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뉴스 정리

[은호레터]엔비디아 10년 만에 저평가 구간, 테슬라 판매 혜택 강화, 애플 아이패드에어 공개 등 오늘의 경제 뉴스

은퇴 호소인의 경제 뉴스

2025.03.05 | 조회 183 |
0
|
from.
은호
은호레터의 프로필 이미지

은호레터

은퇴 호소인의 경제 전문 뉴스레터

첨부 이미지

 

VIX 지수 (24.52)  ▲7.64%

나스닥 (18,285.16)  ▼0.35% 

S&P 500 (5,778.15) ▼1.22%

다우 지수 (42,520.99) ▼1.55%

러셀 2000 지수 (2,079.19) ▼1.10%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4.210%) ▲0.72%

미국 달러 (₩1,453.54) ▼0.30%

금 현물(온스 당 $2,916.91 ) ▲0.82%  

비트코인 ($87,065.5) ▼2.06%

첨부 이미지

 

🇺🇸미국 주식 시장 정리 

  • 화요일 미국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강행과 이에 따른 보복 조치로 큰 변동성을 보이며 하락 마감했음
  • S&P 500은 1.4% 하락했고, 다우 지수는 1.7% 급락하며 이틀 동안 1,300포인트 이상 하락했음
  • 나스닥 100은 장중 2% 넘게 밀렸다가 기술주의 반등으로 낙폭을 0.5%로 줄였음
  •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25% 관세를 예정대로 시행하겠다고 밝혔고, 이에 중국과 캐나다가 즉각 보복 조치를 발표하면서 무역 긴장이 고조되었음
  • 이로 인해 자동차, 소매업체, 반도체 등 글로벌 공급망과 관련된 종목들이 하락했음
  • 특히 포드와 GM은 3% 넘게 떨어졌고, 멕시코산 원재료를 많이 사용하는 치폴레와 타겟도 각각 2%, 3% 하락했음
  • 이번 주 시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관세 발표 가능성과 금요일 발표될 고용지표에 주목하고 있음
  • 무역 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증시 변동성이 더욱 커질 전망임

출처: Bloomberg, CNBC, Reuters, WSJ 

 

 

📰 주요 뉴스 정리 

 

첨부 이미지

 

 

젤렌스키, 평화협상 의사 밝혀

  •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미국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가능한 한 빨리 협상 테이블에 나설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음
  •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백악관 회담이 충돌로 끝난 후 미국이 군사 지원을 중단한 데 따른 대응으로 보임
  • 트럼프는 젤렌스키가 즉각적인 휴전에 동의하지 않은 점을 강하게 비판하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및 정보 지원을 중단했음
  • 젤렌스키는 또한 미국과의 핵심 광물 투자 협정 체결 의사를 재확인하며, 프랑스가 제안한 부분적 휴전안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음
  • 미국 공화당 측에서도 협정 체결이 "필수적"이라는 입장을 밝히며 조속한 진행을 촉구했음

출처: FT 

첨부 이미지

 

트럼프, 에너지 패권 위해 캐나다·그린란드 겨냥?

  • 트럼프 대통령이 “드릴, 베이비, 드릴”을 외치며 미국의 에너지 패권을 강화하려 하지만, 정작 미 석유 기업들은 신규 시추보다 자사주 매입과 배당 확대에 집중하고 있음
  • 원유 가격 변동성과 과거 과잉 생산으로 인한 손실 경험이 신중한 투자 기조를 만든 탓
  • 이러한 상황에서 트럼프는 캐나다와 그린란드를 미국의 에너지 전략에 편입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음
  • 캐나다는 미국에 하루 390만 배럴의 원유를 공급하는 필수적 파트너이며, 그린란드는 풍부한 천연자원과 희토류를 보유하고 있음
  • 일각에서는 트럼프의 캐나다 합병 가능성을 낮게 보지만, 미국이 캐나다 에너지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확대하려는 시도는 무시할 수 없는 시나리오
  • 트럼프가 캐나다와 그린란드를 미국 에너지 블록으로 통합하려는 구상이 현실화될지는 미지수지만,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에서 미국의 주도권 강화를 위한 움직임은 계속될 것으로 보임

출처: MarketWatch 

첨부 이미지

미 상무부, 스타링크 지원 확대 위한 인터넷 보급 정책 개편

  • 미 상무부가 425억 달러 규모의 'Internet for All' 프로그램을 개편해,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가 더 많은 농촌 인터넷 보급 기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
  • 기존 정책은 주로 광섬유 기반 네트워크 구축을 우선 지원했지만, 새 규정은 기술 중립성을 강조하며 위성 인터넷 서비스에도 자금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변경될 예정
  • 기존 규정에 따르면 스타링크는 최대 41억 달러를 받을 것으로 예상됐으나, 개편 후에는 100억~200억 달러까지 지원받을 가능성이 있음
  • 스타링크는 전 세계 500만 가구 이상에 인터넷을 제공하고 있으며, 기존 광섬유망이 없는 지역에서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음
  • 하지만 월 이용료가 120달러로 비싸다는 점이 과제로 남아 있음

