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 Hunt는 각종 IT 서비스들을 모아놓은 메이커 플랫폼입니다. 전 세계 400만 명이상의 회원 수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일간 ProductHunt는 매일매일 메이커들이 올리는 서비스들을 소개합니다.
1. Twinr 2.0

어떠한 웹사이트든 몇 분안에 모바일 앱으로 변환해 준다고 하네요. 정말 그렇다면 엄청난데요, 제가 한 번 해보겠습니다. 다음은 앱을 만들기 전 모습입니다.

제 블로그로 한 번 앱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앱을 만들고 대시보드에 들어가니 이런 화면들이 나타나는군요.



페이지들을 둘러보니 앱을 구성하는 단계를 전부 웹사이트 안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만들었네요. 미리보기 앱도 있었는데 아직은 안드로이드에서만 설치 가능하네요.
2. SpiritMe

텍스트와 아바타를 넣으면 몇 분 동안의 작업 후 아바타가 입력한 텍스트를 말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입니다. 작업 화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말하게 할 아바타를 선택하고 원하는 텍스트를 입력한 뒤 Generate를 누르면 비디오 파일이 생성됩니다. 메일리에 비디오는 올릴 수 없어 주소로 대체합니다.
https://cdn.spiritme.tech/media/videos/9847d981f45a11b4eba77e884cc09d1ab913918f.mov
3. Spot 3.0

간단히 말해 "메타버스 사무실"이네요. 한 번 들어가 볼까요?

신기하네요, 꽤 많은 맵들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아바타를 커스텀할 수도 있습니다. Continue를 누르면 이제 메타버스가 시작됩니다!

결과는... 놀랍네요! 메타버스 사무실이 완벽히 구현되어 있네요. 이리저리 둘러본 경험으로는 메타버스를 이렇게 접목하면 의외로 굉장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메타버스 공간 안에서 다음과 같은 행동들을 할 수 있습니다.
- 움직이기, 앉기 등의 기본 행동
- 회의실 스크린에서 카메라 공유, 화면 공유, pdf 파일 공유, 투표, 유튜브 감상, 스케쥴링, 타이머, 보드게임 가능
- 이모지 리액션을 아바타가 흉내냄
- 사무실 꾸미기 (테이블, 벤치, 컴퓨터, 화단 등등)
그 외 다음과 같은 기능들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슬랙과 같은 채널 기능을 거의 그대로 구현(사진 왼쪽 참고)
- 마이크, 카메라, 화면 공유, 초대 기능
4. Wiki2Map

위키피디아를 대화형 및 시각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변환한 사이트네요. Elon Musk를 검색해보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Tesla를 클릭해보니 이러한 식으로 확대가 됩니다. 그 외에는 별 기능은 없는 것 같습니다.

5. Aryel

증강 현실 관련 테스트를 하기에 용이한 서비스인 것 같습니다. 대시보드는 대략 다음처럼 되어있습니다.

의견을 남겨주세요
namgi.min
SpiritMe 에 본인의 목소리까지 적용이 된다면 정말 재밌겠네요!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