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템임플란트, 조지아 법인 설립 추진…‘해외 매출 1조’ 박차
현지 등기 마쳐... 법인 설립 절차 밟아, 중앙아시아 치과시장 진출 거점 강화
오스템임플란트가 중앙아시아 지역의 치과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조지아에 현지 법인을 설립한다. 조지아는 유럽과 중동으로 연결되는 거점 국가로 평가받는다. 오스템임플란트는 해외 시장에서 매출의 70% 가까이를 올리고 있어 조지아 법인 설립을 통해 중앙아시아 지역의 사업 역량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오스템임플란트는 조지아에 현지 법인을 설립하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다. 오스템임플란트 관계자는 “현재 조지아 법인의 현지 등기를 마쳤다”며 “치과의사 임상 교육과 사무실 개설, 직원 채용 등 현지 시장의 영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과정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했다.
조지아는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지리적 교두보다. 유럽연합(EU)과 흑해경제협력기구(BSEC), 걸프협력회의(GCC), 독립국가연합(CIS) 국가에 진출하려는 기업이 거점 지역으로 꼽는 국가이기도 하다. 조지아 법인은 오스템임플란트가 중앙아시아 지역의 치과시장을 공략하는 것은 물론 유럽과 중동 등으로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 매출 ‘1조’ 목표
오스템임플란트는 조지아 법인을 비롯한 해외법인을 확대하며 해외 매출 비중을 지속해서 키우고 있다. 이 회사의 2023년 연결기준 매출은 1조2083억원, 영업이익은 2428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4.7%, 3.5% 늘었다. 이 중 해외 매출은 7956억원으로 같은 기간 17.5% 성장했다. 전체 매출과 비교하면 67%에 육박한다. 해외 매출 비중은 2017년 전체 매출의 50%를 돌파한 이래 꾸준히 성장세다.
다음 목표는 해외에서만 1조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기다. 전 세계 치과시장에서 쌓은 기술력과 인지도를 바탕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겠다는 포부다. 오스템임플란트는 인도와 싱가포르, 베트남은 물론 조지아 인근의 튀르키예, 카자흐스탄, 유럽 진출을 목표로 프랑스와 포르투갈, 이탈리아, 네덜란드 등에 36개의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 기업 성장을 위해 2026년까지 46개 국가에 50개의 해외법인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단독] 오스템임플란트, 조지아 법인 설립 추진…‘해외 매출 1조’ 박차 (economist.co.kr)
덴티움, 석학 30인 초청 한-중 협력 20주년 기념 행사
덴티움과 제노스가 5월 26일 덴티움 광교 본사에서 중국 생채재료분야 권위자 30인을 초청한 한-중 연구협력 20주년 기념행사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 참여한 차기 중국생체재료학회장인 장승민(Zhang Shengmin / 화중과기대)교수와 미국 콜롬비아대의 캄렁(Kam Leong) 교수를 포함한 30여분의 석학들은 26일 오전에 덴티움 사옥을 방문하였으며 오전에는 사옥투어를 통해 덴티움 제품 쇼룸과 임플란트 생산 시설, 장비 생산시설, 디지털 연구소 등 돌아보며 제품 생산 과정을 두 눈으로 볼 수 있는 특별한 시간을 마련하였다.
오후에는 16층 대강당에서 메인 행사가 진행되었으며, 이인섭 교수와 장승민 교수의 개회사로 오프닝을 열었다. 이어서 현 중국생체재료학회장인 리앙짜오유(Liang Zhao Yu) 교수와, WBC2024 조직위원장인 박기동교수의 영상축사에 이어, 노인섭 교수가 추가로 한-중 생체재료 연구협력 20주년 기념행사의 축사를 진행하였다. 본 행사의 첫번째 순서로 장승민 교수가 20년 동안의 한-중 연구협력의 지난 업적들과 앞으로의 20년을 기약해 보는 뜻깊은 시간을 마련하였다.
덴티움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지난 시간과 관계를 되돌아보며 앞으로 나아가야할 20년의 방향성에 대해 토론하며 미래를 준비하는 매우 뜻깊고 유익한 자리였다” 며 “향후 한-중 생체재료(Biomaterial) 분야의 산업화와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을 덴티움과 제노스가 중심에서 이끌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 이라고 말했다.
