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서비스가 커뮤니티를 단순 ‘게시판’으로 생각하지만, 실제로 커뮤니티는 유저 간 연결(Network Effect)을 유도하고, 서비스 이탈을 줄이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에요. 커뮤니티가 활성화되면 서비스는 단순 툴을 넘어, 사람이 모이는 공간이 되고, 이것은 곧 리텐션, 구독 전환, 재방문율 증가로 연결돼요.
그래서 커뮤니티 기획을 할 때는 단순히 글 쓰기, 댓글 달기만 생각해서는 안돼요. 커뮤니티를 기획할 때 어떤 점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무엇을 주의해야 할까요?
1️⃣ 커뮤니티 기능의 기본 흐름
커뮤니티 기능은 접근과 노출, 컨텐츠 소비, 참여 유도, 반응 유도, 알림 및 재방문 유도의 플라이 휠을 고민해야 해요.
- 접근 & 노출 : 유저가 어디서 커뮤니티를 처음 접하게 되는가?
- 컨텐츠 소비 : 유저는 어떤 글을 어떤 순서로 보게 되는가?
- 참여 유도 (Post) : 어떤 유저가 어떤 조건에서 글을 쓰게 되며, 작성 경험은 어떠한가?
- 반응 유도 (Like/Comment) : 댓글, 좋아요, 공유 등 어떤 반응 기능을 제공할 것인가?
- 알림 및 재방문 유도 : 알림으로 다시 접속하게 만들 것인가?
기획할 때 반드시 놓치면 안되는 실무 팁대부분 처음 커뮤니티 기능을 기획할 때 "글을 어떻게 쓰게 만들까?", "누가 작성했으면 좋을까?"를 먼저 고민해요. 이 부분도 중요하지만 "글을 누가 봤으면 좋을 것인가?", "글을 읽은 사람들이 얼마나 반응하는가?"가 더 중요해요! 구독자보다 조회수가 중요한 유튜브를 생각해보면 이해하기 쉬울 거예요. 실제 커뮤니티가 잘 돌아가려면 "글을 올라는 사람"보다 "글을 보는 사람"이 많아야 해요. 그렇기 때문에 컨텐츠 소비 흐름부터 설계해야 해요.
2️⃣ 커뮤니티 기능 기획 시 정해야 할 정책
1. 커뮤니티 유형 선정
단일 게시판, 카테고리 기반, 관심사 기반 등 커뮤니티 구조를 설계해야 해요.
- 단일 게시판 : 모든 글이 한 공간에 올라옴
- 카테고리 기반 : 주제별 글을 분리
- 관심사 기반 : 유저 관심사 별 글을 분리
2. 글 노출 정책
어떤 유저에게 어떤 글을 보이게 할 것인지에 대한 글 노출 기준이 있어야 해요. 추천 컨텐츠에 이유를 같이 덧붙인다면 유저 신뢰가 생겨요.
ex. 내가 선택한 관심사 기반으로 글을 추천하고 최신순, 인기순 등의 정렬
기획할 때 반드시 놓치면 안되는 실무 팁
- 인기 순 정렬은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요. 그렇기 때문에 인기 순의 정의가 필요해요. 예를 들면, 조회수 + 좋아요 + 댓글의 랭킹 기반이 될 수 있어요.
- 이미지 저장 기능을 추가할 경우 최소, 최대 장수를 반드시 명시해야 해요. 또한 이미지 리사이징 여부, 업로드 파일 확장자, 업로드 이미지 용량 제한도 기획안에 명시해 두어야 해요.
- 댓글, 대댓글을 어느 레벨까지 지원할지 정해야 해요.
- 신고, 블라인드, 스팸과 도배에 대한 대응도 고민해야 해요. 실제 커뮤니티에서 스팸과 도배 등 커뮤니티 운영 정책에 어긋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아요. 작성 속도 제한, 동일 텍스트 반복 제한 등 스팸과 도배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고 해당 하는 경우 자동 블라인드에 대한 기준과 운영 툴도 고민해봐야 해요.
3️⃣ 커뮤니티 기능 성공 지표
커뮤니티 기능은 DAU보다 참여율, 반응 유도 지표가 중요해요.
- UGC(User Generated Content) 비율 : 전체 유저 중 컨텐츠를 작성한 유저 비율, 컨텐츠를 작성한 유저 / 전체 유저 수 또는 액티브 유저 수
- 평균 반응 유도 비율 : 게시물 당 평균 댓글, 좋아요 등 반응 비율
- 반응 유도 재접속율 : 내 글에 댓글, 좋아요 등 반응이 있을 때 재방문한 비율
- 신고율 : 전체 글 당 신고 글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