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사나 조사위 등이 해체된 다음에 관련 기록의 관리와 활용에 대한 문제는 매우 해묵은 이슈입니다. 최근에는 5.18위원회의 기록과 관련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관련 기사를 꼼꼼하게 읽어볼 필요가 있습니다.
"미해결 과제 많은데"… 5·18 진상조사 자료 이관 요청에 정부 '묵묵부답' (한국일보 ’24.10.16.)
이는 5·18진상규명법에 담긴 '독소조항'이 원인이다. 5·18진상규명법 57조는 "정부는 정부와 군이 보유한 5·18민주화운동 기록물을 공개해야 하며, 관련 정부기관이 이관을 요청하고 국회가 동의할 경우 이를 관련 정부기관에 이관해 전문적 연구와 조사에 협조하도록 조치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부의 수반인 대통령이 직접 국회에 진조위 조사 자료 이관을 요청하지 않을 경우 자료를 넘기는 것 자체가 불가능해졌다. 앞서 진조위는 해산 전 정부에 5·18 관련 자료 이관을 요청했고, 지난 4월쯤 국무총리실 재가까지 받았지만, 대통령실에서 뚜렷한 이유도 없이 이를 승인치 않았고, 결국 6월 진조위는 해산됐다.
지난주, 몇 개의 좋은 전시에 대한 보도가 있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의 오아시스(OASIS) 사업 20주년 기념 전시 ‘'웹트로 : 디지털 기억'’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의 전시가 눈에 띠고, ‘무선통신, 일상을 만들다’(G밸리산업박물관), 멀지만 광주광역시에서 진행되는 전시(해남 옥매광산 강제동원 관련 전시)도 있습니다.
지식정보 담은 '타임캡슐'…도서관이 인터넷 자료 모으는 이유는(연합뉴스 ’24.10.14.)
국내 첫 흑백TV부터 카폰·삐삐까지…무선통신 발전사 한눈에(연합뉴스 ’24.10.14.)
해남 옥매광산 '강제동원 역사' 아카이브전…배 침몰 118명 숨져(뉴스1 ’24.10.15.)
김민기 '공장의 불빛' 등 민주 역사, 남영동 대공분실서 만난다(연합뉴스 ’24.10.20.)
익산시에서 조성한 시민역사기록관에 대한 소식도 있습니다.
'주민이 직접 기록한 역사' 익산시, 시민역사기록관 조성(연합뉴스 ’24.10.16.)
☞ "日강점기 건물의 화려한 부활"...익산 기록관 '변신 스토리' 화제(파이낸셜뉴스 ’24.10.16.)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소장품 관리에 대한 유익한 보도를 냈습니다. 그런데 같은 날 저녁 수장고에서 물이 새고 실제 유물이 손상되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다루기' 등 영상 32종 공개(뉴시스 ’24.10.16.)
[단독] 43만 유물 잠든 수장고에 '물 뚝뚝'…국립중앙박물관 대처마저 '허술'(JTBC ’24.10.16.)
지난 16일 보궐선거가 있었습니다. 정치권에서는 부산 금정구와 전남 영광군 그리고 서울교육감이 주요 관심사였는데, 저는 인천 강화군도 관심이 갔습니다. 한 후보가 ‘역사‧문화의 도시 강화’라는 공약을 내세웠고, 그 내용에 “강화아카이브 구축 지원”이 들어있었기 때문입니다. 예상대로 그 후보가 당선이 됐는데 아카이브 구축 지원을 공약으로 내세운 기초자치단체장이 과연 그 공약을 어떻게 실현해 가는지 아니면 공약(空約)으로 그칠지 지켜봐야겠습니다.
☞ [강화군수 보선] 박용철 후보 “강화 역사문화 랜드마크 건립”(인천일보 ’24.10.14.)
정보공개와 관련해서는 아래의 기사가 눈에 들어옵니다.
검찰, 포렌식 과정 공개… “개인정보 무차별 보관 아냐”(법조신문 ’24.10.17.)
기타 다른 기사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한옥 대가의 기록물’ 빛도 못 보고 폐교에 보관만 하는 이유(강원일보 ’24.10.15.)
"K-디지털 기록관리 체계` 세계로(디지털타임스 ’24.10.15.)
순천 송광사 기록유산 '디지털화'...아카이브 공개(BBS뉴스 ’24.10.16.)
“기록이 투쟁이다” 영화운동의 출발선에서 지금까지(참세상 ’24.10.17.)
희귀 '사람 발자국 화석' 보관 수장고 관리 허술(YTN ’24.10.20.)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