다는 욕망 같은 것. 

어느 욕망 하나 이루지 못하고 한국을 떠나면서 냉장고를 처분했다. 미국, 영국에서의 냉장고는 훨씬 작았다. 그래도 살 수 있었다. 아쉬우면 아쉬운 데로 냉장고 크기에 맞춰 음식을 사들이고 요리하며 결혼생활 20년을 꾸려 왔다. 

2023년 한국의 봄. 2주 반을 냉장고 없이 살아 보니 그것도 할만했다. 반드시 차게 먹어야 하는 맥주, 막걸리 같은 술도 적당량만 사온 뒤 한두 시간 안에 마시면 되고 떡이나 빵 같은 것도 먹을 만큼만. 자연스럽게 1+1 행사 같은 건 멀리하면서. 창문 틈 사이 외풍이 만들어주는 냉기가 감당할 수 있는 정도로만 소량씩. 그러면 냉장고 없이도 신선한 음식을 먹을 수 있다.  

갖고 싶다, 되고 싶다는 욕심도 감당할 수 있을 정도로만 부리면 행복할 텐데. 


✍🏻 글을 부르는 질문

 

냉장고 크기는 욕망의 크기에 비례했다. 그 안에 각종 반찬이나 맛있는 음식을 넣어두고 살고 싶다는 욕망, 김장 김치 같은 걸 갖다 줄 누군가가 있기를 바라는 욕망 - 그래서 내가 사랑받고 있구나를 느끼고 싶은 욕망, 더 나아가 지금은 비록 10평 집에 살지만 언젠가는 크기에 걸맞은 넓은 집을 갖고 싶다는 욕망 같은 것. 

본문 중에서

오늘 영글음 작가님의 본문 중에 있는 문장을 다시 한번 적어봤어요. '냉장고 크기는 욕망의 크기에 비례했다'는 표현이 유난히 마음에 와닿았어요. 그러면서 썩어 없어지지 않도록 마음속 냉장고에 꽁꽁 얼려 보관하고 있는 저의 욕망을 돌아보게 됩니다.

 

구독자님에게 냉장고는 어떤 의미인가요?

구독자님 마음속에 비워내지 못한 욕망이 있다면 어떤 것이 있나요?

 

글쓰기와 함께 한 움큼 비워낼 수 있는 시간이 되시길 바라는 마음으로 오늘의 레터를 띄워 봅니다. 

 

오늘도 슬며시 마음의 냉장고를 열어보는
저는 알레작가입니다.

💌 팀라이트 월간 소식

 

📢 <글루틴 7기 모집>

매일 글쓰기 하며 글 쓰는 습관을 들이고, 자신을 들여다 보고, 서로에게 글친구가 되어주실 분을 모집합니다! 글루틴은 실력으로 글을 쓰는 모임이 아니에요~ 온전한 나의 이야기를 꺼내는 모임이죠! 글루틴에 오시면 결국 매일 쓰게 될 거예요. 저희와 함께 글 쓰는 재미에 푹 빠져보실래요? 👇신청은 링크 클릭! 👇

 

📢 <미디어 여행>

국내외 여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하는 대한민국 언론사 미디어 여행(madia trip)팀라이트가 만났습니다. 단순한 뉴스 전달뿐만 아니라 칼럼과 사설을 통하여 여러분과 소통할 수 있는 채널! 오피니언으로 활동하고 있는 팀라이트 작가들의 글을 만나보세요.

 

📢 <팀라이트 오디오북>

팀라이트 작가들이 직접 쓰고 읽어주는 에세이를 소개합니다. 위젤라 TV와 콜라보 프로젝트로 진행되는 팀라이트 오디오북! 작가들의 삶과 글 이야기, 그리고 찰떡으로 어우러지는 음악까지. 오디오 플랫폼 FLO에 정규 프로그램에서 만나보세요!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글 쓰는 마음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3 글 쓰는 마음

매주 금요일, 글을 통해 더 나은 일상을 만들고 싶은 마음을 보내드립니다.

 에서 나만의 뉴스레터 시작하기

자주 묻는 질문 / 문의하기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 admin@team.maily.so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