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c Letter

트럼프, 대체 왜 이렇게 '관세'에 집착할까?

25% 관세 폭탄 맞은 한국, 트럼프 관세정책의 배경과 경제적 파장 정리

2025.04.09 |
from.
DK
더씽크 The Sync의 프로필 이미지

더씽크 The Sync

매주 놓치면 손해인 트렌드와 인사이트

📰 Sync Letter

매주 놓치면 손해인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전해드립니다.
지금 "구독하기"를 눌러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첨부 이미지

첨부 이미지

💡 TL;DR


  •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정책을 발표하며 전 세계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어요.
  • 한국은 25% 대상에 포함됐고, 수출 주력 산업과 공급망 전체가 충격을 받고 있어요.
  • 글로벌 증시는 급락했고, 환율과 금리 불안도 확대되고 있어요.
  • 트럼프는 무역적자, 제조업 부흥을 내세우지만 정치적 계산과 협상 전략이 복합적으로 작동 중이에요.
  • 한국은 외교, 산업, 통상 전략 전반에 구조적 전환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이런 분들은 꼭 읽어보세요


  • 미국향 수출 또는 현지 생산 전략을 운영 중인 제조·무역 기업 관계자
  • 글로벌 정책 리스크에 따른 투자 판단이 필요한 분
  • 대외 변수에 민감한 정책, 전략, 기획 실무자
  • 국제 질서 재편 속 한국의 경제적 포지션을 고민하는 분

1. 트럼프는 왜 ‘상호관세’를 꺼내들었을까?


2025년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Mutual Tariff)’ 정책을 전격 발표했습니다.

© The Washington Post via Getty Images
© The Washington Post via Getty Images

핵심단순해요.

모든 국가에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미국에 무역적자를 안기는 국가들에는 그에 상응하는 수준의
맞대응 관세를 적용하겠다는 겁니다.

© AFP/VNA
© AFP/VNA

상호관세는 최대 49%까지 부과하며, 한국에는 25%가 책정됐습니다.

이 조치는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까지 예외 없이 포함되면서, 국제 통상 질서에 직접적인 충격을 안겼습니다.

트럼프는 이를 통해 “미국은 더 이상 손해 보지 않겠다”고 선언했지만, 시장과 전문가들은 이 관세 정책을 단순한 무역 대응이 아니라 ‘정치적 압박 카드’이자 ‘질서 재편의 선언’으로 보고 있습니다.


2.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한국에 끼치는 영향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통상자원부

수출 구조 전반이 흔들린다

철강(4.6조), 알루미늄(1조), 자동차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산업들이 직격탄을 맞았고, 반도체한국의 대미 수출 2위 품목입니다. 게다가 멕시코, 베트남 등 한국 기업이 생산기지를 두고 있는 국가들까지 고율 관세 대상에 포함되면서, ‘직접 수출’과 ‘우회 수출’ 모두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관세는 단순히 가격 경쟁력 하락이 아니라, 공급망 자체를 재설계해야 하는 구조적 충격입니다.

정부의 대응은?

정인교 산자부 통상교섭본부장 © 헤럴드경제
정인교 산자부 통상교섭본부장 © 헤럴드경제

정부는 통상교섭본부장을 미국에 급파하고 외교라인을 가동했지만, 다음과 같은 제약 요인이 작동하고 있습니다:

  • 정치 리더십 공백 (탄핵 정국)
  • 대미 영향력 약화
  • 기술·안보 이슈에서의 외교 레버리지 부족

이 때문에 정부의 대응은 방어적 수준에 머물고 있고, 한국 기업들은 보다 선제적이고 자율적인 구조 조정이 불가피해졌습니다.


3. 관세 정책으로 요동치는 세계 시장


트럼프의 발표 이후 글로벌 시장은 즉각 반응했습니다.

© Financial Times
© Financial Times
  • S&P500: 이틀 만에 10% 하락 (코로나 이후 최대 낙폭)
  • 코스피: 3% 하락, 2480선 붕괴
  • 원/달러 환율: 1470원 돌파, 1500원 우려
  • 글로벌 투자은행들: 미국 경기침체 확률 45%로 상향 조정

시장 반응의 핵심은 "불확실성"입니다.

관세 그 자체보다, 세계가 예측 가능성을 잃었다는 점이

더 큰 공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비판은 정치권과 월가 모두에서 나왔습니다.