출처: WSJ 

첨부 이미지

블랙록, 트럼프 압박 속 파나마 운하 항만 인수

  • 블랙록이 홍콩 기업 CK허치슨으로부터 파나마 운하 양단의 주요 항만을 포함한 228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항만 사업을 인수하기로 했음
  • 이번 거래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파나마 운하 영향력을 문제 삼으며 미국의 통제를 강화하려는 움직임 속에서 이루어졌음
  • 트럼프는 중국이 파나마 운하를 실질적으로 장악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미국이 이를 되찾아야 한다고 강조했음
  • 이에 따라 CK허치슨은 정치적 압력을 피하기 위해 매각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음
  • 이번 거래로 블랙록을 비롯한 컨소시엄이 CK허치슨의 파나마 항만 운영권 90%를 확보하게됨
  • 파나마는 미국과의 관계 강화를 위해 ‘일대일로’(Belt and Road)에서 탈퇴하고, 미 해군의 자유 항행을 보장하는 방안을 논의 중

출처: WSJ, FT 

첨부 이미지

우버, 오스틴에서 웨이모와 함께 무인 차량 호출 서비스 시작

  • 우버가 알파벳 산하 웨이모와 협력해 오스틴에서 자율주행 차량 호출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
  • 우버X, 우버 그린, 우버 컴포트 등 특정 서비스 이용 시, 고객은 웨이모의 전기차 재규어를 추가 비용 없이 배정받을 수 있으며, 무인 차량을 선택하거나 일반 차량으로 변경할 수 있음
  • 이번 출시로 우버는 무인 차량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려 하고 있으며, 웨이모 역시 자체 앱과 우버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 영역을 넓혀가고 있음
  • 우버는 2023년 피닉스에서 웨이모와 협업을 시작했으며, 자율주행 기술 개발 대신 외부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시장을 공략하는 전략을 채택하고 있음
  • 한편, 테슬라도 오는 6월 오스틴에서 자율주행 차량 호출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

출처: Bloomberg 

첨부 이미지

애플, M3 탑재 아이패드 에어 및 보급형 모델 공개

  • 애플이 M3 칩을 탑재한 새로운 아이패드 에어와 A16 칩을 적용한 보급형 아이패드를 발표했음
  • 아이패드 에어는 11인치(599달러)와 13인치(799달러) 모델로 출시되며, 성능이 M1 대비 두 배 향상됐음
  • 보급형 아이패드는 11인치 화면과 더 빠른 성능을 제공하며, 349달러부터 시작됨
  • 새로운 매직 키보드는 트랙패드 크기를 키우고 메탈 힌지를 적용했음
  • 애플은 이번 제품을 통해 AI 기능을 강화하며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M4 칩 탑재 맥북 에어와 M5 아이패드 프로도 연내 출시할 것으로 예상됨

출처: Bloomberg, Reuters 

첨부 이미지

테슬라, 판매 부진 속 충전 및 할부 혜택 강화

  • 테슬라가 올해 판매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무료 충전 혜택과 저금리 금융 프로그램을 내놓았음
  • 2월 28일 이후 구매한 사이버트럭 파운데이션 시리즈와 모델 X, S에 대해 평생 무료 수퍼차저를 제공하며, 모델 3는 0% 할부 또는 제로 다운 페이먼트 혜택을 적용함
  • 테슬라의 주요 시장에서 판매량이 급감하면서 위기감이 커졌음
  • 2월 중국 출하량은 전년 대비 49% 감소했고, 프랑스와 유럽 시장도 각각 26%, 45% 줄었음
  • 캘리포니아에서도 모델 3 등록 대수가 36% 감소했음
  • 이에 테슬라 주가는 올해 들어 30% 하락했으며, 일론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로 인한 소비자 반발도 판매 부진을 심화시키고 있음

출처: Bloomberg 

첨부 이미지

엔비디아, 10년 만에 저평가 구간

  • 엔비디아 주가가 연초부터 15% 하락하며 조정을 받았지만, 일부 분석가들은 오히려 매력적인 매수 기회라고 평가하고 있음
  • 번스타인의 애널리스트 스테이시 라스곤은 엔비디아의 주가가 현재 S&P 500 대비 프리미엄이 2016년 이후 최저 수준이며, 반도체 지수 대비 1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고 분석했음
  • 현재 엔비디아의 주가수익비율(P/E)은 25배로 1년 내 최저 수준이며, 역사적으로 이 가격대에서 매수한 투자자들이 높은 수익을 거뒀다고 설명했음
  • 또한, 엔비디아가 최근 블랙웰(Blackwell) AI 칩 출하를 본격화하며 매출 증가가 기대된다는 점도 긍정적 요인으로 꼽았음
  • 다만,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 AI 칩 판매 규제를 강화한 데 이어 트럼프 행정부도 추가 규제를 시행할 가능성이 있어, 중국 시장 리스크가 변수로 남아 있음

출처: MarketWatch 

 

🔗투자 인사이트 보러가기 

※ 은호레터는 투자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판단은 구독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 은호레터는 투자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판단은 구독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오늘 은호레터는 어떠셨나요?

은호레터 SNS와 유튜브를 구독하시면 화요일 ~ 토요일 매일 아침 뉴스를 정리해서 올려드립니다. 

🔗 은호레터가 운영 중인 사이트들

Youtube

Threads

Instagram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은호레터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다른 뉴스레터

© 2025 은호레터

은퇴 호소인의 경제 전문 뉴스레터

뉴스레터 문의eunho.letter@gmail.com

메일리 로고

도움말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뉴스레터 광고 문의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사업자 정보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 | 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