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례
1. 석배형이 초전도체 개발하사 우리나라 만세… 애국가 몇 절에 넣지?
민 OO 씨
2. 상온 초전도체를 납과 구리로 만들었다니, 이거 완전 K-연금술 아니야?
고 OO 씨
활용
트집쟁이들, 안녕! 에디터 샬롬이다.
어제 베리아빠로부터 따끈한 제보를 받았다.
그렇다. 초전도체가 매우 핫하다.
트위터 들어가면 초전도체 이야기로 도배되어 있다.
이미지 = ‘트렌드 서치 그룹’ 오픈카카오톡방 캡쳐
베리아빠, 죠, (4행시까지 지어준)뀨 고마워!
사실 에디터도 뼈문과로서…
초전도체 얘기 보일 때마다 에디터도 승훈이 되지만…
열심히 이해해보려고 노력했다.
이미지 = 트위터 캡쳐(https://twitter.com/Marryhaja/status/1685182688775606273?s=20)진짜 각양각색의 초전도체 밈이 쏟아지고 있다.
사실 초전도체 밈은 하나의 단어나 문장이 핵심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아주 다양한 짤들이 쏟아져나오면서
짤에 대한 코멘트와 반응이 함께 인기를 얻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오늘은 짤 중심으로
아~주 다양한 초전도체 밈을 다뤄보려고 한다!
자, 일단 “초전도체가 뭐야?”, “왜 그렇게 난리가 난 거야?”라고 했을 때
아래 기사 사진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미지 = 임성빈, ""애국가 몇절에 넣지?"…초전도체 최초 개발 '석배형' 밈 뜬다," 「중앙일보」, 2023년 8월 2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81973#home)
초전도체는 다양한 기술에 접목하여 활용할 수 있고,
무엇보다 전력을 엄청나게 아낄 수 있다는 점에서
미래 기술을 위한 물질로 여겨졌다.
이 초전도체는 영하 200도의 엄청나게 낮은 온도에서만 구현이 가능했는데
한국 퀀텀연구소에서 상온 초전도체를 개발했다고 하는 것!
요약하자면 이런 상황…!
이미지 = 트위터 캡쳐(https://twitter.com/hotissue_gall/status/1685218217676214272?s=20)
저항할 수 없이 국뽕이 차오른다…
이미지 = ‘배틀페이지’ 사이트 캡쳐(https://v12.battlepage.com/??=Free.Freeboard.View&no=1783241)
(이제 국뽕 짤도 업데이트 할 때가 되었다…)
한국인들 정말 웃긴 사람들인게,
이석배 퀀텀연구소 대표 이름을 따서 석배형 밈
혹은 초전도체 밈을 엄청나게 만들어내고 있고
그게 뉴스 기사에 빠르게 실렸다.
이미지 = 임성빈, ""애국가 몇절에 넣지?"…초전도체 최초 개발 '석배형' 밈 뜬다," 「중앙일보」, 2023년 8월 2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81973#home)
트위터에서도 초전도체와 상온 초전도체가
실시간 트렌드에 오르며 트렌드 그잡채임을 입증했다.
이미지 = 트위터 실시간 트렌드 캡쳐 (https://twitter.com/)
사실 아직 정말 퀀텀연구소에서 개발한 것이
정말 상온 초전도체가 맞는지 아직 제대로 밝혀지진 않았다고 한다.
상온 초전도체는 아니고, 그 비스무리 한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그렇지만 상온 초전도체라고 발표하게 된 이유는…
이미지 = 트위터 캡쳐(https://twitter.com/NukuteTsuki/status/1684845503589343232?s=20)
바로 교수님이 커뮤니티의 달인이기 때문에.
(믿거나 말거나^_^)
연구하는 과정이 정말 끝없는 실험과 실패의 반복이었다고…
이미지 = 트위터 캡쳐(https://twitter.com/blanka_ranka/status/1684802356276510720?s=20)
이미지 = 트위터 캡쳐(https://twitter.com/d4ydr34mn4ti0n/status/1684969631952539649?s=20)
진짜 엄청나다… ㅎㄷㄷ
이 연구 스토리부터가 그냥 콘텐츠다.
무슨 소설이나 애니메이션에 나올 것 같은 스토리다.
각종 커뮤니티와 SNS에서 초전도체 밈이 계속해서 생성되고 있고
아직도 생성되고 확산되는 중이다.
지금 막 만들어지고 있는 중이라서
에디터 생각에는 여기에서 몇 개가 오랫동안 살아남아
의미가 확장되고 꾸준히 사용되는 밈이 되지 않을까… 싶지만
지금으로써는 어떤 밈이 그렇게 될지 알 수 없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보았을 때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그 유형별로 소개해보겠다.
첫 번째는 국뽕 유형
마치 애국가 화면에 초전도체가 등장하는 것처럼 만들어놨다.
