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AI 스타트업의 급부상과 조기 M&A 현상

ChatGPT가 바꾼 혁신 생태계

2025.04.14 | 조회 812 |
0
|
from.
KH
Japan Insight의 프로필 이미지

Japan Insight

일본 스타트업 시장의 흥미로운 인사이트를 보내드립니다.

ChatGPT 이후 달라진 게임의 법칙

최근 일본의 AI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정말 흥미로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2023년 ChatGPT의 등장 이후, 일본 AI 시장은 완전히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 것 같습니다. 특히 눈여겨봐야 할 점은 창업 2년 내외의 초기 단계 스타트업들이 수십억에서 수백억원대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으며 대기업에 인수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알몬도(Almondo)의 사례가 있습니다. 2023년 2월에 설립된 이 회사는 도쿄대학교 마츠오 연구실 출신 창업자 이토 고타(伊藤 滉太)가 대학 1학년 겨울에 창업했습니다. 그리고 창업 2년도 채 되지 않은 2024년 12월, 알몬도는 일본 IT 기업 텐다(Tenda)에 지분 51%를 약 5억 1천만 엔에 매각하며 기업 가치 약 10억 엔(한화 약 100억 원)의 평가를 받았습니다.

지금까지의 사례와 다른 점은 알몬도가 매각 당시 최근 분기 매출이 전분기 대비 약 4배 성장하며 IPO를 고려할 만한 상황에서도 전략적인 M&A를 선택했다는 것입니다.

"단기 성공과 조기 M&A가 현실이 된 시대"

2015년경만 해도 일본에서 AI 스타트업이 의미 있는 규모로 성장하고 시장에서 가치를 인정받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PKSHA Technology나 ABEJA와 같은 초기 일본 AI 기업들은 상당 기간 PoC 단계의 프로젝트에 머물러야 했고, 대기업들이 AI 기술을 본격적으로 도입하는 데는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됐습니다.

하지만 2023년 이후 상황은 완전히 달라진 것 같습니다. LangCore라는 곳은 2023년 6월 설립 후 약 1년 만인 2024년 10월에 일본 AI 솔루션 전문 기업 AVILEN에 지분 100%를 약 4억엔에 매각하는 성과를 올렸습니다. LangCore는 2024년 상반기에 약 7,382만 엔의 매출을 기록했고, 매출 대비 기업가치는 약 5.4배로 평가되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더 이상 예외적인 현상이 아닌 것 같습니다. 이는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상상하기 어려웠던 속도로 보입니다.

설립 1-2년 차 AI 스타트업의 놀라운 기업가치 평가

이러한 일본 AI 스타트업의 초기 매각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 첫째, ChatGPT를 비롯한 생성형 AI의 등장으로 기업들의 AI 도입 의욕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대기업들은 AI 기술 도입에 적극적이지만, 내부에 관련 기술과 인재가 부족한 경우가 많아 외부 역량을 흡수하려는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 둘째, 생성형 AI 기술의 발전으로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알몬도와 LangCore는 모두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하여 기업 고객들의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는 솔루션을 제공했습니다. 이들은 복잡한 매뉴얼이나 대화 로그에서 지식을 추출/구조화하는 AI 지식 베이스 구축, 기업 환경에 맞춘 특화 언어 모델 개발, AI 챗봇 응용 등 실질적인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했습니다.
  • 셋째, 시장 내 경쟁의 심화로 대기업들이 AI 역량을 신속하게 확보하고자 하는 욕구가 커졌습니다. 텐다가 알몬도를, AVILEN이 LangCore를 인수한 배경에는 모두 AI 기술력을 조기에 내재화하여 경쟁 우위를 확보하려는 전략적 의도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일본 스타트업 시장에서 특히 흥미롭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것처럼, 일반적으로 일본 스타트업들의 IPO 시가총액은 100억엔 전후로, 한국의 스타트업과 비교하면 시리즈 B~C 정도 규모에 불과합니다. 작년 일본 주식시장이 1980년대 버블 시점의 지수를 넘는 호황을 누렸지만, 2024년 1월부터 8월까지 상장한 30개 스타트업의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중앙값은 59억 엔에 불과했습니다.

그런데 AI 스타트업들의 M&A 환경은 이러한 IPO 시장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알몬도와 LangCore의 사례는 생성형 AI 기술을 갖춘 스타트업들이 IPO보다 M&A를 통해 더 빠르게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사례1. Almondo

Almondo(주식회사 알몬도)의 인수 사례는 일본 AI 스타트업 M&A 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2023년 2월 설립된 Almondo는 불과 22개월 만인 2024년 12월, 일본 IT 서비스 기업 Tenda(株式会社テンダ)에 의해 기업가치 10억 엔으로 평가받으며 지분 51%가 인수되었습니다.

