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모지상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여성에게 주어진 아름다움의 잣대

2025.01.21 | 조회 733 |
0
|
잊혀진 여성들의 프로필 이미지

잊혀진 여성들

인류 역사를 통틀어 익명이었던 여성들 - 우리의 불만을 기록합니다

안녕하세요, 구독자님

지난 1월 5일, 할리우드 스타 데미 무어가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첫 연기상을 수상했습니다. 젊음을 되찾으려는 여성을 그린 영화 '서브스턴스'로 뮤지컬·코미디 영화 부문 여우주연상을 받은 것인데요. 이번 수상은 45년이라는 오랜 연기 여정에서 이룬 쾌거로, 데미 무어의 연기 인생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한 순간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영화 '서브스턴스'가 예상 밖의 흥행 열풍을 일으키기도 했죠. 청소년 관람 불가 등급의 보디 호러(신체 훼손이나 변형을 통해 공포를 조성하는 호러) 장르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개봉한 독립 예술 영화 외화 중 관객 수 1위를 기록하며 누적 관객 수 22만 명을 돌파하는 이례적인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데미 무어가 제82회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AP연합뉴스
데미 무어가 제82회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AP연합뉴스

영화 서브스턴스는 한때 성공한 TV 스타였던 엘리자베스가 자신의 젊음을 되찾으려 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의문의 약물을 통해 몸을 변화시킨 엘리자베스는 젊고 아름다운 또 다른 자아, ‘수’(마거릿 퀄리)를 얻게 됩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수가 주목받는 반면, 엘리자베스는 점차 소외되며 그의 삶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갑니다.

오늘 잊혀진 여성들 뉴스레터에서는 데미 무어에게 첫 연기 주연상을 안겨준 영화 서브스턴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작품이 던지는 메시지와 더불어 현대 사회의 외모지상주의에 대한 문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영화 속 주인공의 여정을 통해 우리가 고민해볼 수 있는 외모와 젊음에 대한 집착, 그리고 그것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The substance 여성의 몸, 끊임없는 평가의 대상

The substance 서브스턴스 포스터  
The substance 서브스턴스 포스터  

파르자 감독은 서브스턴스를 통해 여성의 몸에 대한 사회적 규범과 그것이 여성들에게 강요하는 압박을 조명하고자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주인공 엘리자베스의 이야기를 통해, 여성이 나이를 먹으며 겪는 외모와 관련된 고통을 표현했죠. 엘리자베스는 한때 인기 있었던 TV 스타로, 젊음과 아름다움의 상징이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외모에 대한 평가와 자신의 존재감을 잃어가는 두려움에 시달립니다. 영화 속 엘리자베스는 의문의 약물을 통해 자신의 몸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자아 ‘수’를 만들어냅니다. 이 과정에서 엘리자베스는 점차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삶이 무너져가지만, 젊고 아름다운 수(마거릿 퀄리)는 주변의 주목을 받습니다. 감독은 이러한 이야기를 통해 외모와 아름다움에 집착하는 사회적 강박이 어떻게 여성의 삶을 파괴할 수 있는지 보여주고자 했죠.

콘텐츠를 개별 결제하시면 읽을 수 있어요

결제하시려면 아래를 클릭해주세요
(멤버십 구독과는 별도로 개별 결제 해야 합니다)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5 잊혀진 여성들

인류 역사를 통틀어 익명이었던 여성들 - 우리의 불만을 기록합니다

메일리 로고

도움말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뉴스레터 광고 문의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사업자 정보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 | 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