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club

간암 biomarker 를 활용한 진단 및 예후 평가

임상 결과를 토대로

2024.04.15 | 조회 107 |
0
|

Bi.markey

밝히자, 바이오 세상

📜오늘 우리가 살펴볼 논문은?

  •   Toyoda, H., Kumada, T., Tada, T., Sone, Y., Kaneoka, Y., & Maeda, A. (2015). Tumor Markers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Simple and Significant Predictors of Outcome in Patients with HCC. Liver cancer4(2), 126–136.   

논문 바로가기⤴️


♾️ 간암의 바이오마커 Reminding

지난번에 간암의 작용 기전에 대해 알아보고, 간암의 biomarker 로서 기능하는 AFP (Alpha-feta protein) 에 대해 알아보았던 거, 다들 기억하시나요 ?

간암 환자의 진단 후 5년 간의 생존율을 살펴보면 약 40 % 내외로, 간암 환자의 예후는 좋지 않은 편이기에 biomarker 를 이용하여 최대한 빨리 진단하는 것이 중요해요❗

 


 

📷영상(imaging) 검사를 활용한 간암 진단

 

🧐영상 검사 (imaging studies) 가 뭐야?

영상 검사는, 다양한 장비를 활용하여 신체 내부를 파악함으로써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 후에는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데 활용하는 안전하고 비침습적인 검사 방법이에요!

 

🩻 영상 검사에 활용되는 다양한 장비들

영상 검사에는 다양한 기술을 적용한 장비들이 이용되는데요!

CT 촬영 | 출처: https://www.health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123
CT 촬영 | 출처: https://www.health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123

검퓨터 단층 촬영 (CT 촬영), 자기 공명 영상 (MRI 촬영), 초음파 검사, 방사선 검사 등을 대표적인 예시로 볼 수 있어요

 

😥 영상 검사로 간암을 진단할 때 생기는 문제점

영상 검사는 비침습적인 검사 방법이라는 점에서 유용한 검사 도구지만, 몇 가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기도 해요

1️⃣ 객관성이 떨어진다: 예를 들어 초음파 검사를 실시할 경우, 검사자가 기기를 다루는 능력에 따라 검사 결과가 다를 수 있어요 

2️⃣ 기기의 성능 (해상도, 이미징 기술 등) 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3️⃣ 미세한 침습성 혈관을 촬영으로 관찰하기 힘들다

 


🔢 간암 환자의 간 기능을 평가하는 지표: Child-Pugh score

임상에서 간암 환자의 간 기능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평가 지표가 있어요. 바로 Child-Pugh score 라는 건데요! 원래 이 지표는 수술 사망률을 예측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지만, 현재는 만성 간 질환 및 간 경변의 예후를 평가할 때 사용하고 있어요 

점수를 어떤 식으로 매기고, 이를 활용해서 간 기능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하나씩 설명해드릴게요!

 

📋 평가 항목 자세히 살펴보기 

  • 혈청 Bilirubin level & 혈청 Albumin level (이 둘을 합쳐서, ALBI 등급이라 부르기도 해요!)
  • 프로트롬빈 시간 (Prothrombin time)

: 프로트롬빈은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효소로, 프로트롬빈 시간은 출혈 이후, 간에서 프로트롬빈이 생성되어 혈액이 응고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해요.

  • 복수 (Ascites) 의 양

: 복수란 복강, 쉽게 말해 배 속의 공간에 액체가 차는 병을 말해요. 복수의 약 85% 가량이 간경변증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만큼, 복수의 양은 간의 기능과 관련된 중요한 지표랍니다

📍 간경변증이란?

간경변증이란, 간의 오랜 염증으로 인해 정상 간세포들이 파괴되고 굳어지면서, 재생결절 (작은 덩어리) 등의 섬유화 조직으로 바뀌어 간기능이 저하되는 증상을 말합니다

  • 간성뇌증 (Hepatic encephalopathy)

: 간성뇌증이란 간 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에서 의식이 나빠지거나 행동의 변화가 생기는 것을 말하며, 주로 간경변증 말기에 나타나는 만큼 이 질환 역시 간의 기능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답니다

위 5개의 항목들은 각각 등급을 나누어, 등급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고, 5가지 항목 각각의 점수를 합산하여 Child-Pugh Scoring 을 합니다.

