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세선, 이동평균선, 지지, 저항 등등 다양한 방법들을 알려드리려고 한다. 잘 따라오셔서 도움이 되시길 바란다.
추세선
추세선의 정의
추세선은 한 방향의 흐름을 나타내 주는 선이라고 할 수 있다. 추세선은 2개 이상의 지지 혹은 저항을 받을 때 우리가 하나의 추세선이라고 설정 할 수 있다. 위 사진처럼 말이다.
위 사진은 이더리움이 3번 이상 지지를 받은 추세선의 예시다.
위 사진은 이더리움 일봉 차트로 고점에서 대각선 추세를 그어볼 때 3번의 저항을 받아 하락 한 것으로 보인다.
위 두 사진을 보고 혹시 깨달은 것이 있는지 모르겠다. 그렇다. 추세선은, 지지하거나 저항 받는 횟수가 많아질 수록 기술적 분석을 했을 때 이탈 할 가능성이 있다.
추세선은 어떨 때 사용하나?
추세선은 대부분 중장기적인 매매를 할 때나 기술적 분석을 토대로 스윙 매매를 할 때 유리하다.
추세선은 단순히 하나의 추세선만 그으는 것 보다 여러 의미있는 추세선을 이어보면서 근거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비트코인 위 사진을 예를 들어보면, 저항선과 채널의 하단 추세선 그리고 대략 24k에서 이어지는 추세선 등 3가지의 추세선이 겹친다. 이 겹치는 구간대들을 공통 구간이라고 하는데, 이 구간들이 서로 겹치니까 주가가 저항을 받고 내려가는 모습이 확인 된다.
즉 추세선이 많이 겹칠 수록 그 구간대는 확률이 높은 자리인 것이다. 단, 조심해야 할 것이 추세선이 의미있게 그어지고 작도 되어야 한다. 의미가 전혀 없는 추세선은 깨질 확률이 더 높다.
보통 우리가 의미가 있다는 추세선 작도는 현재 가격의 위치와 연관 되 있냐 안 되 있냐를 구분해서 판단하게 된다.
이동평균선
이동평균선은 말 그대로, 이동하는데의 해당 기간 안에 평균 수치와 흐름을 나타낸 선이다. 그래서 예를 들어보자면 5일선이라고 한 다면 5일동안 이동하는데 해당 평균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이동평균선은 보통 어떤 것으로 보나?
주로 주식시장에서 이동평균선(이평선)은 5일선, 20일선, 60일선, 120일선을 나타낸다. 정말 그 이상을 본 다면 240일선과 480일선도 본다.
코인 시장은 50일선 100일선 200일선을 보지만, 나는 의미가 없다고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주식시장의 영향을 받는 변동성이 있는 장 시간들이 주로 월요일부터 금요일 사이이기 때문이다.
골든 크로스 데드 크로스 그리고 정배열과 역배열
이동평균선에서는 골든 크로스와 데드 크로스 그리고 정배열과 역배열을 봐야 한다.
이동평균선의 골든 크로스란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 위로 올라가는 것을 뜻하고,
데드 크로스란 그 반대로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하락하는 움직임을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정배열과 역배열은 이동평균선이 나란히 기간별 순서대로 위치해 있는 상황들을 의미한다.
데드 크로스 때는 매수를 안 하는 것이 좋으며, 주식시장에서 종합주가지수가 데드크로스가 발생 할 경우 매수를 안 하는 것을 추천드린다.
보통 데드크로스와 골든 크로스때 매수를 하는 것은 큰 코 닥치기 마련이다. 골든 크로스가 일어 난 후 단기 이동평균선에 조정을 주는 지 제차 확인 하고 들어가야 한다.
위 사진을 토대로 보면, 비트코인이 15K에서부터 급 상승 하고 난 후 조정을 준 다음 다시 올라갔던 모습이 보인다. 만약 골든 크로스가 일어났다고 해서 매수를 했다면 큰 코 닥치기 마련인 상황이 왔을 것이다.
위 사진도 보게 되면, 과거 2022년 이전의 상승장을 볼 때 상승을 하며 골든 크로스가 일어 났지만, 다시 조정을 보인 후 제차 상승한 모습이 확인 된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이동평균선이 골든 크로스가 일어 났는데, 이동평균선과 가격의 간격이 넓어지면 매수를 금지해야 손실이 안 난다. 조정이 올 때 매수를 하는 것을 적극 추천드린다.
지지와 저항
지지와 저항이란 말 그대로 버티느냐 아니면 뚫냐로 정의된다.
지지는 버티는 지를 보는 것이며 저항은 가격이 더 위로 올라가지 못하고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 지지와 저항은 추세선에도 적용되며 추세선도 지지와 저항선으로 적용 가능하다.
지지와 저항은 선으로 보기 보단 매물대 박스로 보는 것을 추천드린다.
왜냐하면 면적과 선은 신뢰성의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선은 이탈 했는지 명확하게 구분 할 수 없지만, 박스는 면적이 있기 때문에 구분하기 쉽다.
지지선과 저항선은 이탈 될 가능성이 있고 많이 횟수가 증가할 수록 이탈 가능성이 높다.
마무리
오늘은 차트 분석을 하는 방법들을 설명 드렸다. 지지, 저항, 이동평균선, 추세선들 까지 설명 드렸다. 다음에는 또 다른 분석 방법들을 설명 드리겠다.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