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학기, ㅇㅇ 연구실"
저는 2019년 1월에 박사학위를 시작했는데요. 첫 학기에는 너무 아무것도 모르고 영어도 못하기도 해서 지도교수를 찾는 것도 어려웠죠. 제가 학기가 시작하고 2주 뒤에 미국에 도착했는데 수업도 필수 수업이라는 거 두 개 정하고 그럴 때였는데 그중 한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님이 너무 친절하여도 좋아보시더군요. 게다가 제가 전에 조금이라도 해봤던 방사능 쪽을 하는 교수님이시기도 해서 그 교수님께 지도교수가 되어주실 수 있는지 여쭤봤는데 흔쾌히 수락해 주셔서 그 랩에서 첫 학기 보냈어요. 잘 안 되는 영어로 친구들과 소통하고 랩 미팅에 들어가서 뭔가 발표하는 게 쉽진 않더군요. 하지만 영 연구가 재미없고 교수님께서 연구보단 수업을 중시하셔서 랩에 돈이 별로 없다더군요. 그래서 다른 교수님들에게 이메일을 보내서 제 자리가 있는지 알아보기 시작했죠.
"연구실 CYNICS"
다른 교수님들은 보통 지금은 저를 지원해 줄 수 없지만 제안서를 써놓은 상태이다라던가 아니면 정중한 거절을 하셨어요. 그러던 중에 지금 저희 교수님께 이메일을 보냈는데 일단 보자고 하시더라고요. 첫 학기가 끝나기 전 교수님 사무실에서 이런저런 얘기를 하고 저에게 지금 교수에게 말하고 왔냐고 해서 얼떨결에 그랬다고 했더니 대뜸 자기 학생들 있는 사무실에 데려가더니 새로운 애 왔다면서 자리랑 컴퓨터를 지정해주고 가더군요. 당시에는 박사학위 중인 여학생 두 명이 있었고 여름방학에 새로 학사 과정 친구가 박사과정으로 들어온다는 거예요. 그리고 인턴가 있는 친구까지 하면 이렇게 총 5명이긴 했죠. 여하튼 얼떨결에 현재의 연구실에 정착하게 되었고 그때의 멤버들과 친하게 잘 지냈어요. 이 멤버들이 제가 기억하는 저희 연구실에 원년 멤버들이고 자기 할 일은 그래도 잘할 줄 아는 멤버들인 것 같아요.
"지금 우리 연구실은"
지금 저희 연구실에는 3명의 포닥, 6명의 대학원생, 한 명의 학부생이 있고, 그 외에도 공식적으로 포함되어 있진 않지만 프로젝트를 같이 하는 학생들이 2-3명 정도 더 있는 것 같아요. 저희 과에서는 그래도 학생수가 많은 편이고 지난번 연구소별 포스터를 발표할 기회가 있었는데, 저희 연구실에서 발표도 정말 많이 하고 예전에 비해 활동도 많이 늘고 크기도 커진 느낌을 많이 받았어요. 게다가 교수님께서 아직도 좋은 학생을 찾고 있다고 하니 아마 내년에는 좀 더 커지지 않을까 싶네요.
"요즘 저희는 이런 걸 연구하고 있어요"
- 협동과정 조경학 강유진(박사수료), 송영근 교수(환경설계학과): "Partitioning Seasonal Beta Diversity of Fish fauna Using Environmental DNA metabarcoding in urban streams" 구두발표_ICLEE 2024, 일본 기타큐슈, 2024.10.04~06
- 협동과정 조경학 김가우(박사수료), 송영근 교수(환경설계학과): “Monitoring the wetland biodiversity of Protected Areas by eDNA metabarcoding” 포스터 발표_2024 ESA(The 2024 Conference of the Ecological Society of America), 롱비치, 2024.08.04~09
- 환경설계학과 김재연(석사과정), 송영근 교수(환경설계학과): “Classification of AbandonedRice Paddy Fields based on Remote sensing and Terrestrial Insect Biodiversity Analysis in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구두발표_ICLEE 2024, 일본 기타큐슈, 2024.10.04~06
- 환경설계학과 문지원(석사과정), 송영근 교수(환경설계학과): “Changes in Land Use and Their Effects on Ecosystem Services: A Case Study of Seoul Metropolitan Area, South Korea (2007-2050)” 구두발표_ICLEE 2024, 일본 기타큐슈, 2024.10.04~06
- 환경설계학과 노지선(석사과정), 송영근 교수(환경설계학과): “묵논습지 식생 탄소저장량 추정을 위한 LiDAR 기반 분석 연구” 구두발표_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24.12.05~06
- 협동과정 조경학 윤지원(박사과정), 송영근 교수(환경설계학과): “자연기반해법 적용에 따른 제주도 산림 지역의 생태계서비스 및 생물다양성 변화 분석” 구두발표_대한원격탐사학회, 2024.10.17
- 환경설계학과 김현수(석사과정), 송영근 교수(환경설계학과): “반달가슴곰(Ursus thibetanus ussuricus) 모니터링을 위한 Airborne eDNA 활용 가능성 평가” 포스터발표_한국환경유전자학회, 2024.12.12
3) 학회지 논문 출판
- 협동과정 조경학 강유진(박사수료), 한승우(박사수료), 송영근 교수(환경설계학과): “Optimising eDNA analysis for urban otter monitoring: seasonal patterns, detection strategies and prey availability”_2024, Metabarcoding and Metagenomics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