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노트

추천 도서 - 익숙한 것과의 결별(욕망이 흐르게 하라)

마음을 열고 욕망이 흐르게 하라

2024.01.08 | 조회 616 |
0
|

분석맨의 두 번째 뇌

분석맨의 '두 번째 뇌' 만들기

아무래도 새해다 보니 마음을 다잡기 위해 책을 찾게 됩니다. 읽고 싶은 책 리스트는 쌓여 있지만 가끔 방황할 때면 다시 읽곤 하는 책이 있습니다. 이 책 <익숙한 것과의 결별>은 제가 가진 자기 계발서 중에서 아끼는 책 중의 하나입니다.

구본형 씨는 요즘 비교적 젊은 나이로 생각하는 59세에 생을 마감한 안타까운 작가입니다. 그는 지금 없지만, 그의 작품은 아직도 많은 사람을 변화시키고 있고, 그가 운영했던 '구본형 변화경영 연구소'의 제자들도 활발하게 저술 활동을 하는 듯합니다. 제가 그의 작품을 좋아하는 이유는 책 속에 그 자신의 경험과 사유가 녹아있기 때문입니다.    

그는 평범한 직장인에서 자신의 욕망을 따라 자기를 찾아 혁명가가 되었죠. 익숙한 것 속에서 자신을 찾아 떠나는 모험을 하고 불꽃같이 살다 간 그를 존경합니다.  

 

저자 자신이 책에서 얘기합니다.    

이 책은 나를 위해 쓴 첫 번째 책이고, 내가 최초의 독자였다. 나는 이 책으로 살고 싶은 인생을 찾았다. 이 책의 최초의 수혜자가 나라는 사실이 내가 이 책을 좋아하는 이유다. 이 책으로 인해 나처럼, 축복처럼, 자기를 다시 살 수 있는 사람이 있기를 바란다. '나는 나를 혁명할 수 있다.' 나는 이 말이 너무 좋다.


그는 20년 직장 생활을 했습니다. 이후, 마흔셋에 절박한 질문을 하죠. 마흔을 완숙한 시점으로 생각했던 그는 마흔셋이 됐는데, 원하는 곳에 있지도 않고, 원하는 일을 하고 있지도 않았습니다. 이 질문 때문에 한 달 휴가를 냈고, 단식했죠. 일주일 후쯤 새벽 네 시에 배가 고파 잠이 깼는데, 책을 한 권 쓰자, 이렇게 결심했죠. 6개월 후 책이 나왔죠. 그 책이 바로 이 '익숙한 것과의 결별'입니다.  

그는 말합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좋은 습관을 만드는 것이다. 세월이 지난다고 해서 뭐가 되는 게 아니다. 매일 뭔가를 정해서 해야 한다. 나를 가장 안정적으로 만들어준 것은 새벽에 매일 2~3시간 글 쓰는 것이었다. 그 결과, 매년 책이 나왔다.

 

 

욕망이 바로 나

나는 욕망을 사랑한다. 욕망만큼 강력한 모티베이션은 없다.일상의 삶은 그것으로부터 힘을 얻는다. 삶이 어려운 것은 가난하기 때문이 아니다. 욕망이 죽어가기 때문이다.

개혁은 변화에 대응하는 적극적 방법이다. 그것은 변화를 창조함으로써 가장 강력하게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다. 가장 확실하게 미래를 준비하는 법은 바로 미래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창조의 힘은 욕망에서 나온다. 그러므로 욕망은 관리되어서는 안 된다. 관리된 욕망은 이미 욕망이 아니기 때문이다.

절실한 욕망은 그러므로 흐르는 대로 놓아두어야 한다. 깊은 내부로부터 흘러나와 감동으로 휘몰아치는 욕망을 받아들임으로써 자랑스러운 자아를 발견하게 된다.

– P.10~13

 

• 분석맨 단상

이 책을 통해 '욕망'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됐습니다. 욕망이 바로 나라는 사실을 자각하게 된 것이죠. 나는 나 자신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변화한다는 것 또한 자신을 찾아가는 것이죠. 오리 무리 속에 있던 백조가 자신이 누구인지 찾아가듯 나 자신을 발견해 가는 것, 그것이 바로 욕망을 따라 흘러가는 것입니다.  

철학자 들뢰즈와 가타리에게 있어 욕망이란 끝없이 분출하는 ‘생명력’이었습니다. 욕망은 무의식적 에너지의 능동적 흐름이며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무언가를 생산하는 긍정적인 힘이라 생각했습니다. 욕망은 욕망은 결핍이 아닌 무의식적 에너지의 능동적 흐름이고, 항상 무언가를 생산하기 때문에 생산은 항상 ‘욕망하는 생산’이라는 말을 만들었죠.

