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트레이딩 봇(김한빛, Arrowlabs Founder)

밈코인 트레이딩봇의 모든 것 - 텔레그램 봇 파운더 직강)

2024.10.07 | 조회 338 |
0
|
월스트리트 디파이의 프로필 이미지

월스트리트 디파이

월가 금융인과 크립토인이 함께 나누는 금융-디파이 이야기

CDFi 3번째 세션 <1>

hosted by 김한빛(Arrowlabs Founder)

 

*월스트리트 디파이의 세미나 내용은 유튜브에서 영상으로도 보실 수 있습니다. 

첨부 이미지

 

최근 크립토에서 Mass Adoption에 성공한 Telegram과 Telegram에 내재되어 있는 Trading Bot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Background
  2. Telegram Trading Bot
  3. Sniping
  4. Sniping 과정
  5. Sniping 세부 설정
  6. Sniping 유의 사항

Background

첨부 이미지

Meme Coin

Telegram Trading Bot은 Meme-Coin narrative를 바탕으로 엄청난 거래량을 기록했습니다. 그 바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2년 크립토에는 두가지 큰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바로, Luna-Terra와 FTX 사태입니다. 이후 크립토는 하락장을 겪었고, 2022년 말~ 2023년 초까지 이어졌습니다. 그래도 2023년 중순부터 지금까지 상승하는 흐름을 볼 수 있었습니다. 2021년과 같은 광기는 아니지만, 그래프를 보면 어느 정도 상승장의 흐름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번 사이클에 다양한 네러티브가 나왔는데, 그 중 주목을 많이 받았던 것이 Meme Coin 입니다. 하루에도 정말 많은 밈코인들이 수백 수천 개씩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Solana 기반 밈코인 런칭 플랫폼인 pump.fun에서는 6개월 만에 730,000 SOL의 수익을 얻었습니다. 현재 1 SOL = 대략 20만원 이므로, 거의 1,500억 원의 수익을 본 것입니다.

밈코인에는 강아지&고양이를 비롯한 동물 테마 뿐만 아니라, 호주 래퍼 Iggy Azalea가 발행한 시총 1,000억 원이 넘는 MOTHER를 포함하여 연예인 테마까지 다양합니다. 특히 최근 미국 대선을 앞두고 있으면서 대선 밈코인 인기가 지금까지도 뜨겁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MAGA인데, 트럼프의 선전 문구인 ‘Make America Great Again’에서 따왔습니다. 동일한 MAGA 티커를 갖고 있는 코인이 수십 개가 있으며, 해리스가 후보로 나온 이후 해리스를 본딴 밈코인도 나오는 상황입니다.

밈코인은 재밌고 수익을 얻기 위함 뿐만 아니라, 새로운 Go-to-Market 전략으로 설정 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Go-to-Market 전략이라 함은, 우선 프로젝트를 런칭하고 그 다음 유저를 모으면서 커뮤니티를 구축해가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그런데 밈코인은 자체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데 장점이 있다보니, 밈코인을 먼저 런칭해서 커뮤니티를 만들고 그 이후에 프로덕트를 붙이는 흐름이 현재 크립토에서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Community? Governance?

bonkbot.io
bonkbot.io


대표적인 예가 Solana 기반의 BONK 코인입니다. 강아지 밈코인으로, 커뮤니티를 만든 이후 오늘 이야기할 Telegram Trading Bot을 출시했습니다. 이 Trading Bot의 경우, 수수료 일부를 BONK 코인 소각에 사용하는 매커니즘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엄청난 히트를 기록했습니다.

밈코인이 이렇게 시장에 쏟아져 나오는 데에는 재미 또는 커뮤니티 등 다양한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번 사이클에서 주목할 부분은 ‘양복쟁이 밈코인' 입니다.

현재 알트코인(비트코인을 제외한 다른 코인들을 지칭하는 말)을 봤을 때, 사실상 거버넌스가 아닌 유틸리티를 확인할 수 없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거버넌스라는 것은, 토큰 보유자가 프로젝트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으로 코인에 있어 중요한 특징입니다. 하지만 증권성 이슈로 인해, 코인에 거버넌스 이상의 유틸리티를 붙이기 쉽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생각을 해보면, 일반 유저가 거버넌스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이 실상입니다. 토큰을 출시되는 ICO , Private Sales 및 투자 라운드에 Team과 VC가 상당 부분의 물량을 차지하게 됩니다. 또한, 라운드를 넘어갈수록 토큰 가치는 상승하게 되고 시가총액이 높아진 상태에서 시장에 풀리게 됩니다. 이렇게 높은 밸류 상태에서, Team과 VC가 대부분의 물량을 확보하여 일반 유저가 토큰을 보유하긴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일반 유저가 거버넌스에 영향을 끼치지 못하게 되고, 이렇게 되었을 때 밈코인과 거버넌스 토큰의 차이가 없게 된 것입니다. 그래서 많은 크립토 유저가 비판을 하고, 이러한 거버넌스 토큰이 구색만 갖춘 밈코인과 동일하다고 하여 ‘양복쟁이 밈코인'이라 불리는 것입니다.