이미지 = 트위터 캡쳐(https://twitter.com/mouse_niconi/status/1686574696991801344?s=20)
이미지 = 트위터 캡쳐(https://twitter.com/put_gyul/status/1686625115109498880?s=20)
두 번째는 모조리 공중에 띄워버리는 유형
이미지 = 트위터 캡쳐(https://twitter.com/Kim_kimkimkim_/status/1686344637760540672?s=20)
이건 초전도체로 진짜 떠오르는 새빛둥둥섬이라고 함 ㅋㅋ
이미지 = 원다라, "”서울 공중 부양 도시로 바뀐다"... '초전도체 밈' 화제," 「한국일보」, 2023년 8월 2일,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3080210540005134)
세 번째는 원료 유형
이미지 = 트위터 캡쳐(https://twitter.com/RPlzThnkb4Enter/status/1685914782485123072?s=20)이미지 = 트위터 캡쳐(https://twitter.com/true_shrimp/status/1685915339228581888?s=20)이미지 = ‘클리앙’ 사이트 캡쳐(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8213822?combine=true&q=납+구리+콘&p=0&sort=recency&boardCd=&isBoard=false)
네 번째는 초전도체 구현 유형
이미지 = 트위터 캡쳐(https://twitter.com/cmlf06/status/1685557255876603905?s=20)
지금 이 밈은 덕질과 연결되어서도 활용되고 있는 것 같다.
(그렇기 때문에 이 밈이 오랫동안 활발하게 사용되지 않을까 살짝쿵 예상…!)
다섯 번째는 외국 밈
트위터에서 UFO와 AI 얘기는 가라앉고 초전도체 이야기가 떠오른다는 뜻…!
이미지 = 임성빈, ""애국가 몇절에 넣지?"…초전도체 최초 개발 '석배형' 밈 뜬다," 「중앙일보」, 2023년 8월 2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81973#home)
이것도 비슷한 맥락으로 챗GPT가 놀라운 과학기술로 주목을 받았는데
한순간에 상온 초전도체에게 자리를 내어줘야 하는 신세가 되었다는…
이미지 = 임성빈, ""애국가 몇절에 넣지?"…초전도체 최초 개발 '석배형' 밈 뜬다," 「중앙일보」, 2023년 8월 2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81973#home)
이건 한국의 상온 초전도체가 지구 온난화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을 것이라는 밈이다.
이미지 = 임성빈, ""애국가 몇절에 넣지?"…초전도체 최초 개발 '석배형' 밈 뜬다," 「중앙일보」, 2023년 8월 2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81973#home)
마지막으로 약간의 번외 느낌인데
고려대 퀀텀연구소에서 지금 상온 초전도체를 개발했다고 하는 중이니
고려대 VS 연세대 배틀 밈도 정말 많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미지 = 트위터 캡쳐(https://twitter.com/bighwanjang1/status/1686289513130459136?s=20)
이미지 = 트위터 캡쳐(https://twitter.com/museun_happen/status/1686640005572333568?s=20)
정말이지… 흥미진진하다.
초전도체 밈이 너무 웃기지만
결과가 보장되지 않는데도 오랜 시간동안 공들여 끊임없이 연구한
박사님들… 연구원님들… 존경스럽고 멋있다.
에디터(샬롬)는 이제 트렌드어워드 에디터가 된 지 1년이 되었는데
아직도 트렌드는 어렵다^_^
하지만… 꾸준하게 트렌드 디깅하다보면 트렌드 척척박사가 될 수 있겠지?
그런 의미에서 박사 짤 공유해본다.
이미지 = 네이버 블로그 캡쳐(https://blog.naver.com/kran7837/222902952202)이미지 = 네이버 블로그 캡쳐(https://blog.naver.com/betmanloving/223075885819)이미지 = 네이버 블로그 캡쳐(https://blog.naver.com/every_0/221675959649)
오늘은 여기까지!
다음 시간에 만나요
______________
오늘의 Trend A Word는 어떠셨나요?
트렌드어워드는 원래 주 5일 뉴스레터랍니다.
다만 원하시는 것에 따라 조금 다르게 구독 가능하세요! 귀찮겠지만 나눠서 구독해주시면 감사합니다!
주 2회 화, 목 신조어 보내드리는 Trend A Word 구독 링크는 https://maily.so/trendaword 이구요!
월, 수, 금 주 3회는 트렌드까지 챙겨드리는 Trend A Word+의 구독 링크는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61860 입니다!
트렌드어워드 서치 그룹 단톡방은 항상 새로운 트집쟁이들을 모시고 있습니다. 아래 구글폼만 작성하면 한 번씩 확인할 때 마다 초대해드려요!
https://forms.gle/CLBCAEJWJL9b6DUY6
트렌드어워드는 광고성 메일 수신 동의를 매 레터에서 여쭤보고 있습니다. 혹시나 이 부분을 원치 않으신 분들은 https://maily.so/trendaword 상단 우측에 구독중 버튼을 누르시고 구독 취소를 진행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앞으로 아침마다 종종 잘 부탁드립니다.
나눠주고 싶은 이야기는 마구마구 댓글과 인스타를 이용해주세요!
인스타그램 : @trendaword
이메일 : contact@trendaword.com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