평가항목1점2점3점
Total bilirubin (mg/dL)< 2.02.0-3.0>3.0
serum albumin (g/dL)>3.52.8-3.5<2.8
INR <1.701.71-2.30>2.30
AscitesNoneMildSevere
Hepatic encephalopathyNoneGrade 1-2Grade 3-4

📍INR: 개인의 Prothrombin Time 을 표준화된 기준에 맞춰 비율로 변환시킨 값

 

이렇게 간 기능 평가 기준으로 쓰이는 Child-Pugh Scoring 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사실, 많이 쓰이는 지표이기는 하지만, 한계점이 존재해요💦

복수의 양을 파악하는 것과 간성뇌증을 진단하는 것이 생각보다 쉽지 않기 때문인데요😥

  • 복수의 경우, 복용하는 약의 종류에 따라 그 양이 달라지기 쉽고
  • 간성뇌증의 경우, 발현되는 증상이 의식장애부터 신경학적 장애까지 매우 광범위하고, 명확한 판단 기준이나 발생 기전이 확립되지 않았기에 객관적으로 판단하기가 어렵다고 해요

🌟 Child-Pugh scoring 을 대신할 새로운 등급 체계, "BALAD score"

 

그동안의 연구 결과, 간암의 biomarker 와 관련된 몇 가지 사실들이 입증되었어요

1️⃣ 첫째, 간암의 지표로서 AFP, AFP-L3, DCP 혈청 표지자가 존재한다.

2️⃣ 둘째, 위 3가지 표지자 중, 발현된 표지자 개수가 많은 환자일수록 종양의TNM stage가 높았다.

📍TNM stage 란?

암의 진행 정도를 표현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 T = tumor (주 종양의 크기)
  • N = Lymph node (암 주위 림프절의 개수)
  • M = Metastasis (주 종양에서 다른 부분으로 전이되었는지)

위 3가지 요소를 종합하여, 0 ~ 4 단계로 분류해요

3️⃣ 셋째, 위 3가지 표지자 중, 발현된 표지자 개수가 많은 환자일수록 생존률이 낮다.

 

따라서, 3가지 혈청 표지자 AFP, AFP-L3, DCP 를 이용해서 간암의 예후를 평가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새로운 간암의 진행 정도에 관한 평가 체계를 구축했어요

그건 바로, 🌟BALAD score🌟 에요 !

기존에 간 기능을 평가할 때 사용해왔던

1) Bilirubin level 

2) Albumin level 

에 더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웠던 복수의 양과 간성뇌증 대신에 혈청 표지자인 

3) Lens culinaris agglutinin A-reactive fraction of AFP (AFP-L3)

4) AFP

5) DCP

를 간암의 바이오마커로 사용하기로 한 거에요!

( 5가지 항목의 앞 글자만을 따와서, BALAD 로 명명했어요 )

 

🤨 그럼 문제가 모두 해결된 걸까?

새롭게 제안된 BALAD score 는 혈청에 존재하는 바이오마커의 수치를 기준으로 등급을 매겨 이를 점수화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기존의 영상 검사나 child-pugh scoring 에서 문제가 되었던 "주관적인 평가" 라는 점이 해결된 평가 방식이에요

그렇지만, 이 혈청 표지자들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을 복용하거나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는 이 방식을 적용하기 힘들다는 한계가 여전히 존재한답니다🥺 

 


📚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

 

혈청 표지자들을 많이 발굴해낼수록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때 그 정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위에서 살펴본 것 이외의 다른 혈청 표지자들을 더 찾아보고 연구할 필요가 있어요 

( Glypican-3, insulin-like growth factor, osteopontin, golgi protein-73 등이 현재까지 제시된 후보 혈청 표지자라고 해요 )

 

빠른 진단을 통해 간암 환자들의 생존률을 높이게 되는 그 날까지!

간암 바이오마커 연구는 계속될 전망입니다

 

🖊️작성자: 임다은 (lde030513@konkuk.ac.kr)

 

이번 글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글에서 만나요 🖐🏻

 

🌟밝히자, 바이오 세상🌟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Bi.markey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4 Bi.markey

밝히자, 바이오 세상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