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15] 경청을 잘 하면 어떤 점이 좋은가요?

코칭 대화에서의 경청 시리즈(3)

2024.05.30 | 조회 132 |
0
|
from.
봄코치

봄코치의 코칭노트

여전히 낯설지만, 우리의 일과 삶에 꼭 필요한 코칭적 시선과 대화를 위하여.

작가 vectorjuice 출처 Freepik
작가 vectorjuice 출처 Freepik
구독자 님! 안녕하세요! 코칭으로 개인과 조직의 성장+성과+행복의 연결을 돕는 봄코치입니다! '봄코치의 코칭노트'에서는 리더들이 현업에서 코칭대화를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여전히 낯설지만 우리의 일과 삶에 꼭 필요한 코칭적 시선과 대화법을 나누고 있습니다! 5월에는 코칭 대화에서의 경청에 대해서 이야기 나누고 있습니다. 1) 모든 대화의 시작은 경청, 2)경청이 어려운 이유에 이어서 3) 경청하면 뭐가 좋은지, 그 효과에 대해서 함께 생각해 보려 합니다. 여러분은 누군가가 온전히 집중해서 들어준 경청의 경험을 가지고 계신가요? 그 경험은 어떤 경험으로 남아 있나요? 그 경험이 나에게 준 것을 떠올리면서 경청으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유익에 대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 경청의 효과


 경청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 기억나는 한 고객이 있습니다. 50대 남자분이었던 이 리더분은 첫번째 코칭 세션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하던 중 눈물을 보이기도 하셨습니다. 코칭을 마치기 전 이번 코칭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이 무엇인지 질문드렸는데요, 리더는 새로운 해결책의 발견이 아닌 '경청의 경험'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50년 넘게 살면서 누군가 나의 이야기를 1시간 넘게 온전히 귀기울여 들어준 경험이 처음이라는 걸 깨달았아요.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많은 것이 해결되는 것 같네요. 저도 말하기보다 많이 들어줘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렇듯 경청의 경험은 내가 존중 받았다고 느끼게 합니다. 또한 상대방의 경청으로 인해 나의 이야기를 충분히 하게 되면 말하는 과정을 통해서 의외로 많은 것들이 해소되거나 해결되고 뜻밖의 창의적인 솔루선을 얻게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저의 고객들도 충분히 들어들이기만 해도 가장 많이 하는 말이 '말하다 보니까 생각났는데요.'입니다.

 이런 경청하기는 아래와 같은 혜택을 주기도 합니다.

  • 자신의 의견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게 되고 의견과 느낌을 더욱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 다른 사람들의 말을 더욱 주의 깊게 듣게 됩니다. 
  • 다투려는 경향이 줄어듭니다. 
  • 다른 관점에 대해 더욱 수용적이 됩니다.

경청의 경험만으로도 우리는 보다 수용적이 되고, 대립의 대화가 아니라 협력의 대화로 깊이 있게 들어갈 수 있습니다. 즉, 깊은 경청의 경험은 내가 '존중' 받았다고 느끼게 하고 이로 인해 다른 사람도 존중할 수 있는 힘을 주는 것이죠. 이런 존중의 경험은 서로에게 신뢰를 만들고 심리적으로 안전한 분위기를 만듭니다. Google의 <아리스텔레스 프로젝트>에서 고성과 팀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심리적 안전감'을 꼽았는데요, 이런 심리적 안전감을 형성하기 위한 리더의 행동 첫번째로 '구성원의 말을 중간에 끊지 않고 끝까지 듣는다.' 였습니다. 두번째 역시 경청과 관련된 리더의 행동이었는데, '팀원의 말을 요약함으로써 귀담아 들었다는 것을 보여준다'였습니다. 이것만 보더라도 우리는 듣는 것만으로도 많은 유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물론, 앞의 뉴스레터에서도 다루었듯이, 판단하지 않으면서 끝까지 듣는 다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 문제입니다.  

실제로 리더의 코칭대화가 성공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냐고 묻는다면 저는 듣기와 말하기의 비율이 6:4 였다면 일단은 성공하신 거라고 말합니다. 그렇게 각오하고 들어가도 간신히 5:5가 되거나 리더가 더 많이 말하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참고로 전문코치들에게는 경청과 질문(말하기)의 비중을 8:2로 강조합니다. 

미국의 교육학자 '존 듀이(John Dewey)는 '인간은 누구나 중요한 사람이 되고 싶은 욕망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미국의 대법관이었던 올리버 웰덴 홈즈는  '말하는 것은 지식의 특권이고, 듣는 것은 지혜의 특권'이라고 말했습니다.  대화에서 내가 말을 함으로써 '중요한 사람'이 되고 싶은 욕구를 나도 모르게 충족하고 지식의 특권을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게 되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상대방도 똑같은 욕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고 경청을 통해 상대방도 중요한 사람이 되고 싶은 욕구를 채울 수 있는 지혜를 제공하는 대화를 나눌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연재 예고] 경청이 왜 어려운지, 그럼에도 경청을 잘 하면 어떤 유익을 얻을 수 있는지에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으니, 이제는 어떻게 하면 좀더 잘 경청할 수 있을까 함께 생각해 보면 좋겠습니다. 다음 뉴스레터에서는 아래와 같이 '경청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 ✔ 어떻게 들어야 하나? ✔ 무엇을 들어야 하나? ✔ Listen이 아니라, Recieve ✔ 경청할 때 제발 이것 만은 하지 말아주세요!

🎁 나에게 말을 거는 연습


[나에게 말을 거는 연습] 100일 프로젝트의 질문들을 복습하고 있습니다. [나에게 말을 거는 연습]을 통해 나에게 질문하고 답하면서 나 자신에 대한 전문성과 선명도가 높이는 Life pace-maker! 오늘은 경청의 경험을 떠올리게 하는 '환대의 경험'에 대한 질문을 가져왔습니다 :) 여러분 스스로에게 말을 걸고 경청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아요! 👉아래의 '복습하러 가기' 버튼을 누르면, Blog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복습하러 가기

📭News


자세히 보러가기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봄코치의 코칭노트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4 봄코치의 코칭노트

여전히 낯설지만, 우리의 일과 삶에 꼭 필요한 코칭적 시선과 대화를 위하여.

뉴스레터 문의 : bom-coach@naver.com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 | 070-8027-2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