주목할 만한 점은 거래 구조와 멀티플입니다. Tenda는 약 5억1천만엔으로 Almondo의 지분 51%를 취득했으며, 이는 Almondo의 최근 실적을 고려할 때 상당히 높은 평가라고 볼 수 있습니다. Almondo는 인수 시점에 직전 분기 대비 매출이 4배 증가하는 고성장 궤도에 있었습니다.

Almondo의 핵심 경쟁력은 도쿄대 마츠오 연구실의 AI 기술력과 실용적 비즈니스 적용 능력의 결합에 있었습니다. 이들은 기업용 AI 솔루션으로 아래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1. AI 지식 베이스 구축
  2. 맞춤형 AI 모델 개발
  3. AI 에이전트 및 챗봇 응용

Almondo는 설립 초기부터 닛신, 쇼치쿠, DCM홀딩스, 도쿄가스, IHI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대기업들과 협업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시장에서 신뢰성을 확보했습니다. 이러한 고객 기반과 실적은 높은 기업가치 평가의 핵심 요인이었습니다.

사례2. LangCore

LangCore는 또 다른 유형의 성공적 M&A를 보여줍니다. 2023년 6월 설립된 LangCore는 약 1년 4개월 만인 2024년 10월, AI 솔루션 전문 기업 AVILEN(株式会社AVILEN)에 의해 완전 인수되었습니다.

거래 규모는 약 4억 엔(한화 약 40억 원)으로, 지분 100%(보통주 50만 주)가 매각되었습니다. 2024년 상반기 매출 약 7,382만 엔을 기록한 LangCore의 기업가치는 매출의 약 5.4배로 평가되었습니다. 더욱 주목할 점은 영업이익이 약 4,600만 엔으로, 62.3%의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는 것입니다. 이는 LangCore의 사업 모델이 단순한 성장뿐 아니라 높은 수익성도 갖추고 있었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LangCore의 핵심 사업은 기업들을 위한 ChatGPT 등의 대규모 언어 모델(LLM) 활용 소프트웨어의 맞춤 개발과 AI 도입 컨설팅이었습니다. 특히 자체 개발한 "LangCore" SaaS 솔루션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했습니다:

  1. ChatGPT API 활용 로그 분석
  2. 비용 최적화 및 사용자 분석
  3. 임베딩 및 오남용 탐지

또한 음성 AI 콜센터 솔루션인 "LangCore 보이스봇"을 통해 생성 AI 기술의 실용적 응용 사례를 확장했습니다.

사례3. StatHack

StatHack은 제조업 분야에 특화된 AI 이미지 인식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으로, 2021년 8월 설립되어 2023년 10월 카미나시(株式会社カミナシ)에 의해 인수되었습니다.

StatHack은 도쿄대학 마츠오 연구실 출신 창업자 마츠바 료토(松葉亮人)가 대학 4학년 시절 설립한 회사로, 초기부터 흑자 경영을 달성했습니다. 특히 창업 2기에는 매출이 5배 증가하는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핵심 제품인 "CountAI"는 제품의 개수를 세는 AI로 효율화하는 솔루션으로, 제조업체의 품질 관리와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습니다. 이 기술은 특히 철근 제조업체와 자재 렌탈 기업들에게 높은 가치를 제공했다고 합니다.

2024년 6월 StatHack은 카미나시에 완전 흡수 합병되어 "카미나시 CountAI"로 브랜드를 변경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인수를 넘어 핵심 기술과 인재를 완전히 통합하려는 전략적 결정이었습니다.

"공격형 M&A": 성장 가속화를 위한 전략적 선택

이렇게 일본 AI 스타트업 M&A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은 IPO를 목표로 한 전통적인 성장 경로 대신, 더 큰 기업 생태계에 합류하여 성장을 가속화하는 접근법입니다.

Almondo의 이토 CEO는 이를 "공격형 M&A라고 했습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회사가 고속 성장 중이었으나 현재의 AI 컨설팅 위주 사업 모델만으로는 수백억엔 규모 이상의 압도적 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회사가 더 크게 도약하기 위해 스스로 최고라고 생각하는 회사와 함께하고 싶었다"는 전략적 동기를 밝혔습니다.