 

 

점진주의는 개혁과 혁명의 적이다

새집을 지어야 할 때 우리는 그 안에 그대로 머문 상태에서 벽을 허물 수는 없다. 만일 당신이 개혁을 부르짖으면서도 현실이라는 이름으로 과거의 관행과 원칙의 사슬을 끊지 못한다면, 당신은 벽도 허물지 않고 새로운 집을 지으려는 사람과 같다.

– P.88

 

• 분석맨 단상

구본형 작가는 자기로써의 개혁과 혁명을 강조했습니다. 들뢰즈는 강도(세기)가 어떤 존재가 현실화되는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했습니다. 물리학에서 이 강도는 높이의 차이가 크면 클수록 위치 에너지가 커집니다. 이렇게 새로운 나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큰 사건이 도움이 되지만 이런 일은 좀체 일어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계속 떨어지는 빗물은 바위를 뚫습니다. 결국은 자기 혁명도 매일의 반복으로 이루어집니다. 반복은 차이로 나아가는 과정입니다. 반복은 힘이 있습니다. 

 

 

나를 찾는 것

내가 알아야 할 것은 ‘나’라는 것을 알았지요. 내 속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 내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알아내는 것 말이에요. 내가 해야 할 일은 바로 내 속에서 내면의 빛과 힘을 찾아내는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죠.

 

<미치지 못해 미칠 것 같은 젊음>에서는 이렇게 말했죠.  

남들과 다르게 된다는 것은 자신을 찾아가는 것이죠. 그러니까 가장 자기 다운 사람으로 산다는 것을 말하는 거죠.

– P.196    

 

그는 '나를 찾는 것'에 대해 자주 강조했습니다.  

각자가 각자다운 것을 찾는 걸 포기하지 마라. 몇 살이고, 무엇을 하든 상관없다. 나를 찾는 것을 포기하지 마라. 이걸 포기하면 내 존재를 채울 수가 없다. 나를 채우지 못하면 죽어서도 눈을 감지 못한다. 나답게 사는 것이 무엇인지 찾아라. 찾아서 그 길을 가는 사람이라면 10년 정도의 땀이 필요할 것이다.

 

 

변신이 아닌 발견

 

발견

보잘것없던 사람들이 어느 날 아름다운 모습으로 바뀌는 것은 자신이 그동안 오리가 되고 싶은 한 마리의 백조였음을 발견할 때부터이다. 다른 사람과 자신의 다른 점을 알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바꾼다는 것은 발견이다. 다른다는 것을 인식하고 발아 들이는 것이다. 자신을 사랑하고 잘 대해주면 느끼게 된다. 느끼면 알게 되고, 그때 세상은 다른 것으로 다가와 있다.

언젠가 내가 아닌 다른 무엇이 되고 싶었던 것 같다. 하지만 나는 이제 내가 되고 싶다. 일상을 살아가면서 늘 더 좋은 존재가 될 수 있으며, 늘 더 좋은 방법이 있다고 믿는 것이다. 그리고 항상 지금의 자기 자신보다 나아지려고 애쓰다 보면, 나는 언젠가 나를 아주 좋아하게 될 것이다.

– P.248~249

 

 분석맨 단상

백조가 백조가 된 것은 오리에서 백조로의 변신이 아니라 자기 발견이었습니다. 다른 사람을 이해하기는 쉽지 않지만 자신을 이해하는 것도 결코 쉽지 않습니다. 부모나 다른 사람이 바라는 기대나 자신이 속한 사회, 문화적인 환경 속에 매몰되어 있다 보면 진정한 나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이 바라는 내가 되어 있는 경우를 발견할 때가 있습니다.

 

생각하는 사람(The Thinker)
생각하는 사람(The Thinker)

 

조각가 오귀스트 로댕(Auguste Rodin)은 말했습니다.

나는 아무것도 발명하지 않습니다. 나는 파낸답니다.

 

진흙 속에 숨겨진 보석을 발견하려면 진흙을 파내고 걷어 내야 합니다. 무엇을 더할 것이 아니라 걷어 내야 합니다. 하지만 수많은 것들을 무시하는 게 쉽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반대로 욕망을 바라봐야 합니다. 새해에는 모두가 자신의 욕망을 바라보며 익숙한 나와 결별을 선언하고 새로운 나를 만났으면 좋겠습니다.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분석맨의 두 번째 뇌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4 분석맨의 두 번째 뇌

분석맨의 '두 번째 뇌' 만들기

자주 묻는 질문 서비스 소개서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사업자 정보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