Trading Bot의 등장과 성장

앞서 밈코인 트렌드에 대해 꽤 길게 알아보았는데, 이는 Telegram이 밈코인 트렌드에 가장 큰 수혜를 입은 프로덕트이기 때문입니다.

첨부 이미지

첫 Telegram Bot인 Maestro가 2022년 7월에 나왔습니다. 이미지 왼쪽 그래프와 같이 2023년 6월부터 거래량이 많이 나오기 시작했으며, 누적 거래량이 40조원 가까이 되었습니다. 오른쪽 차트는 2024년 4월 데이터인데, 프로토콜 거래 Fee 순위상으로 2, 3, 4위가 다 텔레그램 기반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최근 크립토 장이 좋진 않아서 순위가 다소 하락하긴 했으나, 15위 안에 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첨부 이미지

Telegram 4대 Bot으로 Trojan, Maestro, BananaGun, Bonk Bot 이렇게 4개가 가장 수익이 높습니다. Total User(지갑 수)를 보면 모두 40만 개 근처에 있으며, 많은 지갑이 이용을 하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또한 7일 평균 DAU 역시 Trojan을 제외하면 4~5천 정도 됩니다.

온체인 데이터를 보면, 대략 100~200개의 지갑이 대부분의 트레이딩 볼륨을 차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Total Transaction Volume이 원화로 환산했을 때 8~10조 원 규모임을 고려했을 때, 소수의 트레이더들이 엄청난 규모의 트레이딩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Telegram Trading Bot

첨부 이미지

Telegram Bot에 대해 설명할 때, Bot 기능을 쓰기 전과 후 비교를 합니다.

Bot을 쓰기 전에는, 1번부터 10번까지 과정을 거쳐야 DeFi에서 거래가 완료됩니다. 하지만 Bot을 사용하면 대부분의 과정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특히, DeFi에서 서명 과정을 생략하는 것이 되게 중요합니다. Telegram을 설치하고 접속한 다음, 버튼 클릭만으로도 DeFi 거래를 간단하게 성공시킬 수 있습니다.

첨부 이미지

앞의 과정을 도식화하면 위와 같이 볼 수 있습니다. DeFi 거래소를 이용하면 거래 과정 자체가 복잡하지만, Telegram Bot을 통해 간단하게 거래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간단할 수 있는 원리를 잠시 알아보겠습니다.

지갑의 프라이빗 키(Private Key)는 공개하면 안되는 정보 입니다. 일반적인 경우 지갑 서비스에 접속해서, Seed Phrase를 통해 지갑을 생성한 다음, 프로토콜 웹 사이트에 들어가서 거래를 진행하고 서명을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서명(Signature)이라는 과정은, 트랜잭션을 보냈을 때 이 트랜잭션이 맞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Telegram Bot을 사용하게 되면, 프라이빗 키를 Telegram Bot에게 제출하게 됩니다. 서명의 과정을 Bot이 대신하게 되면서 그 사이 많은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것입니다.

Functions of Telegram Trading Bot

첨부 이미지

Telegram Bot에는 크게 4가지 기능이 있습니다.

트레이딩의 경우, 앞서 설명한 기능 그대로 프라이빗 키를 제출하고 직관적으로 거래를 하는 기능입니다.

고래 지갑 추적은, 시장을 움직일 정도로 거래량이 큰 고래 지갑을 등록해두면 해당 지갑의 트랜잭션을 추적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합니다.

카피 트레이딩은, 해당 트랜잭션을 추적하는 것을 넘어서 트랜잭션을 그대로 따라해서 트레이딩을 진행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고래 지갑이 아니더라도 설정한 지갑의 모든 트랜잭션을 다 따라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기능이 바로 Sniping, 스나이핑입니다.

Sniping

첨부 이미지

스나이핑이란, 거래소에서 새롭게 상장된 토큰을 가장 빠르게 구매하는 방법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Transactions in Ethereum

먼저 기본적으로 이더리움에서 트랜잭션이 처리되는 과정을 보고, 스나이핑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알아봅시다.

