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1위 스타트업들이 반드시 버리는 5가지 원칙

2025.02.14 | 조회 119 |
0
|
리트머스의 프로필 이미지

리트머스

초기 창업자의 시행착오를 줄여주는 국내외 성공 스토리와 인사이트를 정리하여 공유합니다.

 

첨부 이미지

안녕하세요. 초기 창업자분들께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외주개발 에이전시 리트머스입니다. 오늘은 스타트업이 성공하기 위해 과감히 버려야 할 5가지 원칙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스타트업을 운영하는 창업자들은 종종 기존의 원칙과 관습을 따르려 합니다. 하지만 업계 1위를 차지한 스타트업들을 살펴보면, 오히려 기존의 상식적인 원칙들을 과감하게 버리고 새로운 길을 개척해온 사례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성공한 스타트업들이 반드시 버리는 5가지 원칙과 실제 사례를 통해 배울 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완벽한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

첨부 이미지

대부분의 기업들은 제품이 완벽해질 때까지 출시를 미루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1위 스타트업들은 완벽함보다는 빠른 실행을 더 중요하게 여깁니다. 초기 버전이 부족하더라도 시장에 빠르게 출시하고 고객 피드백을 반영하면서 개선하는 것이 핵심 전략입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페이스북이죠. 페이스북의 창업자 마크 주커버그는 "수십 번 넘어져도 젊음을 무기 삼아 도전하라"라는 철학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페이스북은 초기에 완벽하지 않았지만, 빠르게 출시하며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해 개선해 나갔어요. 이 전략은 페이스북이 빠르게 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2. 경쟁사를 주시해야 한다

첨부 이미지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경쟁사의 전략을 분석하고 대응하려 합니다. 하지만 업계 1위 스타트업들은 경쟁사보다 고객의 니즈에 집중하는 전략을 택합니다. 경쟁사를 신경 쓰다 보면 오히려 시장을 선도할 기회를 놓칠 수 있기 때문이죠.

아마존이 이를 증명하는 사례입니다. 아마존을 설립한 제프 베조스는 "경쟁자만 바라본다면, 경쟁자가 무언가 새로운 것을 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고객에 집중하면 선구자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아마존은 경쟁사보다 고객의 요구를 먼저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시장을 주도해왔습니다.

 

3. 안정적인 수익 모델을 유지해야 한다

첨부 이미지

전통적인 기업들은 기존 수익 모델을 유지하며 안정성을 추구합니다. 하지만 1위 스타트업들은 기존 모델을 과감히 버리고, 새로운 수익 구조를 실험하며 성장하죠. 시장 변화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넷플릭스는 DVD 대여 서비스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로 전환하며 전통적인 수익 모델을 과감히 버렸습니다. 당시 많은 기업들이 온라인 스트리밍을 불확실한 모델로 여겼지만, 넷플릭스는 시장을 주도하는 전략을 선택했어요.

넷플릭스의 공동 창립자인 리드 헤이스팅스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모델을 바꾸는 것을 두려워하지 마라. 기업은 너무 빠르게 움직여서 죽는 경우는 드물고, 너무 느리게 움직여서 죽는 경우는 많다."

이러한 철학은 넷플릭스를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성장시키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4. 직원들에게 업무 방식을 철저히 규율화해야 한다

첨부 이미지

일반적인 기업들은 직원들의 근무 시간을 철저하게 관리하며 성과를 측정하려 합니다. 하지만 성공한 스타트업들은 직원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하고, 성과 중심의 문화를 구축합니다. 몇 시간 일했는지가 아니라, 실제 성과가 더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되는 것이죠.

구글은 직원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하는 문화를 구축한 대표적인 기업입니다. '20% 룰' 정책을 통해 직원들이 근무 시간의 20%를 개인 프로젝트에 할애하도록 장려했습니다. 이를 통해 Gmail, Google News와 같은 혁신적인 서비스가 탄생했죠.

