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자 님, 안녕하세요?
AI 트렌드를 전달해드리는 Trendium.ai 입니다.
오늘은 AI 아트의 새 장을 연 'AI FC' 공모전 우승자 인터뷰를 준비했습니다.
by 💜Cutico @cuticogent
AI-Kive가 주최한 제1회 AI 이미지 공모전 'AI FC'가 지난 1월, 많은 아티스트의 열정적인 참여 속에 성황리에 마무리되었습니다.
공모전은 예선과 본선으로 나뉘어 독특한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본선 진출자들은 1:1 매치업 형식으로 자신만의 AI 아트 작품을 선보였고, 32강부터 시작하여 16강, 8강, 4강을 거쳐 결승전까지 이어지는 흥미진진한 경연을 펼쳤습니다.
1등 우승자 에클립스님과의 스페셜 인터뷰를 공개합니다!
어둠과 빛이 공존하는 세계에서, 검은 날개를 가진 천사는 선과 악의 경계에서 고뇌하며 존재한다. 날개의 깃털은 그의 과거와 기억을 상징하며, 휘몰아치는 연기는 그가 마주한 내면의 혼란과 불안을 나타낸다. 그는 자신의 운명을 거스르기 위해 날개를 펴며 새로운 선택을 향해 나아가고자 한다.
(1등 ) AI 아티스트 에클립스 님
Q: 자기소개와 AI 아티스트로서의 활동 계기를 말씀해주세요.
A: IT와 AI 관련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이면서 AI 아티스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기술과 예술의 융합에 관심이 많아 이미지 생성 도구를 활용한 창작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아트와 거리가 멀다고 생각했지만, AI를 공부하면서 창작의 가능성을 발견했고, AI가 예술의 진입장벽을 낮춰준다는 점에 매력을 느꼈습니다.
Q: 대상 수상작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A: 다양한 프롬프트를 활용하여 여러 작품을 만들었고, 다른 사람들과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발전시켰습니다. 특히 검은 날개를 가진 작품에서 흑백의 조화가 인상적이어서, 천사와 악마의 공존이라는 테마로 발전시켰습니다.
Q: 작품 제작에 사용한 AI 도구는 무엇인가요?
A: 주로 Stable Diffusion을 사용했고, 프롬프트 작성에는 GPT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접근성과 작업 용이성 면에서 Stable Diffusion이 가장 편했습니다.
Q: AI와 인간 예술가의 협업에 대한 견해를 들려주세요.
A: AI는 창작의 도구일 뿐 예술의 본질을 대체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창작자의 아이디어를 확장하는 도구로서, 더 창의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AI와 인간이 협력하여 새로운 예술의 지평을 열어갈 수 있다고 기대합니다.
(2등 ) AI 아티스트 에이브 님
‘작은 존재가 보여주는 용기’와 ‘주변 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지혜’라는 메시지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 거친 비를 온전히 막아낼 만한 도구가 없어 보임에도, 자연 속에서 구한 버섯 하나로 자신을 지켜내는 모습은 우리의 일상에도 비유할 수 있습니다. 일상에서의 문제들을 거창한 해결책이 없더라도, 가까운 곳에서 찾아 극복해낼 수 있다는 의미를 보여줍니다
Q: AI 아티스트로서의 경력을 소개해 주세요.
A: 2023년부터 AI 아트를 시작해 현재는 ComfyUI를 활용하여 '에이볼브'라는 기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Q: AI 아트를 시작하게 된 계기와 작업 과정, 그리고 본인만의 스타일은 어떠신가요?
A: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예술계와 사회에 가져올 변화에 주목했고, 그 혁신적인 가능성을 직접 경험하고 싶어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작업 과정에서는 끊임없는 실험과 시도를 통해 해결책을 찾아가고 있으며, 현재는 다양한 스타일을 실험하며 자신만의 고유한 예술적 언어를 개발하고 있는 중입니다.
Q: AI와 예술가의 협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A: AI 도구는 창작 과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어주었습니다. 원하는 결과물을 얻는 과정이 한결 수월해졌습니다.
Q: AI 아트가 기존 예술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시나요?
A: AI는 예술 시장을 대체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표현 방식을 제시하며 시장을 확장시킬 것입니다. 기존 예술과 AI 아트는 공존하며 발전할 것으로 봅니다.