첨부 이미지

사용자가 지갑을 통해 트랜잭션을 전송하면, 가장 가까운 이더리움 노드가 받게 됩니다. 그리고 이 노드가 주변 노드한테 트랜잭션을 전파합니다. 그리고 Validator, 검증자 노드가 이러한 트랜잭션을 모아서 검증을 합니다. 검증이 완료되면 하나의 블록으로 만들어서 블록체인에 기록하게 됩니다.

이때, 스나이핑 중 하나인 MEV Boost라는 개념이 나옵니다. 트랜잭션 처리 과정에서 MEV Boost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MEV

MEV, Maximal Extractable Value는 검증자가 블록에 들어가는 트랜잭션들의 순서를 재정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최대 추출 가능한 가치를 말합니다. 블록체인에서는 아직 블록에 들어가지 못한 트랜잭션들이 모여있는 Mempool이 존재하고,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MEV가 작동할 수 있습니다.

MEV 작동 예시누군가 대량의 토큰을 구매하는 트랜잭션을 발생시켰다고 가정해봅시다. 이때, 검증인은 해당 트랜잭션의 순서를 뒤로 미루고 본인이 먼저 토큰을 구매하는 트랜잭션을 넣을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본인이 구매한 이후 토큰 가격이 오르게 될 것이고, 상승한 가격을 바탕으로 매도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깁니다. 이렇게 먼저 뛰어가서 거래하는 것을 Front Running, 트랜잭션 이후 거래하는 것을 Back Running이라고 말합니다.

이러한 MEV에서 MEV Boost라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는데, MEV Boost는 MEV 추출 기회를 더 많은 사람에게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더 효율적으로 MEV가 추출될 수 있도록 합니다.

MEV Boost

MEV Boost에는 Searcher, Builder, Validator 이렇게 3가지 주체가 있습니다.

Searcher는 트랜잭션이 모여있는 Mempool에서 트랜잭션을 번들로 묶은 뒤에 Builder에게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Builder의 경우 Searcher로부터 받은 번들을 바탕으로 블록을 생성하고, Validator에게 블록 생성 보상과 함께 블록을 전송합니다. 이 과정에서 Relay라고 하는 중개 서버가 있습니다. Relay는 생성된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유효한 경우 Validator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Builder와 Validator 사이에서 담합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막습니다.

마지막으로, Validator는 Relay로부터 전달받은 블록의 유효성을 최종적으로 검증하고 유효하다고 판단내릴 경우 Ethereum 네트워크에 추가합니다.

Sniping 작동 원리

Telegram Bot을 통해 Sniping을 할 경우, 결국 Searcher 역할을 하게 되는 것과 같습니다. Bot이 트랜잭션을 번들로 만들어서 Builder한테 전달합니다.

이더리움에서 높은 Gas Bid를 작성하면 트랜잭션이 먼저 처리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격적인 Sniper의 경우, 높은 Bid를 제출하기도 합니다. Bid를 작성하게 되면, DEX(탈중앙 거래소)에서 신규 코인이 상장될 때 가장 빠르게 구매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Sniping 과정

1. 지갑 세팅

첨부 이미지

Telegram Bot에 들어가면 이렇게 세팅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이 과정은 생략해도 괜찮으나, 여러 지갑을 운영하려면 세팅이 필수적입니다. Settings에 들어가면 Wallet Setup 버튼이 있고, 이 버튼을 클릭하면 새 지갑을 생성하거나, 기존 지갑을 Import 시킬 수 있습니다.

사진은 Wallet Create를 진행하는 예시입니다. 지갑을 생성하면 Address와 Private Key가 나오게 됩니다. Private Key는 비밀번호와 비슷한 개념으로 관리를 잘 해야합니다.

전 화면으로 돌아와서, Default Wallet 버튼이 있습니다. 지갑을 여러개 등록했을 경우에 메인으로 사용할 Sniping Wallet을 선택하는 버튼입니다. 가운데 그림처럼 이름을 변경하거나 현재 SOL 갯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Solscan을 통해 지갑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토큰 컨트랙트 찾기

첨부 이미지

다음 단계는 토큰 컨트랙트를 찾는 것으로, 가장 핵심적인 과정입니다. 토큰 컨트랙트를 찾는다는 것은 결국 알파 정보를 찾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트위터나 텔레그램을 통해 신생 프로젝트에 대한 리서치를 진행할 수 있고, Sniping을 많이 하는 지갑에 대해 카피 트레이딩을 통해 컨트랙트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트레이더들이 모여있는 그룹에서 정보를 얻어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방법보다 훨씬 더 쉽게 찾는 방법은 Solana Scanner라는, Token Contract Scanner Bot이 있는데, 이 봇을 이용하면 Solana 기반의 신생 코인 정보를 다 알려줍니다. 위 화면과 같이 정보를 즉각적으로 받아서 볼 수 있어 편리합니다.

