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동하는 제텔카스텐의 특징

써도 잘 모르겠는 제텔카스텐

2023.11.27 | 조회 1.44K |
2
|

시안의 생산성

생산성 관련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 현재 레벨업 준비 중입니다. 언젠가 더 고가치 정보를 제공으로 돌아오겠습니다.

그간 생산성이랑 거리가 좀 멀어보이는 것들을 영상이나 레터로 만들고 있었는데요. 제가 평소에 하던 생각들을 제텔카스텐에 적으면서 컨텐츠로 만드는 것을 연습하고 있었습니다. 제텔카스텐이 좋다고 영상 찍었으면서 정작 사용도 안 하고 효과를 체감하지 못하면 거짓말로 컨텐츠를 만들게 된 것이잖아요. 레터와 영상을 만들기 위해 노트를 쌓아가면서 "제텔카스텐은 이 부분에서 효과가 있어!" 라고 자신감있게 말씀드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제텔카스텐의 효과를 체감하기는 참 어렵습니다. 그래서 제텔카스텐을 사용하면서도 내가 맞게 하고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그래서 이번 레터에서는 작동하는 제텔카스텐의 기준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제텔카스텐에서 다뤄지는 노트는 2가지입니다. 참고 노트와 영구 노트입니다. 그래서 작동하는 제텔카스텐인지 알려면 참고 노트와 영구 노트의 효과를 먼저 파악해야 합니다. 그래서 각 노트의 효과를 제대로 이용하고 있으면 그 제텔카스텐은 작동하는 것이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서 참고 노트와 영구 보관용 노트의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 노트 - 레퍼런스를 참고할 수 있다.

 

우리는 예전에 읽었던 아이디어나 생각을 떠오를 때 그 아이디어 자체를 떠오르지 그 출처가 생각나지는 않습니다. 그 출처를 최근에 읽거나 정말 감명받았던 것이 아니라면요. 무슨 소리냐 하면, 어떤 아이디어가 생각났을때 그게 어떤 책이나 영상에서 봤었는지 까먹는단 얘기입니다. 이는 책이나 논문을 쓸 때 출처를 밝혀야 하거나 혹은 해당 생각을 다시 깊게 알고 싶을때 난감해지죠

 

하지만 참고 노트를 제대로 작성하고 이를 영구 노트랑 연결했다면 어떤 생각을 어디에서 갖고왔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출처를 밝힐 때도 도와주고 어떤 생각을 다시 자세히 알고 싶을때 뭘 참고해야 할 지 도와주죠.

영구 노트(어떤 생각)를 읽어도 그 생각이 어디서 나왔는지 언제든지 참고할 수 있죠
영구 노트(어떤 생각)를 읽어도 그 생각이 어디서 나왔는지 언제든지 참고할 수 있죠

 

참고 노트 - 외부의 지식을 내 멘탈 모델과 연결할 수 있다

 

참고 노트를 작성함으로 참고 매체에 있는 외부의 지식을 내 멘탈 모델과 연결한다면 참고 노트를 잘 활용하고 계신겁니다. 참고 노트와 멘탈 모델과의 연결을 학습을 용이하게 해줍니다.

 

연결의 힘을 체험해보기 위해 예를 하나 들겠습니다. 심장에서 피가 나오는 동맥은 조금 더 두껍고 탄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정맥은 더 얇은 대신 판막이 있죠. 이런 사실을 그냥 암기하려면 어려울 겁니다.

 

하지만 동맥의 경우 심장의 펌프로 피가 뿜어져 나오기에 더 높은 압력을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피가 흐름에 따라 압력이 낮아지는 정맥은 좀 더 낮은 압력을 감당하면 되지만, 반대로 낮아진 압력으로 역류를 막아야 하기에 판막이 존재하죠.

 

이는 여러분들이 갖고 있는 멘탈 모델인 "받는 힘이 세지면 재료가 더 많이 존재해서 힘을 지지해야 한다" 와 “모든 운동은 저항을 받아서 그 힘이 떨어진다” 랑 부합합니다. 이렇게 멘탈 모델과 연결되면 동맥과 정맥의 특징을 암기하기 쉬워질 겁니다.

 

책의 내용을 기존의 내 생각과 연결합니다. 학습이 더 용이해집니다.
책의 내용을 기존의 내 생각과 연결합니다. 학습이 더 용이해집니다.

 

이와 같이 참고 노트에 있는 내용을 내 기존 멘탈 모델이나 영구 노트에 연결하면 암기가 더 쉬워집니다. 위의 참고 노트의 내용은 개발자를 뽑는데 연차가 중요한게 아니라 실제로 일할 작업의 일부를 물어보는게 더 중요한 요소라는 겁니다. 이를 그냥 읽으면 나중에 생각나기 어려울 겁니다. 실제 개발자 면접을 할 때 생각이 나기나 할까요?

 

하지만 기존에 갖고 있는 영구 노트인 “좋은 테스트는 실제 상황이랑 근접한 테스트다”랑 연결되어서 쉽게 암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해당 영구 노트는 “연습은 실전처럼 하는 것이 좋다”인 제 멘탈 모델의 내용이기에 책 내용을 암기할 수 있게 되었죠.

