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달의 이슈]
글로벌 다중소재 AM 기술 각축전, 핵심은 정밀 도포 공정금속 적층제조 기술에서 다중소재 활용이 본격적으로 상용화 단계에 들어섰습니다. 기존 단일 소재 기반과 달리, 다양한 금속 분말을 하나의 층에 정밀하게 구분하여 도포할 수 있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기능이 복합된 고부가가치 부품 생산이 가능해졌습니다.
대표적으로 벨기에의 Aerosint와 중국의 Kings 3D는 Selective Powder Deposition(SPD) 기술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려는 전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SPD는 필요한 영역에만 서로 다른 금속 분말을 정확히 도포할 수 있는 핵심 기술입니다.
독일의 Fraunhofer IGCV는 로봇 기반 리코팅 방식으로 부분 분말 공급 기술을 연구 중이며, 미국 Grid Logic’s는 직교 로봇을 이용한 정밀 도포 시스템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중국 CISRI는 PBF 기반 '3D-Alloyer' 장비를 개발하고 있으며, 전시회에서 직교 로봇 방식 기반의 다중소재 응용 가능성을 공개한 바 있습니다.
국내 기업들도 이 같은 글로벌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기술 확보와 공정 최적화, 차별화된 상용화 전략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기술 포커스]
Aerosint, SPD 기술로 최대 3종 금속 분말 동시 도포
Aerosint는 자체 개발한 SPD 기술을 통해 최대 3종의 금속 분말을 하나의 레이어에 선택적으로 도포할 수 있습니다. 기존 블레이드 방식의 단일 분말 도포와 달리, 다양한 금속을 하나의 공정에서 구분하여 배치함으로써 복합 기능성 부품 제조를 실현합니다.
SPD 기술은 L-PBF, 바인더 제팅, 다이 필링 및 소결 등 다양한 적층제조 방식에 적용 가능합니다. 대표 장비인 AconityMIDI+는 SPD 리코터가 통합된 세계 최초 상용 다중소재 금속 프린터로, 교체 가능한 리코터 모듈과 사용자 친화적인 제어 소프트웨어를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소형 실험용 장비인 AconityMICRO에도 SPD 기술이 적용되며, Aerosint는 다양한 조합의 금속 및 세라믹 소재로 응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 [산업 응용 사례]
Kings 3D, 중국형 다중소재 AM 솔루션 도전
Kings 3D는 Dimetal 시리즈를 통해 이종 금속 프린팅 시장에 진입했습니다. 해당 장비는 블레이드 방식으로 분말을 도포하고, 영역을 나누어 제거하는 단순한 방식이지만, 정밀한 공정 구현에는 기술적 한계가 존재합니다. 특히 자동화가 어렵고, 잔여 분말 처리 기술도 보완이 필요해 대량 생산에는 아직 적합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하지만 Kings 3D는 연구용 장비 공급과 엔지니어링 실증 경험을 바탕으로 제품 개선을 추진 중이며, 전시회 출품 및 마케팅 활동을 통해 인지도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향후 분말 제어 기술과 공정 정밀도가 개선된다면, 자체 다중소재 솔루션으로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 [정책 및 지원 정보]
중소벤처기업부, 2025년 '첨단금속소재 AM 상용화 지원사업' 공모 예정
정부는 첨단금속 기반의 적층제조 기술 상용화를 위해 2025년부터 신규 지원사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다중소재 AM 기술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부품 개발과 양산 공정 구축을 위한 통합 지원 프로그램을 기획 중입니다.
이번 사업은 장비 지원을 넘어 시제품 개발, 공정 최적화, 품질 평가, 신뢰성 검증, 후처리 기술 대응까지 포괄합니다. 특히 이종소재 간 접합부 안정성과 공정 내 반복성 확보를 위한 실증 및 평가 인프라 구축이 핵심입니다.
공공 연구기관과의 협업, 실증 장비 공동 활용, 중소기업 맞춤형 컨설팅도 포함될 예정이며, 향후 시범 라인 운영과 양산 연계까지 고려된 중장기 전략으로 추진됩니다.
👉 출처: 중소벤처기업부 2025년도 예산안 사전공고 및 산업부 AM 기술개발 로드맵 초안 (2024년 12월 기준)
🧐 [AM 용어 한 입]
Selective Powder Deposition (SPD)SPD는 기존처럼 금속 분말을 전층에 일괄 도포하는 방식과 달리, 필요한 위치에만 정밀하게 다양한 금속 분말을 배치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금속 소재를 하나의 레이어에 혼합 없이 정밀하게 도포할 수 있어, 이종소재 프린팅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다음 소식 예고]
“금속 PBF 제품, 품질관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다음 호에서는 금속 Powder Bed Fusion(PBF) 방식으로 제조된 제품의 품질관리 기법을 소개합니다. 적층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 결함인 층간 기공, 미세균열, 열변형, 미흡한 용융 상태 등에 대한 진단과 대응 방안을 중심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비파괴 검사 방법으로는 CT(Computed Tomography) 촬영을 통한 내부 분석, 열화상 카메라에 의한 열적 이상 탐지, 표면 레이저 스캐닝을 활용한 형상 정밀도 확인이 있으며, 기계적 물성 확보를 위한 인장시험, 경도 측정, 잔류응력 평가 등도 함께 조명합니다. 또한 공정 전·중·후 단계별로 적용 가능한 품질 모니터링 기술과, HIP나 열처리 등 후처리 기반의 품질 보증 방안도 함께 다룰 예정입니다.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