모든 정보를 다 보여줘서 편리한 부분도 있지만, 몇가지 체크해야할 사항이 있습니다. Security 안에는 Mint, Freeze, Update 항목이 있습니다.

Mint의 경우, 토큰을 발행한 이후 추가로 토큰을 발행하는 기능입니다. 토큰을 무한정 발행할 수 있게 되는 위험한 기능이므로, 반드시 체크해야할 것 같습니다.

Freeze는 지갑을 동결하는 기능입니다. 지갑을 동결하게 되면 코인이 있어도 전송할 수 있게 되므로, 이 부분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Update 같은 경우, 컨트랙트는 한번 배포되면 수정할 수 없으나 Update 기능이 있으면 수정이 가능합니다. 배포된 이후 수정될 경우, 러그풀의 확률이 높아지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Tokenomics 부분에서는 Tax를 주의해야 합니다. Token Tax가 과도하게 설정되어 있으면 토큰 매매할 때마다 Tax를 내야하므로 몇 %인지 확인을 해야합니다. 보통 0%이므로 0%인 토큰을 위주로 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마지막으로 Creator Details에서는 Dev Wallet이 토큰을 얼마나 갖고 있는지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개발자가 너무 많은 토큰을 갖고 있다면, 가격이 올랐을 때 던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Wallet Histroy를 확인해서 이 Contract Wallet이 이전에 러그풀을 했을 지 확인을 해야합니다. 러그풀이 있다면 ‘Decent’가 아니라 위험하다는 경고를 띄웁니다.

이 모든 체크를 끝내고 마음에 든 코인이다라고 하면, 밑에 있는 Trojan, Bananagun 등의 버튼을 클릭해서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Address 주소를 복사한 다음 직접 Sniping을 할 수 있습니다.

3. Sniping 실행

첨부 이미지

왼쪽 화면의 Auto Sniper 버튼을 클릭하면, 오른쪽 화면의 Message 입력란이 뜹니다. 방금 복사한 Token Contract Address를 복사한 뒤 Enter를 하면, 아래의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첨부 이미지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왼쪽 화면의 빨간 박스, SOL 가격 설정입니다. 스나이핑을 할 때, 얼마만큼의 SOL 수량으로 진행할 것인가 체크하는 것으로 0.1~ 2 SOL 안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마음에 드는 수량이 없을 때는 X SOL 버튼을 클릭한 뒤 원하는 수량을 직접 넣을 수도 있습니다.

수량을 넣고 나면, Buy Pending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여기서 시간이 좀 걸리는데, 이후 성공을 하게 되면 Success Message가 뜨게 되고, 전체 과정을 보고 싶다면 Solscan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Sniping 세부 설정

첨부 이미지

Sniping을 진행하면서 세부 설정들을 조정할 수 있고,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우선 첫 번째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 FoF 입니다. Sniping을 하는 주된 이유가, 첫번째 번들에 들어가서 코인을 가장 빠르게 사는 것입니다. FoF, First bundle-or-Fail이라는 기능은, 첫번째 번들에 못 들어가게 되면 그 트랜잭션을 아에 취소시키는 기능입니다.

러그풀(Rug-Pull)은 양탄자(rug)를 갑자기 잡아당겨(pull) 그 위에 선 사람을 넘어뜨린다는 뜻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크립토에서는 코인을 기반으로 한 사기 행위를 뜻하는데, 이러한 Rug Pattern은 수도 없이 많습니다. 하지만, 정형화된 패턴을 파악한 다음, 만약 Rug Pattern이 확인되었다면 트랜잭션을 취소하는 Anti-rug 기능도 있습니다.

Transfer on Blacklist은, Sniping Bot과 개발사가 싸우는 기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개발사의 입장에서는 Sniping Bot이 먼저 들어오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Sniping Bot을 확인하자마자 그 계정을 Freeze 시켜버립니다. Bot 유저 입장에서는 Freeze가 되면 안되기 때문에, Sniping이 성공하면 계정이 Freeze 되기 전에 다른 지갑으로 토큰을 보내버립니다.

Auto sell 기능은, 개발자가 물량을 갖고 있고 개발자가 먼저 물량을 던져버리면 Sniping으로 선점한 이유가 없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손절 범위를 설정하고 Take Profit 또는 Stop Loss가 되었을 때 그 범위 안에서 자동으로 매도하는 기능입니다.