(3등 ) AI 아티스트 jjudy 님
전래동화 속 용궁마을은 우리가 생각하는 아름답고 환상적인 풍경에 인자한 용왕이 아니였을 수 있다. 그러나 그 앞에 끌려간 육지의 작은 동물은 두려워 하지 않고 다시 돌아왔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도, 작고 평범한 이들이 자신의 소신과 진실을 말할 수 있고, 그 용기로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믿음이 나의 판타지다.
Q: 현재 어떤 일을 하고 계신가요?
A: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메타버스 비즈니스를 공부하며, AI와 디지털 기반의 창업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Q: AI 아트를 시작하게 된 계기가 있나요?
A: 생성형 AI 시장의 성장을 보며 교육 분야에 접목하고자 시작했습니다. 특히 대학원에서 'AI 활용전략' 수업을 통해 본격적으로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Q: AI 아트 작업의 가장 큰 어려움은 무엇인가요?
A: 이미지의 특정 요소만 수정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다양한 프롬프트 시도와 반복 작업으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Q: AI와 예술가의 협업에 대한 견해는 어떠신가요?
A: AI는 예술가의 창의성을 확장시키는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서로의 장점을 살려 새로운 예술 장르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Q: AI가 예술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떨까요?
A: 창작의 진입장벽을 낮추어 더 많은 사람들이 예술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예술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확장시킬 것입니다.
(3등 ) AI 아티스트 aubebijou 님
한국적인 것을 사랑하며 작품에 녹이길 고민하는 저의 판타지는 한국이라는 콘텐츠가 온 우주로 가득 차있고 마치 구름인 듯 나무인 듯 자연이 어우러진 신비로운 배경 속에서 펼쳐집니다. 한옥의 열린 문은 그 세계로 여러분을 초대하고픈 바람을 담고 있습니다. 반짝이는 불빛들은 별처럼 빛나는 저의 아이디어와 생각들이 문화와 조화를 이루는 순간을 표현해보았습니다.
Q: AI 크리에이터로서의 정체성과 작품 세계를 소개해 주세요.
A: 저는 한국의 전통문화와 한복의 아름다움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AI 크리에이터 오브비쥬(AUBE BIJOU)입니다. 현재 숏폼 콘텐츠, 미디어 아트, 클립아트코리아AI 스톡 이미지 작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보는 이들에게 편안함과 휴식을 전하는 작품을 만들고 있습니다.
Q: AI 아트와의 첫 만남은 어떠했나요?
A: 직장과 육아로 지친 일상 속에서 우연히 만난 미드저니가 제 인생을 바꾸어 놓았습니다. 취미로 시작했던 AI 아트가 점차 제 삶의 중심이 되었고, 잃어버렸던 창작의 열정을 되찾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Q: 작업 과정에서 마주하는 도전과 극복 방법이 궁금합니다.
A: 가장 큰 어려움은 원하는 이미지를 완벽하게 구현하지 못할 때의 답답함입니다. AI 툴만으로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만들고자 하는 고집이 있어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만, 전시회 관람과 자료 연구를 통해 영감을 얻고 있습니다. 이런 노력의 결실로 월간 "BISOU BIJOU" 매거진도 발행하게 되었습니다.
Q: AI와 예술의 관계에 대한 견해는 어떠신가요?
A: AI는 예술가의 창작 영역을 확장하고 대중과의 소통을 더욱 풍부하게 만드는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인간과 AI는 서로의 한계를 보완하며 새로운 예술 세계를 열어갈 수 있습니다.
Q: 작가만의 독특한 작품 스타일이 있다면요?
A: 파스텔 톤과 은은한 미색을 주로 사용하며, 마치 색연필로 스케치한 듯한 부드러운 터치를 선호합니다. 특히 한지의 질감을 연상시키는 배경색을 활용해 따뜻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것이 제 작품의 특징입니다.
AI 이미지 생성 기술이 발전하면서, 앞으로도 이와 같은 흥미로운 공모전들이 더욱 많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여러분도 다가오는 AI 아트 공모전에 참여해보세요! 놀라운 상금과 다양한 상품이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더불어 새로운 창작의 세계를 경험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예술 세계를 펼칠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
다음 뉴스레터에서 더 흥미로운 소식으로 찾아뵙겠습니다. 많은 관심과 구독 부탁드립니다! 🙏
오늘의 ideogram 2.0 Prompt
by 💜Cutico @cuticogent
[prompt] A gigantic real woman's hand gracefully holds a golden trophy, its perfect nails shimmering with bright hues. The trophy gleams under the city lights, towering against a bustling urban skyline. The hand, elegant and colorful, symbolizes beauty, power, and success, resembling a high-end advertisement, ultra-realistic, cinematic lighting, hyper-detailed.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