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단산 LAB 의 단아입니다.
두번째 뉴스레터에서 이렇게 제 첫 인사를 하게 되네요. 무슨 이야기를 해야할지 고민을 하다, 얼마 전 좋은 기회로 하게 된 모교에서의 강연이 생각났습니다. 강연을 통해 제 커리어 발전과 변화에 관한 이야기를 했었는데, 그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저는 7년 전 한국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미국으로 박사 유학을 나왔습니다. 이상하게 보일지도 모르지만, 그 당시의 저는 유체역학이란 과목이 너무 좋아서, 책을 펼 때마다 설레고 심장이 떨렸었어요. 그래서 당연히 유체역학을 가장 잘한다는 기관으로 가 공부를 계속하고 싶었고, 결국 가족도 친구도 하나 없는 미국 땅으로 오게 되었습니다. 오자마자 감사하게도 보잉을 통해서 연구 펀딩을 받게 되었고, 제가 그 프로젝트의 책임연구자가 되었습니다. 가장 좋아하는 공부를, 가장 좋은 학교에서, 가장 좋은 펀딩 기회를 가지고 시작하는 건 정말 꿈만 같은 일이었고, 제 기분은 3만 피트 상공에서 날아다니는 것만 같았습니다.
그런데, 너무 놀랍게도, 막상 박사를 시작하고 몇년이 지나니 그 열정은 사그라들었고, 성취감과 설렘을 걷어낸 자리에는 박사 과정의 매일 만이 남아있었습니다. 반복되는 연구 발표와 논문 작성, 깊은 고뇌의 과정이 더 이상 즐겁지 않았습니다. 유체는 여전히 흥미로웠고, 비행기가 어떻게 나는지 여전히 신기했지만, 저는 비행기 날개 1mm 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평생 동안 고민하고 싶진 않았습니다.
그때쯤 깨달았던 것 같아요. 저는 공부가 좋았던 거지 연구가 좋았던 게 아니라는 것을요. (저를 포함한 많은 분들이 이를 오해하고 박사 과정을 시작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또 다뤄볼 기회가 있으면 좋겠네요.) 저는 제게 지식이 차오르는 건 좋았지만, 연구 과정의 고뇌는 제게 조금 벅찼달까요. 그리고 저는 한 분야를 오래 동안 깊이 공부하는 것보단, 새로운 분야를 공부할 때 더 셀렌다는 것, 그리고 끊임없이 도전하고 변화하는 삶을 좋아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때부터 몇 년은 다음 도전을 찾아 헤맸어요. 기계공학과였던 제가 머신러닝을 배우고 컴퓨터과학과 부전공을 하고, 메타 광고팀에서 데이터 사이언스 인턴도 해보고, 홀로 기차를 타고 반도체 학회도 구경 가보고. 그렇게 몇 년을 헤매다 보니 제가 좋아하는 것, 잘 하는 것에 대해 좀 더 명확히 알 수 있었습니다. 더 이상 유체 연구를 계속하고 싶지는 않았지만, 전 여전히 과학과 기계가 좋았습니다. 그리고, 유체 박사를 하면서 얻은 다양한 기술로, 빠르게 변화하는 분야에서 새로운 도전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어요.
그래서, 올해 초 박사 학위를 마치고, 실리콘 밸리 반도체 관련 회사에서 개발자로 일하게 되었습니다. 3만 피트 상공 위 비행기 시뮬레이션을 하다, 지금은 보이지도 않는 나노 단위의 시뮬레이션을 하고 있는 것을 보면, 인생이 참 신기해요. 지금은 버그로 고통받는 사회 초년생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지만, 새로운 배움 속에서 썩 만족스러운 삶을 살고 있습니다.
새 분야에서의 도전, 더 넓은 시야를 갖고 보는 세상을 기대하고 있고, 또 많이 나눌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그럼 행복하고 좋은 하루 되세요.
단아 드림.
의견을 남겨주세요
릴라
심장이 떨릴만큼 좋아했던게 언제적이었나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글이네요! 물리학도가 아니어도 다른 모든 사람들이 갖고 있을만한 고민같아요. 앞으로 솔직하고 생생한 고민이 담긴 뉴스레터 기대할게요 :)
단산 LAB
릴라님은 무엇에 설레셨는지, 지금도 그 일을 하고 계신지 궁금해요. 무엇이 되었든, 릴라님의 여정을 응원합니다 :)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