Sniping 유의 사항

첨부 이미지

이제 Sniping 진행 시 유의 사항을 안내 드리겠습니다.

첫 번째로, Private Key가 가장 중요합니다. Bot을 통해 Sniping 진행 시, Private Key를 제출해야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험한 경우가 많이 나올 수 있으므로 이 부분을 염두해 두고 Bot을 이용해야합니다. 전체 자금이 담겨있는 지갑 주소 대신, Sniping을 위한 전용 지갑을 만들어 해당 자금만 사용하는 방식이 있을 것 같습니다.

두 번째는 수수료입니다. 탈중앙 거래소인 DEX를 이용할 때 수수료를 내야하듯이, Trading Bot을 사용할 때도 수수료를 내야합니다. 따라서 DEX, Trading Bot 두 곳에 수수료를 내야하는 이중 수수료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 부분도 알아두고 진행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Rug-Pull Pattern입니다. 이 패턴은 정말 다양합니다. Whitelist 라고, 등록된 지갑만 거래하도록 강제하는 방법, 반대로 등록될 경우 거래를 못하게 되는 Blacklist 방법, 또는 임의로 지갑의 토큰 Balance를 바꿔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개발자가 Honeypot으로 시장에 던저버리는 경우도 있는 등 다양한 케이스가 많기 때문에, Sniping이 성공해도 수익을 못 얻는 경우가 대다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케이스를 고려하고 Sniping을 진행해야 성공 확률이 조금이라도 올라간다고 볼 수 있습니다.

Epilogue: CDFi만의 잡담

한빛님 트레이딩 팀의 알파 계정 카피 트레이딩

트위터에 알파 계정을 발견합니다. 이 알파 계정은 트레이더인데, 알파 정보를 잘 찾는 계정을 말합니다. 이런 계정이 10개 정도가 있다고 치면, 해당 계정이 팔로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찾아냅니다. 알파 계정이 중복적으로 팔로잉하는 프로젝트일 경우 추가 점수를 부여하는 식으로 프로젝트를 추려내어 트레이딩을 진행했습니다.

왜 신생 코인을 타겟으로 하는가?

BONK, WIF, 그리고 BOME 등 Solana 기반으로 한 엄청 큰 규모의 밈코인들도 많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밈코인을 기반으로 Sniping이나 MEV를 진행을 할 수는 있으나, 수익을 얻기에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DEX 뿐만 아닌 CEX에 상장되어 있는 밈코인의 경우, DEX에서와는 또 다른 움직임을 갖고 있고 온체인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만약 DEX에만 상장되었다고 해도, 거대한 밈코인에는 정말 많은 Sniping 또는 Arbitrage Bot이 달려있고, 정말 엄청난 실력의 Bot들도 많이 존재합니다. 일반 사람들이 수익을 얻기에는 다소 어려운 구조라고 생각하고, 따라서 오히려 규모가 작은 신생 코인에 Sniping을 진행하여 큰 Return을 얻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이런 Sniping은 일부 개발자들만이 알고 진행하는 작업이었습니다. 하지만 Maestro가 Sniping을 공개해서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플랫폼을 출시한 이후, 이런 Trading Bot과 Sniping이 많이 활성화가 된 것입니다. 전문적으로 Sniping을 하는 집단의 경우, 세계 각지에 고성능 서버를 두고 있으며 Solana 체인에 대한 깊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정말 빠르게 진행하기 때문에 개인들과는 큰 차이가 존재합니다.

개발자 물량

DEX는 기본적으로 Token Pool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A-B Pair로 구성된 Token Pool이 있다고 해봅시다. A:B의 비율에 따라서 가격이 결정됩니다. 개발자 물량은 이러한 Token Pool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개발자 지갑으로 따로 빠져있기 때문에 가격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주지 않습니다.


해당 자료는 CDFi 세미나에서 진행한 세션 내용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해당 자료의 저작권은 CDFi 및 발표자에게 귀속되며, 어떤 형태로든 동의 없이 복제, 변형,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https://maily.so/cdfi

유튜브: Youtube_월스트리트디파이

텔레그램(뱅크리스 코리아): https://t.me/BanklessKorea

트위터(뱅크리스 코리아): https://twitter.com/BanklessKorea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월스트리트 디파이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4 월스트리트 디파이

월가 금융인과 크립토인이 함께 나누는 금융-디파이 이야기

메일리 로고

자주 묻는 질문 서비스 소개서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사업자 정보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 | 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