덴티움, 석학 30인 초청 한-중 협력 20주년 기념 행사 | 중앙일보 (joongang.co.kr)
디오, HDXWILL과 파트너십 체결
'디오나비'와 디지털 시너지 기대
디오가 HDXWILL과 파트너십을 맺고 저선량, 고화질 CBCT ‘eco-x’를 오는 6월 7일부터 9일까지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SIDEX 2024에서 선보인다.
AI 딥러닝 기술로 탄생한 ‘eco-x’는 파노라마보다도 적은 방사선량으로 해부학적 구조와 노이즈를 구분하는 ‘Auto Exposure Control’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Metal Artifact Reduction’ 기능은 금속 보철물로 인한 인공 음영을 구분, 해부학적 구조물의 왜곡을 최소화해 금속 보철물이 있는 어느 부위든 선명하게 보여준다.
특히 ‘eco-x’는 촬영영역이 16×9 FOV로 확대돼 1회 촬영으로 상하악과 상악동은 물론, 턱관절 및 기도 분석에도 사용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멀티 레이어 파노라마는 파노라마를 여러 궤적으로 나누고 협설측으로 이동하면서 초점을 맞춰 대략적인 협설측의 해부학적 위치 관계를 판독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정확한 교정치료를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자동 교정점 검출’ 기술 또한 보유하고 있다.
디오 마케팅본부 이창민 본부장은 “‘디오나비’와 CBCT ‘eco-x’의 만남으로 발현하게 될 디지터 덴티스트리 시너지가 벌써부터 기대된다”며 “디오 유저들에게 더 정확하고 편안한 진료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시도를 앞으로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디오, HDXWILL과 파트너십 체결 (dentalnews.or.kr)
메가젠임플란트에 매출 밀린 덴티움···전망은 시기상조
덴티움이 ‘국내 임플란트 3위’ 메가젠임플란트에 매출이 밀려났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메가젠임플란트는 올해 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한 88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281억원으로 무려 1006.6%나 점프했다.
이 시장에서 15%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는 메가젠임플란트가 올해 들어 덴티움을 앞지르고 있는 모습이다.
덴티움은 올 1분기(연결기준)에만 827억원의 매출을 거둬들였다. 전년 동기 보다 20.2% 증가한 규모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192억원으로 10.7%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9.8% 줄어든 165억원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연간 실적을 가늠하기는 이르다.지난해 실적 흐름만 보더라도 덴티움이 압도적으로 앞서있기 때문이다.
덴티움은 지난해 매출이 전년 보다 10.5% 뛴 3932억원을 기록하며 4000억원에 육박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영업이익도 1383억원으로 10% 증가하며 두 자릿수 점프했다. 메가젠임플란트도 매출이 2.8% 오른 2178억원, 영업이익은 40.8% 감소한 213억원에 그치며 덴티움과의 매출 격차가 한보 더 벌어졌다.
덴티움은 올 1분기 기준 임플란트 사업 부문 매출 비중만 86.1%에 이르며 임플란트 시장에서도 20% 가량의 영역을 점유하며 발을 넓혀가고 있다. 특히 중국 경기 회복의 수혜자로 꼽히고 있어 올 2분기를 기점으로 중국 매출 성장도 기대되고 있다.
대신증권 한송협 연구원은 “중국 로컬 기업들의 경우 임상 데이터와 브랜드 평판 등에서 아직 경쟁력이 떨어져 의미 있는 시장 침투에는 2~3년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물량기반조달(VBP) 시행으로 인한 가격 평준화로 밸류 세그먼트 임플란트 수량의 증가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며 “중국 내수 및 부동산 경기가 회복세를 보인다면 중국 내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는 덴티움의 실적 성장이 돋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메가젠임플란트에 매출 밀린 덴티움···전망은 시기상조 (mdtoday.co.kr)
덴티스, SIDEX에 신제품 대거 출격 완료!
SIDEX 2024, 역대 최대 전시규모와 경품으로 기대감 고조
덴티스(대표 심기봉)가 오는 6월 7일부터 9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치과기자재전시회 ‘SIDEX 2024’ 출격 준비를 마쳤다. 덴티스가 역대 최대 규모로 참가하는 이번 전시회에서는 신제품을 대거 공개하고, 역대 최대 규모의 경품을 제공할 예정이다.