같은 맥락에서 StatHack의 마츠바 CEO도 단독으로 SaaS 사업을 확장하는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카미나시의 고객 기반(10,000개 이상의 현장)과 판매력을 활용하여 "목표 지점에 도달하기 위한 상당한 지름길"로 M&A를 선택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러한 "공격형 M&A" 결정의 주요 동기는 크게 3가지가 있어 보입니다.

  1. 성장 가속화
  2. 기술-비즈니스 시너지
  3. 자원 접근성

이러한 전략적 접근법은 기존의 "투자 회수(exit)" 개념을 넘어 "다음 단계 도전을 위한 시작"으로 M&A를 재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는 일본 AI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성장 패러다임을 반영하며, 특히 생성형 AI와 같이 급변하는 기술 분야에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도쿄대 마츠오 연구실: 일본 AI 혁신의 중심지

AI 스타트업의 산실로서의 마츠오 연구실

마츠오 연구실(松尾研究室)은 일본 AI 혁신 생태계의 핵심 허브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도쿄대학교 공학계열에 위치한 이 연구실은 마츠오 유타카(松尾 豊) 교수의 지도 아래 AI 연구와 산업 응용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며, 다수의 성공적인 AI 스타트업을 배출했습니다.

2015년부터 2024년까지 마츠오 연구실에서 파생된 스타트업은 10개 이상으로, 이 중 PKSHA Technology와 같은 기업은 도쿄증권거래소에 성공적으로 상장했습니다. 최근의 생성형 AI 붐에 따라 이러한 스핀오프 기업들의 숫자와 성장 속도는 더욱 가속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성공 사례의 공통 DNA: 마츠오 연구실 출신 기업들의 특징

마츠오 연구실에서 파생된 AI 스타트업들은 다음과 같은 공통적 특성을 보입니다.

  1. 초기 흑자 실현
  2. 응용 중심 접근법
  3. 도메인 특화 전략
  4. 젊은 인재 중심

이러한 특성들은 단기간에 기술적 신뢰성과 시장 가치를 확보할 수 있게 한 핵심 요인으로 보입니다. 특히 생성형 AI와 같은 급변하는 기술 환경에서, 연구 기반의 깊은 기술적 이해와 실용적 응용 능력의 결합은 중요한 차별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AI 시장의 변천사 (2015-2024)

태동기(2015년): PKSHA Technology와 ABEJA의 개척

2015년경 일본 AI 시장은 산업용 인공지능 적용의 초기 단계에 있었습니다. 이 시기 시장을 개척한 주요 기업으로는 PKSHA Technology와 ABEJA가 있으며, 이들의 초기 행보는 현재 일본 AI 생태계의 기반을 형성했습니다.

PKSHA Technology(2012년 설립)는 자연어 처리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중심으로 한 B2B 솔루션 제공에 주력했습니다. 초기에는 기업용 챗봇 및 검색 최적화 솔루션을 중심으로 시장을 개척했으며, 2017년 도쿄증권거래소 마더스 시장에 성공적으로 상장했습니다.

ABEJA(2012년 설립)는 컴퓨터 비전과 딥러닝 기술에 특화되어, 리테일 분야의 소비자 행동 분석과 제조업 공정 최적화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이 시기 PKSHA Technology의 재무 데이터를 분석해보면, 2015년 시점의 일본 AI 시장이 성장 잠재력은 있었으나, 본격적인 규모화 단계에는 이르지 못했다고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회계연도 매출액 전년 대비 성장률 영업이익률
2015 2.9억 - 51.0%
2016 4.6억 57.3% 34.3%
2017 9.3억 103.0% 42.3%

성숙기(2020-2023년):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의 등장

2020년부터 2023년 초반까지 일본 AI 시장은 점진적인 성숙 단계에 진입했습니다. 이 시기의 주요 특징은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의 확립과 산업별 특화 솔루션의 등장입니다.

PKSHA Technology의 성장 궤적은 이 시기 일본 AI 기업의 발전 패턴을 잘 보여줍니다.

회계연도 매출액 전년 대비 성장률 영업이익률
2020 73.9 141.6% 8.6%
2021 87.3 18.0% 8.2%
2022 115.1 31.9% 13.6%
2023 139.1 20.8% 12.4%
2024년168.9억엔21.5%19.2%

또한, 이 시기 AVILEN의 성장은 다양화된 비즈니스 모델의 한 예시를 보여줍니다.

회계연도 매출액 주요 사업 비중
2021 4.8 기초 연수를 비롯하여, 업무 부서별 AI 리터러시 교육,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육성 과정 제공
2022 7.3 교육 서비스를 통해 지식을 축적한 고객 기업에 대해 내재화 지원 컨설팅

AVILEN의 사업 구성 변화는 초기 교육 중심에서 컨설팅과 제품 비중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는데, 이는 AI 기술에 대한 시장 이해가 깊어지면서 구체적인 비즈니스 적용으로 확장되는 과정이라고 생각됩니다.

