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더리움이 지분증명 전환을 성공해서 그동안 비트코인 등의 블록체인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을지

- 그는 "이더리움이 PoS로 전환되면 공격하기 어려운 네트워크가 될 것"이라며 "또 이더리움 에너지 사용량 99.99%를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 PoW(작업증명)에선 연산을 통한 블록 검증이 진행되기 때문에 상당한 전력을 소비한다. PoS(지분증명)로 전환되면 가상자산 보유 지분에 따라 블록을 검증하기 때문에 전력 소비가 대폭 줄어드는 것이다.
- 레이어1은 합의 알고리즘을 규정, 레이어 블록 생성·승인을 규제하는 프로토콜로 블록체인상에서 각종 서비스가 구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말한다.
- 레이어2는 레이어1의 느린 트랜잭션 속도나 높은 수수료를 보안하는 사이드 체인으로 폴리곤, 오세미고 등이 대표적인 이더리움 기반 레이어2다.
- 비탈릭 부테린은 "이더리움은 레이어2를 위한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더리움이 이용자와 직접 상호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더리움 기반 레이어2가 이용자들과 상호작용하게 되는 것이란 설명이다.
- 레이어2 솔루션을 지원함으로써 이용자들과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이 블록체인을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다.
# 기사요약글입니다. 원문 링크를 확인하세요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