덴티스가 선보이는 신제품 라인업은 △루비스체어 M클래스 △루비스 S300 카메라 △Safe Fit(세이프 핏) 등이다. 지난해 SIDEX 2023에서 첫 선을 보였던 ‘루비스체어’의 새로운 클래스, M클래스를 선보인다. ‘루비스체어 M클래스’는 Master(전문가)의 이니셜로, 중대형 수술등 ‘루비스 M400’이 장착돼 진료 및 수술의 전문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수술환경에 최적화된 차세대 촬영 솔루션 ‘루비스 S300 카메라’도 전시된다. 수술등과 FHD 카메라가 결합된 ‘루비스 S300 카메라’는 LED 41개가 구현하는 무영효과는 물론, 카메라 옵션을 탑재해 촬영녹화가 가능한 수술등으로 수술등, 진료등 모드 등 다양한 설정을 통해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디지털 보철 ‘세이프 핏’도 론칭된다. ‘세이프 핏’은 Emergency Profile을 완벽 구현했으며,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아 합병증에 강하면서도 사용이 쉽고 호환성도 폭넓은 시멘트리스 어버트먼트로 이목을 집중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덴티스 관계자는 “덴티스 역사상 가장 큰 규모로 SIDEX에 참가하는 만큼 다양한 신제품과 이벤트를 선보이기 위해 노력했다”며 “덴티스 부스에 방문해 진료실의 새로운 트렌드를 직접 만나보길 바란다”고 전했다.
덴티스, SIDEX에 신제품 대거 출격 완료! (dentalnews.or.kr)
치과계 최대 축제 ‘SIDEX 2024’ 열흘 앞으로
6월 7~9일 서울 코엑스, SIDEX 학술 사전등록자 7,000명 넘어서
골드 등 1억 6천여만원 경품... 얼리버드/스탬프 투어 등 '한가득'
서울시치과의사회(회장 강현구·이하 서울지부) 창립 제99주년 기념 2024 국제종합학술대회 및 제21회 서울국제치과기자재전시회(이하 SIDEX 2024)가 오는 6월 7일부터 9일까지 사흘간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SIDEX조직위원회(위원장 신동열)에 따르면 5월 12일 사전등록을 마감한 결과 사전등록자 7,000명을 넘어섰다. 여기에 지난해와 비슷한 1만명 수준의 서울국제치과기자재전시회 참관객까지 더하면 올해도 1만7,000명 이상의 치과인이 SIDEX를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원데이 마스터 클래스, 공동강연 등 새로운 시도
국제치과 기자재 전시회 250개사 1,072부스
SIDEX 2024 국제종합학술대회는 ‘Remaster Knowledge, Reload Experience(새롭게 연마하는 지식, 다시 쌓아가는 경험)’라는 슬로건 아래 총 41개의 학술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다양성 확보 차원에서 일반강연은 물론이고, 공동강연과 원데이 마스터 클래스, 핸즈온, 필수과목, 해외강연, 교양강연 등 다양한 형태의 강연을 마련했다. 특히 예년보다 많은 7개의 공동강연을 배치해 양과 질적인 면에서 한층 업그레이드됐으며, 새롭게 시도하는 원데이 마스터 클래스에서는 특정분야에 대한 연자들의 임상노하우를 만나볼 수 있다. 공동강연과 원데이 마스터 클래스 모두 한 테두리 안에 묶여 있는 강연인 만큼, 하나의 주제를 놓고 연자들이 소통하며 자신의 경험담을 공유하는 특별한 형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SIDEX 2024 서울국제치과기자재전시회는 250개 업체 1,072부스 규모로 치러진다. 코엑스 3층의 C홀과 D홀은 물론이고, D홀 로비와 컨퍼런스룸 E에도 부스가 들어선다. 스탬프투어와 SIDEX e-SHOP 등 전시 활성화를 위해 마련한 다양한 부대행사와 참가업체들이 정성껏 준비한 파격적인 프로모션 등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치과계 최대 축제 ‘SIDEX 2024’ 열흘 앞으로 (dentalnews.or.kr)
대한치과병원협회 “초고령화 사회, 구강노쇠 대비 필요”
치병협, 지난 5월 20일 복지부와 현안 논의
대한치과병원협회(회장 정영수·이하 치병협)가 지난 5월 20일,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 배경택 건강정책국장, 이중규 건강보험정책국장과 간담회를 갖고 △구강노쇠 진단 및 치료 제도화 △치과 감염예방 관리료 신설 등 치과계 주요 현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는 전은정 구강정책과장도 배석, 관련 사항을 함께 점검했다.
