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Y WORD: 잘파세대, 편의점, 가성비, 접근성, 초저가뷰티, 머천다이징, 가격, 기능, 희소성,
잘파세대란, Z세대와 알파세대(Z+Alpha)의 합성어로, 1990년대 중후반~2020년대 중반에 출생한 세대를 가리킵니다. 최근 잘파세대에 ‘가성비 뷰티’가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이 트렌드는 합리적인 가격에 소용량 화장품을 구매하여 다양한 제품을 시도하는 소비 패턴을 반영합니다.
편의점과 다이소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소용량 화장품은 경제적 부담을 줄이면서도 휴대성이 좋아, 점점 더 많은 소비자들에게 선택받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여러 편의점 브랜드가 ‘초저가 뷰티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며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편의점은 뛰어난 접근성과 가성비를 더하여 잘파세대의 구매를 유도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 편의점의 '초저가 뷰티 시장'의 경쟁 심화 → 매출 신장률☝️
✔ CU
CU는 지난 9월 코스매틱 브랜드 엔젤루카와 협력해 ‘콜라겐 랩핑 물광팩’과 ‘순수 비타민C 세럼’, ‘글루타치온 수분크림’ 3종을 출시했습니다.
각 상품은 본품과 동일한 성분으로 용량을 본품 대비 3분의 1 이상 줄이는 대신 가격은 3000원으로 고정했습니다. 각 상품 1ml당 가격은 본품 대비 최대 80% 이상 저렴합니다. 이 기초화장품 3종은 3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 3만 개를 기록했습니다.
편의점 CU의 연령대별 화장품 매출 비중을 보면, 지난해 9월까지 10대가 42.3%, 20대가 32.3%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잘파세대의 비중이 70%를 웃돌고 있습니다.
✔ GS 리테일
GS25는 지난해 12월 ‘싸이닉 수분 톤업 선크림’, ‘싸이닉 히알 스피큘 150샷’, ‘이츠비 레이샷100’과 ‘이즈앤트리 어니언 프레쉬 겔크림', '이즈앤트리 히아루론산 워터리 선크림', '이즈앤트리 어니언 프레쉬 클렌징폼' 등을 출시했습니다. 이들 화장품 6종은 각각 1회 사용량(2㎖)을 기준으로 개별 포장됐으며 가격은 3000원입니다.
GS25는 실속형 화장품 확대 프로젝트를 통해 가성비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접근성을 높이고, 실용성을 갖춘 뷰티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합니다.
GS 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 역시 CU와 같은 추세를 보입니다. GS25에 따르면, 최근 3년간 GS25 화장품 카테고리 구매 고객의 주요 연령대는 10대와 20대로, 이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50%를 웃도는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잘파세대가 가성비 뷰티 제품의 주요 고객으로 자리 잡은 듯 보입니다.
✔ 세븐일레븐 및 이마트24
세븐일레븐은 지난 9월에 특화 점포인 ‘동대문던던점’을 열었습니다. 세븐일레븐의 특화 점포인 ‘동대문던던점’은 약 80평 규모로 일반 점포 대비 3.5배 가량 넓습니다. 패션•뷰티존은 일반 점포 대비 30% 더 많은 의류 제품과 화장품으로 공간을 채웠습니다. 동대문던던점은 현재 다양한 뷰티 브랜드의 기초 화장품 30여종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동대문던던점을 통해 집결되는 외국인 관광객 구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향후 빠르게 변화하는 외국인 관광객 수요를 예측하고 글로벌 세븐일레븐 수출 전략에도 이를 반영해 운영할 계획입니다.
세븐일레븐 관계자는 “방문객 10명 중 약 6~7명이 외국인 소비자”라며 “동대문던던점에 입점된 화장품 브랜드는 국내외 소비자에게 입소문 난 기초 화장품 위주로 구성한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마트24도 지난해 9월 화장품 브랜드 플루와 손잡고 에센스, 바디스크럽, 클렌징폼 등 3종을 각각 7,900원에 선보였습니다.
매출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CU의 전년 대비 화장품 매출 신장률은 2022년 24.0%, 2023년 28.3%, 지난해 1~11월 16.2%로 매년 두 자릿수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GS25의 연도별 기초화장품 매출신장률은 2022년 35.5%, 2023년 54.1%, 지난해 1~7월 65%에 달합니다.
편의점, '초저가 화장품' 시장 공략..."잘파세대 잡아라"
"화장품 사러 편의점 갈까"…CU, 3000원대 '가성비' 세럼·크림 판매
GS25, 1회 사용량 2㎖ 개별 포장한 화장품 확대 프로젝트 본격 시동
🗯️ 초저가 화장품 규모의 확장…스포츠 MD 상품으로서 화장품이 필요한 이유는?
⌜상품 구매결정요인과 소셜미디어 정보특성요인을 활용한 한국 프로축구 구단 머천다이징 상품 활성화 방안⌟에 작성된 제언에 따르면, 첫 번째로 팬은 구단의 머천다이징 상품에 대해서 ‘가격’의 중요도는 높지만,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팬들은 머천다이징 구매 결정에 중요한 요소인 '가격'이 높아 낮은 만족도를 보입니다. 프로 스포츠 구단은 구단 매출에 큰 영향을 미치기에 높은 가격을 유지할 수밖에 없는 유니폼 및 머플러 이외에도, 저가 뷰티 제품을 판매하며 머천다이징 상품의 다양성과 가격의 range를 확보할 필요가 있습니다.
두 번째로 팬은 구단의 머천다이징 상품에 대한 '기능', '광고', '판매하는 위치', '희소성'에 대해 낮은 중요도와 만족도를 지니고 있으므로 장기적 관점에서 관리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합니다.
머천다이징 상품의 기능과 희소성에 대해 낮은 중요도를 지니고 있지만, 화장품은 소비재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고 구단의 PB 제품으로 나오게 된다면 어떤 구단도 해보지 않은 시도이기에 희소성을 지닐 수 있습니다. 기능과 희소성의 가치를 높여주는 MD 상품의 개발을 통해서 앞으로 스포츠 구단의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박혜지, ⌜상품 구매결정요인과 소셜미디어 정보특성요인을 활용한 한국 프로축구 구단 머천다이징 상품 활성화 방안⌟,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98호, 2024, pp.97~108
주인장의 말
: 안녕하세요. 이번 주제는 '잘파세대'를 공략한 '초저가 뷰티시장'에 대하여 탐구해보았습니다.
저의 아이디어에 대한 의견 댓글로 자유롭게 남겨주세요!😍
뉴스레터 구독과 댓글은 뉴스레터를 작성하는 데에 큰 힘이 됩니다!😁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