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이직의 A to Z 컨설팅 과정 안내드립니다.

대잔류의 시대, 현명한 직장인의 대응전략

#32, 대퇴사 시대를 지나, 대잔류 시대의 소회

2025.02.14 | 조회 947 |
0
|
from.
정구철
커리어 리포팅 프로젝트의 프로필 이미지

커리어 리포팅 프로젝트

'제 자리'를 찾는 Career Repotting Project

 

첨부 이미지

팬더믹 이후 우리가 가장 많이 접했던 단어 중 하나는
대퇴사 시대(The Great Resignation)이었습니다.  

이전과 다른 생존방식은 직장인들의 우선순위를 바꾸었습니다. 
팬더믹 덕에 시장에 막대한 돈이 풀렸고, 직장인들은 더 나은 조건의 직장을 찾아떠났습니다. 

작년에 이어 올해는 확연한 불황입니다.
불확실성은 불안감을 불러일으킵니다.
개인은 물론이거니와 기업에도요.
빅테크 기업들은 대규모 감원을 시작했고, 직장인은 몸을 사리기 시작했습니다.
안정적인 소득이 가장 우선시 되고,
도전에 소극적이 될 수 밖에 없는 시기입니다.

 

대퇴사시대?  대잔류의 시대(Big Stay)

25년 1월 인크루트가 1056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절반 이상(54.9%)이 당장 이직을 실행하기보다 현재 회사에 머무르는 쪽을 선택했다고 합니다. 

첨부 이미지

춡처 : https://www.mk.co.kr/news/economy/11228685

이유를 보면 응답자의 45.4%가 '안정적인 소득과 고용 보장'을, 
38.2%는 '경제적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를 꼽았습니다. 
시장상황이 어려울수록 안정성을 추구하는 것은 당연한 선택일 것입니다.

직장인의 40%는 여전히 이직을 꿈꿉니다. 
하지만 이것은 확연히 줄어든 수치입니다.
23년, 대퇴사시대의 82%에 비하면 말이죠. 

누가봐도 지금은 몸을 사리고, 신중해야 할 때로 보입니다. 
하지만 과연 그것만이 답일까요?

 

장기 근속의 명과 암

한 회사에서 오래 일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얻게 되는 것들이 있습니다. 
업무 프로세스와 조직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 탄탄한 내부 네트워크, 의사결정에서의 영향력 입니다. 
예측 가능한 승진과 보상체계도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저는 가장 보수적인 산업군 중 하나인 건설사 출신입니다. 
헤드헌터임에도 주변 지인들에게 이직을 권하지 않는 이유는 
보수적인 업계, 안정적인 회사에서는 이직을 통해 리스크를 감내하는 것보다는, 한 직장에서 되도록 오래 다니는 것이 더 이득이라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는 공기업 및 일부 산업군에만 해당되는 부분입니다. 
우리가 안정성 가운데 간과하는 것도 있습니다. 
외부 트렌드와 시장 변화에 대한 대응력이 약해질 수 있고, 새로운 기술과 업무방식을 접할 기회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자신의 시장가치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정작 쓰임이 다했을 때, 쓰임이 있는 곳을 찾기 어려운 것이 단점입니다. 
변화의 시대에 변화를 외면했기 때문입니다.


제가 현업에서 종종 보게 되는 것 중 하나가, 
한 직장에서 오래 근무하신 시니어의 경우 이직을 결심했을 때 겪는 어려움입니다. 업계 최고의 실력자임에도 불구하고, 그 전문성을 새로운 환경에서 어필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력이 모자라서가 아니라, 조직에서의 입지와 조직구성상 채용의 명분을 갖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시니어 이직이 어려운 이유입니다. 

 

대잔류 시대,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

1. 내부에서 힘을 기르세요. 

본인 업무에만 매몰되지 않고, 적극적으로 시야를 넓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회사의 전체 프로세스를 이해하려 노력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제가 현업에서 성공적으로 승진, 이직한 분들을 보면, 자신의 분야에서 탁월함은 물론, 회사의 생리와 구조, 타부서의 역할과 입장에 대한 이해가 탁월했습니다. 조직 내에서 좋은 평판을 유지함은 물론입니다. 

 

2. 외부와의 접점을 늘리세요 

업계 세미나나 컨퍼런스에 참석하고, 동종업계 사람들과의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링크드인 같은 비즈니스 플랫폼도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시장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어떤 역량이 요구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회사 밖의 시야를 잃지 않는 것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입니다.

 

3. 전문 영역을 구축하고, 시장성 있는 스킬을 확보하세요. 

회사에서 맡은 업무 중 하나를 깊이있게 파보는 것이 좋습니다. 
단순히 반복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닌, 왜 이렇게 하는지, 어떻게 하면 더 잘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업무 노하우를 체계화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전문성이 쌓입니다. 
이는 조직 내에서도, 외부 시장에서도 인정받을 수 있는 차별화 포인트가 됩니다. 전문성이야말로 불황기에 가장 강력한 무기가 됩니다.

 

4. 공통 근육을 키우세요.

데이터 분석이나 디지털 협업 도구 활용 능력, 영어 등 범용적인 업무 영역에서의 성장을 도모하세요. 이런 기본기는 어떤 산업, 어떤 직무에서도 경쟁력이 됩니다.

이런 준비들이 당장은 필요 없어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억하세요. 변화의 시대에 안주는 답이 아닙니다.

 

안정성이 불안정성을 낳는다. 평화가 혼돈의 씨앗을 뿌린다.

-모건 하우절, <불변의 법칙> 중-

 

변화의 시대에 가장 합리적인 선택은 변화하는 것입니다.

 

가장 강한 종이 살아남는 것이 아니고, 
가장 똑똑한 종이 살아남는 것도 아니다. 
변화에 가장 잘 적응하는 종이 살아남는다.

- 찰스 다윈-

 

다윈이 말했듯, 생존은 결국 변화에 얼마나 잘 적응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시장이 다시 움직이기 시작할 때, 준비의 차이는 분명해집니다. 
불황기의 진짜 기회는 이런 준비된 사람들의 몫이 됩니다.

 

 

 

이직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연봉협상 컨설팅 | 헤드헌터가 가장 잘하는 것? 연봉협상입니다.
면접까지 8부 능선을 넘었다면, 이번엔 제 값 받으세요. 

3천부터 3억, 주니어부터 C lv/까지 압도적 경험과 성과의 연봉협상

👉 지금 확인하기

 

커리어 리포팅 프로젝트 | 주니어를 위한 4주 이직 완성 프로그램
시행착오를 줄이고 연봉은 높이는 실전 솔루션. 

산업군 상관없이, 오직 1~5년차 분들만 수강 가능합니다. 

👉 지금 확인하기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커리어 리포팅 프로젝트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5 커리어 리포팅 프로젝트

'제 자리'를 찾는 Career Repotting Project

뉴스레터 문의koochul.jung@mseed.company

메일리 로고

도움말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사업자 정보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 | 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