이날 치병협 정영수 회장은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구강노쇠 환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사회적 인식과 대비책은 부족한 상황”이라며 “구강노쇠는 흡인성 폐렴, 전신질환 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문제이므로, 조속한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치과진료 특성상 높은 감염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치과병원의 감염 예방 및 관리 활동에 대한 적벌한 보상 체계가 부재함을 지적하며 관련 수가 신설을 제안했다.
이를 청취한 배경택 건강정책국장은 “치과계 현안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하탕으로 국민 구강건강 증진을 위해 치병협과 적극 협력하겠다”고 약속했다.
대한치과병원협회 “초고령화 사회, 구강노쇠 대비 필요” (dentalnews.or.kr)
U.S. and China trade divisions threaten a ‘reversal’ for global economy, IMF official warns
(IMF 관계자는 미국과 중국 무역 구분이 세계 경제의 '역전'을 위협한다고 경고했다.)
Differences between U.S.-led Western and China-aligned economic blocs threaten global trade cooperation and economic growth, a top official with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warned on Tuesday.
IMF Deputy Managing Director Gita Gopinath said in a speech at Stanford University that events such as the global pandemic and Russia’s invasion of Ukraine have disrupted global trade relations in ways not seen since the Cold War.
“Increasingl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guided by economic security and national security concerns in determining who they trade with and invest in,” she said, adding that this has resulted in countries increasingly picking sides between China and the U.S.
While strengthening economic resilience is “not necessarily bad,” the trend of fragmentation threatens a move away from a “rules-based global trading system” and a “significant reversal of the gains from economic integration,” Gopinath said.
Tensions between Washington and Beijing have been rising as the U.S. ramps up trade restrictions and sanctions on China, citing national security concerns, while worries over Beijing’s advances in the South China Sea and the rhetoric around Taiwan have also soured sentiment.
Trade between the China and U.S. blocs has declined compared with trade among countries within the groupings, Gopinath said. The U.S. bloc mainly includes Europe, Canada, Australia and New Zealand, while China-leaning countries include Russia, Eritrea, Mali, Nicaragua and Syria.
Since the invasion of Ukraine, trade between the blocs has dropped by about 12%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s are down by 20% compared with those within the bloc’s constituents.
China, in particular, has struggled to maintain foreign investment amid increased tensions with the West. Foreign direct investment flows into the country reportedly fell 26% in the first three months of 2024 compared with the same period a year earlier.
U.S. and China trade bloc divisions threaten a 'reversal' for global economy (cnbc.com)
EFP Digital Innovation Award 2024: shaping the future of periodontology
(EFP 디지털 혁신상 2024: 치주학의 미래의 형성)
Brussels, 15 May 2024. In the fast-evolving world of digital technology, the EFP (European Federation of Periodontology) invites innovators with ideas to enhance gum health or periodontal science and practice to participate in the EFP Digital Innovation Award. Submissions are welcome by 10 June at the latest.
Recent winners include Claire Bigot from Paris, who developed My Perio Care, a digital solution aiming to improve periodontal care through a web application for dentists and a mobile app for patients. Bigot’s project won the 2023 first prize and will be introduced to French dentists next autumn, with plans for broader implementation at EuroPerio11 in Vienna next year.
Two years ago, Lodewijk Gründemann and Melle Vroom were recognised for Dental Coach App, which facilitates dental lifestyle coaching and promotes healthy oral care behaviour through personalised communication between healthcare providers and patients. The award brought attention to their initiative, spurring interest in e-health and Dental Coach.
“This award serves as a platform for innovators in periodontology to showcase their digitally based solutions. We are excited that our partnership with Haleon enables us to continue supporting cutting-edge advancements that shape the future of oral health,” emphasises Prof. Andreas Stavropoulos, chair of the EFP’s scientific affairs committee”.
The EFP Digital Innovation Award, presented annually by the EFP with the support of Haleon, aims to encourage members of its national scientific societies to develop digital solutions that benefit the public, oral health professionals, or periodontal researchers. However, previous winners or those related to previously awarded projects are not eligible to reapply.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