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club

난소암 진단에서의 CA125 활용

유의미하지 않은 CA125 수치

2024.04.11 | 조회 151 |
2
|

Bi.markey

밝히자, 바이오 세상

📜오늘 우리가 살펴볼 논문은?

  •   Moss, E. L., Hollingworth, J., & Reynolds, T. M. (2005). The role of CA125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58(3), 308–312.   

논문 바로가기⤴️


 

 

 

🤒 CA125의 소개와 이번 논문의 목적

출처 : https://www.gatewayc.org.uk/cancer-keys/how-reliable-is-the-ca125/
출처 : https://www.gatewayc.org.uk/cancer-keys/how-reliable-is-the-ca125/

CA125는 대부분의 상피성 난소암(난소암의 90%를 차지!)에서 발현되는 고분자의 당단백질이에요.

상피성 난소암의 '종양 표지자'로서 사용이 되고, 말기로 갈수록 CA125 발견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요.

난소암 뿐만이 아니라 다른 다양한 질병 및 종양의 표지자 역할을 한다고도 알려져 있어요.

이번 논문에서는 CA125 측정을 받은 환자 집단을 식별하고 이러한 측정이 별적인 환자들의 관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작성되었어요.

CA125라는 표지자를 필요한 환자들에게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 논문의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볼 수 있죠!


 

 

 

🥼 실험 대상과 방법

이번 논문에서 결과 분석을 할 대상은 2000년 4월 ~ 2002년 4월까지 CA125 측정 결과가 확인된 영국 퀸즈 병원의 환자들이에요.

임상 시험을 진행한 방법은 HISS라는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 환자 정보 시스템을 활용해 환자들의 병리학, 영상학 분야에서의 진료 데이터를 수집했어요.

직접 임상 시험을 진행한 것은 아니고, 이미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해 결과 분석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쓰여진 논문이랍니다!


 

 

 

📈 결과 분석

1. CA125 측정의 목적과 난소암 진단 능력

출처 : Moss, E. L., Hollingworth, J., & Reynolds, T. M. (2005). The role of CA125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 58(3), 308–312. 
출처 : Moss, E. L., Hollingworth, J., & Reynolds, T. M. (2005). The role of CA125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 58(3), 308–312. 

검사를 진행한 여성은 751명이었고 광범위한 증상과 징후를 나타내고 있었어요. 비정상적인 CA125 수치를 나타낸 여성은 전체의 29%로 밝혀졌고, 남성은 난소암과 관계가 없어서 분석 결과에는 적용되지 않았어요. 

먼저, CA125 검사를 진행한 가장 큰 목적은 악성 종양이 의심되는 다양한 징후나 증상을 가진 환자들의 조사였고, 44%로 절반 정도를 차지했어요.

난소암이 의심되어서 CA125 검사를 진행한 경우는 34%로 악성 종양 의심에 비해 적게 나타났어요. 

그 이유는 CA125가 난소암 진단을 하기에는 민감도가 낮기 때문이에요. 밑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비정상 CA125 수치를 가진 여성 중에 20%만이 실제로 난소암에 걸린 것으로 밝혀졌고, 나머지는 다양한 질환 때문에 수치가 증가했어요.

추가적으로 진행한 분석에서는 23명의 난소암 환자의 CA125 농도가 1000kU/L 이상이었지만 5명은 30kU/L 조차 되지 않았다고 해요. 30kU/L 이하는 난소암이 의심되지 않는 정상 범위로, CA125 진단에 대한 특이도 또한 낮음을 알 수 있어요.

 

2. 난소 영상 촬영

난소암 또는 악성 종양이 의심되는 여성들의 더 정확한 진단을 위해 영상 촬영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ultrasound scan(초음파 검사)라고 해요.

그리고, 위 그래프에서 'None'이라고 써있는 부분은 난소 영상 촬영을 진행하지 않은 비율을 말해요. CA125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일반적으로 None의 비율은 줄어드는 걸 관찰할 수 있는데, 이는 CA125의 농도와 난소암 발생 가능성이 비례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어요.

 

3. CA125 검사 시행 부서

그렇다면 CA125 검사 시행을 요청하는 의료 분야의 비율은 어떻게 될까요?

1등은 산부인과(36%)로 밝혀졌어요. 하지만 다른 분야인 일반 외과(15%), 1차 진료(12%), 일반 의학(10%)도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고, 이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됨을 의미해요.


 

 

 

💡 결론 및 대안

그렇다면 CA125를 난소암 진단에 사용할 수 있을까요? '아직은 어렵다' 라는 의견을 논문에서 나타내고 있어요.

CA125 농도 상승의 일반적인 원인은 다른 부위의 악성 종양, 염증, 산부인과 질환이에요. 그래서 다양한 범위의 증상에 사용되지만 난소암 진단에서는 특이도와 민감도가 낮아 치료 반응과 재발을 관찰하는 용도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아요. 

이전에 결과 분석에서 언급했듯이 이상 소견의 80%는 난소암이 아닌 다른 질병이었어요. 위양성률 또한 굉장히 높은 편이죠 😞

그래서 CA125는 난소 영상 검사를 진행한 후에 확인된 난소 종양의 병변이나 특성을 결정하는 2차 검사로 사용하는 것이 진단에 사용하는 것보다는 효율적이에요.

결론적으로, 난소암 진단에서 CA125는 높은 위양성률, 낮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가지고 있어요. CA125를 부적절하게 사용하면 비용만 발생시키며 의사에게도 유의미한 결과를 제공하지 못해요. 또한 환자에게는 위양성으로 인해 불안감을 증가시키고 치료의 불확실성을 느끼게 할 수 있어요.

하지만 CA125를 난소암의 마커에서 배제하기에는 아직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표지자라 논문에서는 CA125를 사용하기 위한 몇몇 대안을 제시하고 있어요.

1. CA125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다른 종양 표지자와 함께 사용해 진단의 효과를 높인다.

2. 병원과 진료의, 임상의 관계에서 상호적인 교류와 학습을 통해 환자의 질병 조사와 관리에 도움이 되는 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3. 임상 생화학자 협회에서 발표한 종양 표지자 사용 가이드라인을 병원 교육 도구로 사용해, 필요한 환자에게만 CA125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대안을 통해 CA125를 난소암 진단의 정확한 표지자로 개발하려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답니다! 

 

 

✒️작성자: 유가인(gainn1021@naver.com)

🌟밝히자, 바이오 세상🌟

 

다음 글에서 만나요🖐🏻!!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Bi.markey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2개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 Goody

    0
    3 months 전

    비공개 댓글 입니다. (메일러와 댓글을 남긴이만 볼 수 있어요)

    ㄴ 답글
  • 레이첼

    0
    3 months 전

    너무 재밌어요 ㅜㅜㅜㅜㅜㅜ

    ㄴ 답글

© 2024 Bi.markey

밝히자, 바이오 세상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