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션한사발

노션에 대해 알아보는 QnA 시간

그래서 노션이 뭔데? 어떻게 쓰는거야?

2024.06.04 | 조회 379 |
0
|

노션인사이드

시간을 내 편으로 만들기 위한 상황별 노션 활용법

  • 그래서 "노션"이 뭐에요?
  • 노션 쓰고 있는데 이거 모르겠어요. QnA 시간
    • 기초) 블록이 뭐에요?
    • 초보) 칸반 보드는 어떻게 볼 수 있어요?
    • 중수) 지출 내역을 월별로 나눠서 합계를 보고 싶어요.
    • 고수) 엑셀의 Workday 함수처럼 날짜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근무일수만 도출할 수 있을까요?

 


노킹이와 구독이의 얼굴이 생겼어요!! 앞으로 둘의 활약 기대해주세요:)
노킹이와 구독이의 얼굴이 생겼어요!! 앞으로 둘의 활약 기대해주세요:)

 노션을 찾으면 ‘올인원 워크스페이스’ 혹은 ‘위키, 문서, 프로젝트를 모두 한 곳에서 만나는 커넥티드 워크스페이스’라는 설명을 많이 보게 됩니다. 노션을 만든 노션랩에서 정의한 말이니 정확한 정답이긴 해요. 하지만 체험하지 않고 저 말만 들으면 무슨 말인가 싶은 분들도 많을 거라고 생각해요. 저도 처음엔 잘 안 와닿았거든요.

 계속 노션 좋다고 써보라고 말씀드리지만, 노션이 무엇인지, 어떤 툴이고, 어떻게 써야 하고, 뭘 위해서 써야하는지 얘기한 적은 없어서 앞으로 한 번씩 이렇게 노션에 대한 QnA 시간을 가져가볼까 합니다.

 가장 기초적인 질문인 '노션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얘기하고, 실제로 노션을 사용하시는 분들께서 오픈카톡과 문의를 통해 주신 질문에 대한 답을 함께 정리해볼게요.

 


 노션을 한 문장으로 설명하자면 ‘정보를 관리하기 좋은 생산성 소프트웨어’에요. 메모 작성, 프로젝트 관리,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결합해서 문서를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에요. 덕분에 개인이나 팀이 텍스트, 이미지, 표, 파일 등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만들거나 활용하여 협업할 수 있는 디지털 작업 공간 역할에 최적화 되어 있어요.

 

1. 뛰어난 유연성

출처: 노션 홈페이지
출처: 노션 홈페이지

 노션을 처음 틀면 제공되는 기본 템플릿이 보입니다. 그리고 페이지를 만들면 템플릿과 다르게 빈 페이지가 보이죠. 유연성이 뛰어나 허들이 높아지기는 했으나, 이동과 정렬을 통해 레이아웃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고, 동적 및 대화형 페이지를 만드는 등 레이아웃의 자율성이 높아요. 거기다 필요하다면 하위 페이지나 상위 페이지를 만들어 분리하여 관리할 수도 있습니다.

 

2. 칸반, 캘린더 등 다양한 보기를 활용한 프로젝트와 데이터 관리

출처: 노션 홈페이지
출처: 노션 홈페이지

 노션에서는 텍스트, 이미지, 표, 파일 뿐 아니라 데이터베이스도 삽입할 수 있어 프로젝트와 데이터 관리에 큰 도움이 됩니다. 구조화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목록, 테이블 또는 칸반 보드 형태로 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고, 캘린더 형태로 보면서 일정을 관리할 수도 있습니다. 거기에 엑셀처럼 정렬과 필터 기능이 포함되어 효율적으로 데이터 관리나 검색이 가능해요.

 

3. 여러 생산성 툴과의 연동

출처: 노션 홈페이지
출처: 노션 홈페이지

 요즘 워낙 다양한 생산성 툴을 사용하는만큼 이를 연동해서 관리하는 부분도 꽤 중요한 요소인데요, Google Drive, Dropbox, Trello와 같은 인기 있는 도구와 연결시켜 외부 콘텐츠를 페이지 내에 쉽게 가져오고 포함할 수 있습니다.

 

4. 원활한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출처: 노션 홈페이지
출처: 노션 홈페이지

 통합 유연성 덕분에 노션은 업무 관련 정보를 통합하고 액세스하기 위한 중앙 허브로 활용하기 좋아요. DB, 텍스트, 이미지, 파일, 연동 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를 활용하여 하나의 문서로 만든 뒤, 공유나 초대 기능을 통해 실시간 수정 확인과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합니다. 초대된 팀원에게 작업을 할당하고, 댓글을 남기고, 팀원을 태그하면서 원활한 협업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거죠.

 

출처: 노션 홈페이지
출처: 노션 홈페이지

 요약하면 노션은 다양한 개인 및 직업 환경에서 생산성과 조직을 향상시키는 데 유용한 툴입니다. 획일화되기 보다는 다양한 상황별 노션 템플릿이 만들어지는 이유기도 하고, 제가 여러 환경에 맞춰 템플릿을 소개드리는 이유기도 해요😊

 

 

 

 노션은 유연성이 뛰어나다고 말씀드렸죠? 텍스트, 이미지, 파일, 표, DB 등 다양한 형태를 문서에 삽입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모든 콘텐츠들이 각각 하나의 블록이 됩니다. 즉, 페이지를 만들어서 텍스트를 입력했다면 ‘텍스트 블록’이 추가된 거죠.

여러 유형의 블록으로 구성된 예시 페이지 (출처: 노션 홈페이지)
여러 유형의 블록으로 구성된 예시 페이지 (출처: 노션 홈페이지)

 

 블록은 드래그를 통해 쉽게 이동이나 크기 조정이 가능하고, 서로의 위치를 바꿀 수도 있어요. 문구나 이미지의 위치를 바꾸고 싶으면 블록을 드래그해서 옮기면 끝이에요.

