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Replit 창업자 암자드 마사드가 말하는 AI 시대의 소프트웨어 개발

AI가 생성해준 코드를 보고 디버깅하는 능력이 앞으로 중요해집니다.

2025.02.17 | 조회 270 |
0
|
주간 Tech Review의 프로필 이미지

주간 Tech Review

IT 업계의 정보와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Replit Founder 암자드 마사드가 유튜브 채널 Lenny's Podcast에서 진행하여 2024년 11월 21일 공개된 인터뷰 내용을 리뷰해봤습니다.

암자드 마사드 (Amjad Masad)

암자드 마사드는 Replit의 공동창업자이자 CEO로, Facebook에서 JavaScript 인프라 팀을 이끈 경험을 가진 기술 전문가입니다. 현재 Replit은 전 세계 3,400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한 AI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및 배포 플랫폼으로 성장했습니다.

"Replit은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난이도를 낮추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졌습니다."

Replit 창업자 암자드 마사드

Replit: 소프트웨어 개발의 민주화

Replit은 전통적인 개발 환경의 복잡성을 해결하고자 합니다. IDE(통합개발환경), 런타임, 패키지 매니저, 배포 등 분산된 개발 프로세스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했습니다. 특히 AI를 활용해 코딩 경험이 없는 사람도 쉽게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제본스 패러독스와 소프트웨어 개발의 미래

마사드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효율성 향상이 가져올 변화를 제본스 패러독스 (Jevons Paradox)로 설명합니다. 제본스 패러독스는 기술의 효율성이 향상되면 오히려 그 자원의 전체적인 소비가 증가한다는 경제 이론입니다.

"비용이 낮아지면, 전체 사용량은 올라갑니다. 비용이 낮아지면서 사람들은 더 많은 소프트웨어를 만들어 그들의 업무를 개선하고, 더 많은 스타트업을 만들지요."

Replit 창업자 암자드 마사드

MVP(Minimum Viable Product)에서 AI 주도 개발로

Replit의 AI 에이전트는 MVP 개발을 획기적으로 단순화했습니다. 전통적으로 며칠에서 몇 주가 걸리던 MVP 개발이 이제는 몇 분 만에 가능해졌습니다. 이는 제품 관리자, 디자이너, 창업자들이 아이디어를 빠르게 검증하고 반복할 수 있게 합니다.

새로운 직무 역량의 부상

AI 시대의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중요해질 역량:

  1. 아이디어 생성 능력
  2. AI 네이티브 코딩 스킬
  3. 디버깅과 문제해결 능력

"이제 여러분을 제약하는 것은 코드 작성 능력이 아니라 얼마나 빠르게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느냐일 것입니다. AI 네이티브 코딩은 기존의 코딩과는 확연히 다를 것입니다. 디버깅을 잘하면 정말 큰 도움이 될 거예요."

Replit 창업자 암자드 마사드

미래 전망

마사드는 5년 내에 AI가 지원과 개발을 전담하는 10억 달러 규모의 1인 기업이 등장할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이는 소프트웨어 산업의 구조적 변화를 암시합니다.

"앞으로 5년 내로 혼자서 10억달러 규모의 회사를 운영하는 개인이 등장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회사는 단 한명의 직원도 없이 고객대응도 AI가 하고 제품개발도 AI가 하는 회사일 것입니다."

Replit 창업자 암자드 마사드

리뷰

최근 AI 개발자 도구를 많이 사용해보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Cursor를 메인 IDE로 사용하고 있고요, Replit도 경험 삼아 한번 사용해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는 Replit의 결과물에 대해서는 조금 실망한 편이긴 한데, 전혀 코드를 작성해보지 않은 사람의 입장에서는 확실히 코드 작성 난이도가 획기적으로 낮아지는 경험을 갖는 듯 합니다.

게다가 데이터베이스와 배포는 사실 각각이 전문분야일 정도로 진입 장벽이 있는 분야인데, 앱 개발 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배포까지 손쉽게 해준다는 점은 확실히 소프트웨어 작성의 난이도를 극적으로 낮춰주는 효과를 가져오는 듯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여전히 Cursor + Claude Sonnet 3.5 조합이 현재까지는 가장 괜찮게 느껴지고요, 이밖에 Figma 템플릿을 그대로 React, Tailwind 코드로 바꿔주는 Lovable 프로젝트가 생산성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물론 100% 완벽하게 바꿔주지는 않지만 프로젝트 기본 셋업을 마쳐주기 때문에 작업 시간을 1/3 정도로 단축시켜주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Figma에서 무료템플릿 골라서 이것저것 수정한 뒤에 Lovable로 옮기고, Lovable에서 곧바로 Github에 코드를 체크인 한 다음에 로컬로 Pull 받아서 Cursor로 수정하고 AWS에 배포하는 흐름으로 작업을 하게 되네요.

AI로 인한 생산성 향상은 확실한 실체로 다가오는 중입니다. 마사드의 이야기처럼 AI가 생성해준 코드를 보고 디버깅하는 능력이 중요해지겠네요.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주간 Tech Review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다른 뉴스레터

© 2025 주간 Tech Review

IT 업계의 정보와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메일리 로고

도움말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사업자 정보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 | 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