래리 서머스 전 美재무장관  © Fortune
래리 서머스 전 美재무장관  © Fortune
  • 서머스 전 美 재무장관: "역사상 가장 큰 경제적 자해"
  • 일론 머스크: "설계자 피터 나바로는 쓸모없는 인간"
  • 빌 애크먼: "경제적 핵겨울... 즉시 90일 휴지기 선언하라"
  • JP모건 CEO: "관세는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를 동시에 유발할 것"

이처럼 트럼프의 관세정책은 정치적 지형경제 시스템 모두를 흔드는 도화선이 되고 있습니다.


4. 세계 각국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 Mehr News
© Mehr News
  • 중국: 34% 보복관세 발표, 추가로 50% 예고. "끝까지 싸운다"
  • EU: "불법적이고 불균형적"이라며 보복관세 예고, 협상 가능성은 열어둠
  • 일본: 보복보다는 협상 기조, 기업들은 위기 대응 체제 돌입
  • 멕시코: 공식 입장 유보, 경제적 실익 중심의 신중 대응

각국의 전략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이번 관세를 단순한 통상 이슈가 아닌 ‘전략적 질서 개편의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5. 트럼프의 관세 정책의 진짜 목적은 뭘까?


© Bloomberg via Getty Images
© Bloomberg via Getty Images

겉으로 내세운 명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 무역적자 해소
  • 제조업 유턴 유도
  • 국가 안보 기반 산업 보호

하지만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전략적 의도가 숨어 있습니다:

  • 관세를 협상 카드로 활용
  • 핵심 유권층(러스트 벨트) 결집
  • 글로벌 공급망을 미국 중심으로 재편

결국 다시 말해 이 정책은 경제 정책이 아니라, 질서를 다시 쓰려는 시도입니다.


첨부 이미지

 ‘관세’는 수단일 뿐, 트럼프가 흔들려는 건 '질서'다.


트럼프의 관세정책은 세율 조정이나 무역 적자 해소를 위한

단순한 정책이 아닙니다.

그가 겨냥하는 건 세계 무역의 ‘룰’입니다.

예측 가능성, 상호 신뢰, 자유무역이라는 기존 질서를 무력화하고

‘힘’과 ‘손익 계산’이 지배하는 새 질서를 만들겠다는 선언이죠.

한국은 이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구조 자체가 이렇게 짜여 있기 때문이에요:

  • 수출 중심의 경제
  • 미국에 집중된 무역 구조
  • 복잡하고 일극적인 글로벌 공급망
  • 정치적 불안정과 외교적 레버리지 부족

지금 필요한 건 단순 방어가 아닙니다.

우선순위를 재설정하고, 구조를 바꾸는 전략적 전환입니다.


지금 한국이 취해야 할 3가지 변화

© Asia Fund Managers
© Asia Fund Managers
  1. 수출시장 다변화 대미 의존도가 높은 핵심 산업(자동차, 반도체, 철강)은 신흥 시장과 EU, 중동, 동남아 등으로 수출 다각화를 서둘러야 합니다.
  2. 공급망 분산과 재설계 미국 외 생산 거점 확보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단순한 공장 이전이 아니라, 세율, 물류, 정치 리스크까지 고려한 종합 설계가 필요합니다.
  3. 정부 차원의 전략적 외교 강화 기업보다 먼저 움직여야 하는 건 정부입니다. 관세 예외 품목 확보, 산업별 맞춤 협상, 기업 지원 패키지를 체계화해야 합니다.

이번 트럼프 '관세 정책' 이슈는 단순한 한 번의 위기가 아닙니다.

앞으로도 반복될 수 있는 글로벌 질서 충돌의 서막입니다.

우리가 이번 이슈를 통해 마주한 질문은 명확합니다:

이 위기를 임시방편으로 넘길 것인가,
아니면 구조를 바꿀 기회로 삼을 것인가.

빠른 대응도 중요하지만,

지속 가능한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건 구조의 전환입니다.

이번 이슈를 계기로 특정 국가와 산업에 지나치게 집중된 수출 구조를

재편하려는 실질적인 노력이 시작돼야 합니다.  

그것만이 이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유일한 길입니다.


📢 이번 레터가 유익하셨다면, 주변에도 나누어 주세요.  
작은 공유가 The Sync에게는 큰 힘이 됩니다🫶

공유하기

✉️ e-mail: contact@thesync.kr


첨부 이미지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더씽크 The Sync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5 더씽크 The Sync

매주 놓치면 손해인 트렌드와 인사이트

뉴스레터 문의contact@thesync.kr

메일리 로고

도움말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뉴스레터 광고 문의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사업자 정보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 | 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