블록을 드래그로 이동시키기 (출처: 노션 홈페이지)
블록을 드래그로 이동시키기 (출처: 노션 홈페이지)

노션 답변 보러 가기

 

 

 칸반 보드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서 만들 수 있습니다. 우선 DB를 만들어 원하는 데이터를 넣어주세요. 예를 들면 할 일, 담당자, 진행일자, 상태 같은 것들이 있겠죠.

 넣어야 할 요소를 다 넣은 후, DB의 ••• 버튼을 눌러 ‘레이아웃 → 보드’를 선택하면 칸반 보드 형태로 바뀝니다.

 기본적으로 ‘상태’ 속성이 있으면 거기에 맞춰 그룹화가 진행되지만, 원한다면 담당자, 진행일자 등 그룹화를 묶는 기준을 바꿀 수도 있어요.

 또한 제목 뿐 아니라 속성 중 원하는 것만 골라서 가시적으로 바로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어요.

노션 답변+예시 보러 가기

 

 

 매 지출마다, 혹은 하루 단위로 지출 내역을 작성하고, 이걸 월별 합계나 카테고리별 합계를 보기 위해서는 각각의 DB가 따로 필요해요. 즉, 지출 내역 DB, 월별 DB, 카테고리별 DB 이런식으로 나눠서 만들어야 하죠.

 데이터 분류, 즉 속성 중 ‘관계형’은 다른 DB와의 연결점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DB를 각각 만들었으면 ‘관계형’ 속성을 추가해줍니다. 한 쪽에서 값을 바꾸면 반대쪽에도 자동으로 반영이 되는 거죠. 어느쪽이든 만든 후에 ‘~DB에 표시’ 부분을 체크해주세요. 그래야 양쪽 DB 전부 수정이 가능해집니다.

 연결이 됐다면 이번에는 합계를 보고 싶은 DB에 ‘롤업’ 속성을 추가해줍니다. ‘롤업’은 관계형으로 이어진 다른 DB의 데이터를 가져와 가공할 수 있도록 해줘요. 그래서 롤업을 만든 후, ‘비용’을 가져오도록 하고, ‘원본’이 아닌 ‘합계’를 보도록 만들면 원하는대로 분류된 합계를 볼 수 있습니다.

노션 답변+예시 보러 가기

 

 

 노션에는 정확히 Workday 기능을 하는 함수는 없지만, 다른 함수를 이용해서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함수는 기본적으로 DB의 ‘수식’ 속성 안에서 구현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번 건 속성별 내용과 수식만으로 넣을게요.

사용되는 속성 종류는 이렇습니다.

  • Start: 시작일. 날짜 속성. 주말을 선택하면 안 됩니다.
  • days: 근무 일수. 숫자 속성
  • End Date: 근무 일수를 계산한 마지막 근무일자. 수식 속성을 만들어 아래의 함수를 복사/붙여넣기 하세요.
ifs( (toNumber(prop("Start").formatDate("d")) == 0 || toNumber(prop("Start").formatDate("d")) == 6), "시작일이 주말입니다.", not empty(prop("days")), lets( start, prop("Start"), start_day, start.formatDate("d"), days, prop("days")-1, weekend_days, if(days'=5, floor(days/5)*2, 0), check_date, start.dateAdd(days + weekend_days, "days"), check_day, toNumber(check_date.formatDate("d")), if(check_day == 6 || check_day == 0, check_date.dateAdd(2,"days"), check_date ) ), "" )

노션 답변+예시 보러 가기

 

 


  • 노션은 정보를 관리하기에 효과적이면서 다양한 개인 및 직업 환경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용한 툴입니다.
  • 기초) 노션에 작성되는 모든 유형의 콘텐츠가 각각 하나의 블록입니다.
  • 초보) 칸반 보드는 DB를 만든 후, 레이아웃을 ‘보드뷰’로 변경해주세요.
  • 중수) 지출 내역을 월별로 나눠서 합계를 내고 싶을 때는 DB를 2개 이상 만든 후, 관계형과 롤업을 활용하면 됩니다.
  • 고수) DB의 수식을 통해 lets, if 등의 함수를 활용하면 근무일수를 자동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 Event 🎉 이번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노션인사이드를 통해 어떤 정보를 전달드리면 좋을지, 또 노션과 관련하여 무엇을 더 제공해드릴 수 있을지 항상 고민하고 있어요. 그래서 구독자님의 생각이 궁금해요! 노션인사이드의 좋았던 점/개선할 점, 노션에 대해 알고 싶은 점을 간단하게라도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할 것 같아요. 좀 더 나아질 수 있도록 의견을 주신 모든 분들에게 스타벅스 아메리카노를 드리고, 정성어린 답변은 추첨을 통해 네이버페이 1만원권을 드립니다:)

🥤 커피+상품권받으러 가기💵

 


이번 QnA에 궁금한 점이 있거나, 노션이 어려우신가요?

노션을 쓰다 보면 헷갈리는 것도 많고, 더 나아가면 나에게 좀 더 맞춰서 써보고 싶다는 욕심이 드는 순간이 생겨요. 그럴 때면 언제든 오픈카톡방에 질문을 남겨주세요. 성심성의껏 답변드릴게요:) p.s) 사소한 질문일까 걱정은 마세요. 사소한 질문이란 건 없으니까요!😍

오픈카톡방에서 질문하기🤔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노션인사이드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4 노션인사이드

시간을 내 편으로 만들기 위한 상황별 노션 활용법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