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 때마다 돈 번 사람들의 공통점 3가지

모두의 Yes는 No 모두의 No는 Yes?

2025.05.09 | 조회 60 |
0
|
퀀트 다이제스트의 프로필 이미지

퀀트 다이제스트

데이터로 읽는 시장. 데이터로 하는 투자.

요즘 경제 뉴스만 보면 온통 '위기'라는 단어뿐이죠. 하지만 이런 순간에 오히려 더 큰 돈을 번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뭘 달랐던 걸까요?

📉 위기를 겪을 때마다 돈을 번 사람들의 세 가지 공통점, 지금부터 정리해드릴게요.


1. 위기를 '싸게 사는 기회'로 본다

📌 대다수 사람들은 위기 때 무서워서 '팔아요'. 하지만 이들은 그 반대. “좋은 자산이 싸게 나왔네?” 하며 담습니다.

💬 예시

  • 2008년 금융위기 때 워런 버핏은 “탐욕이 넘칠 땐 두려워하고, 모두가 두려워할 땐 탐욕을 가져라”고 했죠.
  • 마이클 버리는 서브프라임 사태를 예측하고 공매도로 수천억 원 수익을 냈습니다.

⏱️ 핵심: 위기 때 ‘싸다’고 느끼면 사는 근거와 용기가 있어야 합니다.

영화 빅쇼트의 실제 주인공 마이클 버리 (더밀크)
영화 빅쇼트의 실제 주인공 마이클 버리 (더밀크)

2. '현금'을 기회로 본다

📌 이 사람들은 위기가 오기 전에 ‘현금’을 확보해 둡니다. 왜냐면 위기는 총알 싸움이기 때문이에요.

💬 예시

  • 버핏은 평소에도 포트폴리오의 20~30%는 현금성 자산.
  • 실제로 위기 오면 바로 움직일 수 있게 준비된 사람들이 많습니다.

🔑 핵심: 현금이 없으면 위기 때 아무것도 못 해요.

2025년 상반기 폭락전 사상 최대 현금 보유 전략을 펼친 워런버핏 (이코노미 조선)
2025년 상반기 폭락전 사상 최대 현금 보유 전략을 펼친 워런버핏 (이코노미 조선)

3. 시장이 아니라 '팩트'를 본다

📌 뉴스가 아무리 시끄러워도, 이들은 감정이 아니라 '숫자'로 판단합니다. → 데이터, 재무제표, 트렌드, 정책 등 객관적인 근거를 믿는 거죠.

💬 예시

  • 마이클 버리는 2005년부터 대출 시장의 구조를 분석해서 위기를 예측.
  • 레이 달리오는 매크로 지표를 토대로 자산 배분 전략을 짭니다.

👀 핵심: 공포에 휩쓸리지 않는 정보 해석력이 차이를 만듭니다.

매크로 투자의 대가 레이 달리오 포트폴리오
매크로 투자의 대가 레이 달리오 포트폴리오

✅ 한 줄 요약

경제위기 때 진짜 돈을 버는 사람들은 싸게 살 기회를 알고, 현금으로 준비하고, 데이터로 판단합니다.


📌 용어 설명

  • 공매도: 자산 가격 하락에 베팅하는 투자 전략
  • 리스크자산: 주식, 부동산 등 시장 변동성이 큰 자산
  • 자산배분: 다양한 자산에 나누어 투자해 리스크를 줄이는 전략
  • 버핏지수: 주식시장 총액 ÷ GDP (과열 여부 판단 지표)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퀀트 다이제스트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5 퀀트 다이제스트

데이터로 읽는 시장. 데이터로 하는 투자.

메일리 로고

도움말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뉴스레터 광고 문의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사업자 정보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 | 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