폭발기(2023년 말-현재): ChatGPT가 가져온 시장의 근본적 변화

2023년 말부터 시작된 ChatGPT와 생성형 AI의 폭발적 성장은 일본 AI 시장의 지형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습니다. 

  1. AI 도입 장벽의 급격한 하락
  2.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
  3. AI 스타트업 평가 기준의 변화

이러한 데이터는 생성형 AI의 등장이 다음과 같은 시장 역학 변화를 가져왔다고 생각됩니다.

  1. 가치창출 주기 단축
  2. 멀티플 상승
  3. 사업 검증 속도 가속화
  4. 진입 장벽의 변화

이러한 환경 변화는 일본 내 AI 스타트업 생태계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M&A를 통한 조기 Exit 전략이 현실적 옵션으로 부상했다고 보입니다.

일본 AI 창업가들의 비전과 의사결정

"재미있어서 시작했다": 열정에서 출발한 창업 스토리

한편, 일본 AI 스타트업 창업자들의 동기 요인을 보면, 시장 기회 인식이나 문제 해결 동기보다 개인적 호기심과 기술에 대한 내재적 열정이 주요 동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창업자 학력 배경 창업 시기 주요 동기 요인 
이토 고타 (Almondo) 도쿄대 재학 학부 1학년 "재미있을 같아서", "사명감"
기타하라 무기로 (LangCore) 도쿄대 대학원 공학계열 졸업 "생성 AI 기술의 가능성"
마츠바 료토 (StatHack) 와세다대 학부 학부 4학년 "노동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열망"

창업자 3원칙: 즐거움, 사명감, 전략적 접근

  1. "楽しいか?" (즐거운가?)
  2. "使命を感じるか?" (사명감을 느끼는가?)
  3. "戦略的か?" (전략적인가?)

대담한 결정: 성장 중인 기업을 매각하기로 한 창업자들의 심리

또한, 주목할 만한 현상은 고성장 궤도에 있는 AI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IPO 대신 M&A를 선택한 의사결정입니다. 이는 전통적인 "최대한 성장 후 IPO"라는 경로에서 벗어난 전략적 선택이기는 합니다.

이들의 M&A 결정에는 다음과 같은 공통적 심리적 패턴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1. 성장 한계에 대한 인식
  2. 기회비용 계산
  3. 장기적 가치 최적화

M&A를 단순한 'Exit'가 아닌 '성장 가속화 메커니즘'으로 인식했습니다.

결론

일본 AI 스타트업 생태계는 2023년 ChatGPT 등장 이후 근본적인 패러다임 전환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창업 2년 내외의 초기 스타트업들이 100억원 수준의 기업가치로 대기업에 인수되는 '조기 M&A'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창업자들이 이러한 M&A를 단순한 ‘EXIT’가 아닌 '공격형 M&A'로 인식하며, 대기업의 자원과 네트워크를 활용한 성장 가속화 메커니즘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2015 태동기부터 2023 이후 폭발기에 이르기까지, 일본 AI 시장의 가치 창출 주기는 4-5년에서 1-2년으로 단축되었으며, 이는 생성형 AI 가져온 기술적 민주화와 진입장벽 하락에 기인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일본 스타트업 생태계에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급변하는 AI 기술 환경에서 연구 기반 지식과 실용적 응용 능력의 결합이 핵심 성공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재팬 인사이트 뉴스레터에서는 일본 스타트업 시장에 대해서 조금은 다른 관점의 이야기, 현지의 생생한 이야기들을 다룰 예정입니다.

일본 스타트업 시장에서 10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4명이 각자의 관심분야를 공유드리려고 하며, 저희도 더욱 공부하고 성장하기 위해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내용들이 일본 스타트업 시장에 관심있으신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KH: 일본 VC 관점에서의 스타트업 시장, 투자, IPO 시장에 대해
  • KU: 일본 스타트업 업계 뉴스의 소개와 배경소개, 일본 스타트업 시장의 내부 이야기
  • YJ: 일본시장의 이해, 해외법인 매니지먼트, 브랜딩, 비즈니스 프로세스
  • SA: 일본 채용, 일본 HR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Japan Insight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5 Japan Insight

일본 스타트업 시장의 흥미로운 인사이트를 보내드립니다.

메일리 로고

도움말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뉴스레터 광고 문의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사업자 정보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 | 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