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지널

[분석] 흥미롭게 보고 있는 버튜버 굿즈 2가지, 보이스와 디지털 피규어 박스

버튜버 굿즈 시장에서 목소리를 활용한 '보이스'와 홀로그램 형태의 '디지털 피규어 박스'는 높은 수익성과 팬 충성도를 바탕으로 일본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세돌과 스텔라이브의 성공에 힘입어 국내에서도 관련 전문 플랫폼의 등장이 예상된다.

2024.10.24 | 조회 144 |
0
|
0xPlayer의 프로필 이미지

0xPlayer

버튜버, 라이브 스트리밍, e스포츠, 블록체인 게임, AI 아티스트, K-Pop, 팬덤, 애니메이션 등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비즈니스에 관한 심층 분석과 최신 트렌드를 다루는 아티클, 논문, 리포트, 인터뷰를 번역하고 리서치합니다 🦫

1. 들어가며

오늘은 제가 흥미롭게 보고 있는 버츄얼 유튜버(이하 버튜버)의 굿즈 2가지, 보이스와 디지털 피규어 박스에 대해 간단히 분석하여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현재 일본 버튜버 회사의 수익 구조를 보면 커머스(굿즈)가 40-5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스트리밍 수익(후원) 20%, 페스티벌류 이벤트가 15-20%, B2B 15%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과거에는 유튜브 슈퍼챗 등 후원 수익이 상당히 컸었는데, 기업세가 성장한 이후 굿즈 수익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그림 1. AGF2023에서 판매된 스텔라이브의 굿즈 <출처: AGF 2023>
그림 1. AGF2023에서 판매된 스텔라이브의 굿즈 <출처: AGF 2023>

버튜버 굿즈는 기본적으로 아이돌과 캐릭터 IP의 속성을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대부분 봉제인형이나 키링, 아크릴 스탠드 같은 제품들로 구성되어 있죠. 실제로 일본 Z세대가 가장 많이 구매하는 버튜버 굿즈를 살펴보면, 1위는 아크릴 스탠드, 2위는 봉제 인형, 3위는 키홀더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국내 버튜버 시장은 아직 라이브 스트리밍의 후원 기반 수익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이세돌과 스텔라이브가 팝업스토어와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보여준 성과를 고려하면 곧 굿즈 시장의 급격한 성장이 예상됩니다.

그림 2. 텀블벅에서 펀딩이 완료된 <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 단행본&굿즈 <출처: 텀블벅>
그림 2. 텀블벅에서 펀딩이 완료된 <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 단행본&굿즈 <출처: 텀블벅>

 

10월 23일 시작된 이세돌 IP <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은 하루만에 65억 원을 모으며, 단 23분 만에 텀블벅 역사상 최고 펀딩액을 기록했습니다.

두 그룹 이외에도 현재 활동 중인 국내 버튜버들은 다양한 경로로 굿즈를 선보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두나무와 하이브의 합작사인 레벨스가 버튜버 굿즈 전문 플랫폼 '버디(Vuddy)'를 론칭하며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습니다.

구독자만 읽을 수 있어요

이 콘텐츠를 읽으려면 로그인 후 구독이 필요해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5 0xPlayer

버튜버, 라이브 스트리밍, e스포츠, 블록체인 게임, AI 아티스트, K-Pop, 팬덤, 애니메이션 등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비즈니스에 관한 심층 분석과 최신 트렌드를 다루는 아티클, 논문, 리포트, 인터뷰를 번역하고 리서치합니다 🦫

뉴스레터 문의lowell9195@gmail.com

메일리 로고

도움말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뉴스레터 광고 문의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사업자 정보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 | 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