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자님, 안녕하세요?
7월 12일부터는 퇴직연금 가입자가 운용지시를 하지 않고 4주가 경과하면 디폴트옵션의 적용대상이라는 통지를 받고, 그로부터 2주가 경과하기 전에 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디폴트옵션이 적용됩니다. 무엇보다 퇴직연금 수익률을 높이려는 조치인데, 그렇게 될 경우 TDF가 가장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TDF가 무엇이며 어떻게 운용되고 선택할 때 어떠한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 등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금융위원회는 퇴직연금사전지정운영제도(이하 ‘디폴트옵션’이라 함)가 7월 12일부터 실시될 예정이라며 이의 운영기준이 될 퇴직연금감독규정 개정안(이하 ‘감독규정 개정안’이라 함)을 5월 16일에 내놓았습니다. 감독규정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디폴트옵션 상품에 퇴직연금 적립금의 100%(전액)까지 편입할 수 있도록 하고, 증권금융회사 예탁금도 원리금보장상품에 편입될 수 있게 한 것입니다.
디폴트옵션 상품에 퇴직연금 적립금 전액까지 편입할 수 있게 한 이유는 가입자의 무관심 등으로 퇴직연금 적립금의 약 90%가 낮은 금리의 원리금보장 상품으로 운용되어 低수익률에 머무르고 있는 상황을 벗어나게 하려는 것인데, 금융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사유를 들고 있습니다.
1. 근로자에게는 고용노동부 소속 심의위원회(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참여 예정) 심의 및 고용노동부 장관 승인을 통해 안정성 등이 평가된 디폴트옵션 상품 중 사용자-근로자가 합의한 소수의 상품만 제시됨
2. 현행 제도 하에서는 적립금內 원리금보장 상품 등 비중이 30%를 하회할 경우, 펀드형 디폴트옵션은 작동될 수 없는 상황이 발생
3. 예·적금 중심 운용(약 90%)에서 벗어나 퇴직연금 수익률을 제고하려는 제도 취지 감안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디폴트옵션은 가입자가 운용지시를 하지 않고 4주가 경과하면 적용되는데, 디폴트옵션이 적용됨을 가입자에게 통지한 후 2주 추가 경과 시 디폴트옵션으로 운용합니다. 따라서 가입자가 적극적으로 운용할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디폴트옵션을 적용하면 수익률 상승이 기대되는데, 금융위원회는 이 제도를 우리나라보다 앞서 도입한 미국('06)·영국('12)·호주('13)의 경우 연평균 6~8%의 높은 수익률 기록하여 최근 5개년('17~'21) 평균이 1.94%에 머무른 국내 퇴직연금 수익률과 비교된다고 예시했습니다.
또한 증권회사 예탁금이 원리금 보장상품에 편입됨에 따라 퇴직연금 가입자의 노후자금 보호 등을 위해 기존 원리금보장 상품 제공기관에 적용되는 신용등급, 자기자본 비율 등의 요건이 증권금융회사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됩니다.
이러한 제도 개선에 따라 고용노동부 장관의 승인을 받을 적격 디폴트옵션으로는 원리금보장상품이나 TDF(Target Date Fund), 혼합형펀드, 스테이블 밸류 펀드, 부동산 인프라 펀드 등이 꼽히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TDF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TDF는 투자자의 예상 은퇴시기에 맞춰 설계하고 자산 배분 비율을 조정하는 펀드입니다. 1994년 4월 Wells Fargo가 최초로 출시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이 2011년에 TDF를 소개하였습니다. TDF는 은퇴시기가 많이 남아 있으면 수익률은 높으나 리스크가 큰 위험자산의 비중을 높여 높은 수익률을 도모하다 은퇴시기에 가까워지면 안전자산의 비중을 높이는 전략을 구사합니다. TDF명칭을 보면 예를 들어 TDF2030, TDF2035처럼 5단위로 증가하는 숫자가 붙는데, 그 숫자는 예상은퇴시기를 나타냅니다.
TDF는 시장지수 수익률을 기준으로 패시브형과 액티브형으로 나뉘는데, 패시브형이 시장지수 수익률을 추종한다면 액티브형은 그 이상의 수익률을 도모합니다. 다만 TDF는 평균적으로 연 1~1.5%의 수수료를 부담해야 하는데, 다소 높은 수준이라 평가됩니다.
우리나라에서 TDF상품이 활성화되기 시작한 것은 2016년 삼성자산운용의 TDF가 출시된 이후라서 수익률을 본격 평가하기는 아직 이른데, TDF수익률은 2018년에 마이너스 수익률을 본 것을 제외하면 대체로 높게 나타납니다. 그렇다고 하여 아무 TDF나 선택해도 좋다는 의미는 아니며, 기간에 따라서는 마이너스 수익률을 나타낼 수도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이는 TDF가 자산배분을 어떻게 하는가가 다르고, 장기투자에 큰 영향을 미치는 판매보수가 다르며, 해외사례를 볼 때 심지어는 관계사의 이익을 위해 투자자의 이익을 희생하는 경우가 발견(홍원구(2020))되었기 때문입니다(TDF 선택 기준과 관련해서는 김동엽, 「자산 운용 위한 TDF 선택 시 체크포인트 7선」, 2021. 7. 26. 참조). 따라서 TDF상품에 가입하려면 여러 측면을 잘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개별 TDF의 수익률 등을 확인하고 비교하려면 에프앤가이드 등을 방문하면 됩니다.
이러한 정보를 기초로 자신의 퇴직연금을 어떻게 운용하면 좋을지 판단해보시기 바랍니다. 중요한 것은 퇴직연금을 원리금보장상품에 방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지나치게 높은 수익률 추구는 리스크를 키워 치명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을 것이나 적절히 적극적으로 운용하면 좋은 성과를 거둘 것입니다.
※ 이 글은 브런치 <실버레터>에 5월 22일에 게재한 "퇴직연금사전지정운영제도 도입을 계기로 TDF 알아보기"를 옮겨 실었습니다.
은퇴 관련 정책 정보
주요 금융 지표
한국 금리
미국 금리
한국과 미국의 장단기 금리차
한국 주가지수
미국 주가지수
알아두면 좋은 시사용어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