 

영구 보관용 노트 - 생각을 이어서 할 수 있다

 

어떤 아이디어나 생각을 깊게 하려면 어딘가에 적어두는 것이 필수입니다. 안 그러면 생각이 분절됩니다. 생각이 분절되면 했던 생각을 또 하게 되거나 혹은 무슨 생각을 해야할 지 모르는 것이죠. 그렇게 되면 생각을 깊게 할 수 없고 얕은 생각만 갖게 됩니다. 이는 제텔카스텐이 아니라 세컨드 브레인의 필요성과도 일치합니다.

 

제텔카스텐은 생각의 분절 문제를 해결합니다. 작동하는 제텔카스텐은 생각을 이어서 하게 도와줍니다. 참고 노트로부터 나만의 생각을 할 수 있게 도와주고요. 또 영구 노트에서 다른 영구 노트로 생각을 뻗어나갈 수 있게 합니다. 구조 노트에서 어떤 생각을 하면 될지도 알려주고요

 

이 생각의 연결이 제텔카스텐이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 가르는 중요 요소라 생각합니다. 제텔카스텐 입문자는 하나의 노트에서 여러 노트로 얕게 뻗어나갑니다. Top-down 방식의 사고에 익숙하기 때문이죠. 반대로 제텔카스텐 숙련자는 하나의 노트가 깊게 뻗어나가는 모양을 갖게 됩니다. 그리고 길게 뻗어진 노트들이 서로 연결되죠.

 

다음은 옵시디언 그래프 뷰로 확인할 수 있는 차이입니다.

 

제 영구 보관용 노트입니다. 패턴은 보이지 않고 노트끼리 촘촘히 길게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 영구 보관용 노트입니다. 패턴은 보이지 않고 노트끼리 촘촘히 길게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어떤 패턴이 보이는 것은 이쁘긴 해도 작동하는 제텔카스텐은 아닐겁니다. 노트끼리 서로 길게 연결되면 패턴은 사라지거든요. 작동하지 않는 제텔카스텐은 이런 모습을 보입니다. 생각이 하나에서 많이 발산되고 그 생각들이 연결되지 않습니다
이런 식으로 어떤 패턴이 보이는 것은 이쁘긴 해도 작동하는 제텔카스텐은 아닐겁니다. 노트끼리 서로 길게 연결되면 패턴은 사라지거든요. 작동하지 않는 제텔카스텐은 이런 모습을 보입니다. 생각이 하나에서 많이 발산되고 그 생각들이 연결되지 않습니다

 

영구 보관용 노트 - Output을 내는데 활용할 수 있다

 

제텔카스텐이 유명해진 것도 결국 니클라스 루만의 다작이었습니다. 최종적으로 제텔카스텐은 생산에 활용해야 효과를 본다고 생각합니다. Output 내는데 활용하지 않으면 굳이 힘들여서 참고 노트랑 영구 노트를 쓰는 보람이 없죠. 어떻게 쓰든 간에 결국에 Output을 내는데 활용하시면 작동하는 제텔카스텐이지 않을까 합니다. 

 

또한, 영구 노트를 제대로 연결했다면 Output을 낼 때 연관된 생각들을 몽땅 끌어올 수 있을 겁니다. 관련된 참고 노트는 덤으로요. 이는 Output을 내는 난이도가 낮춰 줍니다. 즉, 어떤 컨텐츠를 생산할 때 난이도가 낮아진다면 역시 제텔카스텐이 작동하는 것이라 봅니다.

 

효과를 체감하기 위해선 굳이 1000개의 노트를 가질 필요는 없다

 

제텔카스텐의 효과를 체감하려면 노트의 개수가 쌓여야 하고 1000개의 노트가 쌓여야 한다는 내러티브가 있습니다. 하우 투 제텔카스텐 책에서부터 시작된 내러티브인 것 같은데요. 저는 제텔카스텐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건 노트 전체 개수보다는 노트의 밀도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하나의 주제와 생각으로 노트가 100개만 쌓여도 충분히 여러 온라인 컨텐츠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선 100개란 숫자가 중요한 게 아니라 그리 많은 노트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강조하는 겁니다) 하나의 컨텐츠는 노트 5-10개 정도는 쓸 거고요. 아무리 노트가 1000개여도 주제가 산발적이고 제대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효과를 체감하지 못 할 겁니다.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컨텐츠가 별로 독특한 컨텐츠도 아닐 것이고요.

 

제텔카스텐이 필력을 늘려주진 않아요

 

그리고 제텔카스텐이 글쓰기를 위한 도구라고 해서 이게 글빨을 늘려주는 것을 기대하실 수도 있습니다. 혹시라도 필력을 기르기 위해 제텔카스텐을 사용하고 계신다면 방향이 잘못된 것 같습니다. 제텔카스텐은 글의 깊이를 깊게 해주고 난이도를 낮춰주지 글을 맛깔나게 해주는 도구는 아닙니다. 일단 저만 해도 글을 잘 쓴다고 자신있게 말하지 못합니다.

 

물론 글을 많이 쓰게 되면 어느정도 글빨이 늘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글빨을 늘게하려면 결국 피드백이 있는 의도적인 수련 (deliberate practice)이 있어야 된다고 봅니다. 제텔카스텐의 워크플로는 의도적인 수련은 없습니다.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시안의 생산성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2개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 아톰

    0
    4 months 전

    비공개 댓글 입니다. (메일러와 댓글을 남긴이만 볼 수 있어요)

    ㄴ 답글 (1)

© 2024 시안의 생산성

생산성 관련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 현재 레벨업 준비 중입니다. 언젠가 더 고가치 정보를 제공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 | 070-8027-2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