구글의 공동 창립자인 래리 페이지는 "창의성은 자유에서 나오며, 우리는 최고의 인재들이 스스로 동기를 부여하도록 돕는다."고 말했습니다. 구글의 이러한 접근 방식은 직원들의 창의성과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5. 의사결정권을 경영진에게 집중해야 한다

첨부 이미지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중요한 의사결정을 경영진이 독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업계 1위 스타트업들은 조직의 다양한 구성원들에게 의사결정권을 위임하고, 직원들이 직접 책임을 지는 문화를 만듭니다. 이렇게 하면 조직의 속도가 빨라지고, 창의적인 해결책이 나올 가능성이 커집니다.

대표적으로 스포티파이가 있습니다. 스포티파이는 ‘스쿼드’ 시스템을 도입하여 팀(스쿼드) 단위로 독립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는 각 팀원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동기 부여와 창의성을 증가시켰어요. 더불어 각 팀이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하고, 변화하는 시장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게 되었죠.

스포티파이의 CEO 다니엘 에크는 이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l

"최고의 팀은 중앙에서 명령을 받지 않고도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팀이다."

이와 같은 조직 문화 덕분에 스포티파이는 빠르게 성장하며 글로벌 음악 스트리밍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습니다.

 

혁신을 만드는 새로운 사고방식

첨부 이미지

업계 1위 스타트업들은 기존의 원칙을 맹목적으로 따르기보다, 오히려 과감히 버리고 새로운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혁신을 주도합니다.

  • 완벽함보다 신속한 실행과 시장 피드백 반영
  • 경쟁사보다 고객의 니즈에 집중
  • 기존 수익 모델을 버리고 변화에 적응하는 유연성
  • 업무 방식의 자율성을 확대하고 창의성을 장려
  • 경영진 중심이 아닌 조직 전체가 참여하는 의사결정 구조

이러한 접근 방식은 스타트업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서 적응하고 성장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지속적인 실험과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태도가 기업의 장기적인 성공을 결정짓습니다.

여러분의 스타트업도 이러한 원칙을 참고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길 바랍니다! 리트머스도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는 기업들을 응원하며 맞춤형 외주 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며,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함께 만들어 가고자 하는데요.


정부지원사업 시즌에 고생하고 있으실 창업자분들을 위해 리트머스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지원하고 합격, 탈락했던 정부지원사업 서류를 공유드리고 있습니다. 부담없이 요청하세요! 예비 창업자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리트머스는 어떻게 창업을 하고, 50명 규모까지 성장했을까?: https://2link.in/L0dOv

초기창업패키지, 글로벌창업사관학교, 청년사관학교 합격 서류 공유 요청 신청 링크: https://2link.in/L7qAo

정부지원사업, MVP 함께 준비하는 오픈 채팅방 입장: https://2link.in/LR0y2

Pre-A 투자, Tips 선정 등 누적 20억 자금을 유치한 외주개발 에이전시이자 자체 B2B SaaS를 운영 중인 스타트업 리트머스입니다.

2021년에 설립되었으며, 유니콘(Socar, Sendbird, etc) 기업 CEO 및 C레벨 임원들로부터 엔젤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이후, 2022년 6월에는 Springcamp, TapAngel, SynergyIB, Schmidt로부터 100만 달러의 투자를 받았습니다.
2023년에는 2022년 대비 11배 이상의 매출 성장을 이루었으며 BEP에 근접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믿을 수 있는 개발 파트너와 함께 효율적인 프로젝트를 시작하세요.
시간과 비용을 5분의 1로, 혁신적인 서비스 제작

<외주개발 견적 문의하기>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리트머스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5 리트머스

초기 창업자의 시행착오를 줄여주는 국내외 성공 스토리와 인사이트를 정리하여 공유합니다.

메일리 로고

도움말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뉴스레터 광고 문의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사업자 정보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 | 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