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여행자의 조직문화 탐사기

<인생의 짧음에 관하여>_조직문화 탐사기

조직문화 연구자가 읽어본 <인생의 짧음에 관하여>

2024.06.27 | 조회 754 |
0
|

세상의 모든 문화

총 20여명의 작가들이 세상의 모든 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매일 전해드립니다.

<인생의 짧음에 관하여>, 을유문화사(2024)
<인생의 짧음에 관하여>, 을유문화사(2024)

‘죽음이 예정된 삶은 무의미할까?’ 이 책 3장의 제목이기도 한 이 질문이 조직문화를 연구하는 내겐 ‘퇴사가 예정된 회사생활은 무의미할까?’로 읽혔다. “회사생활, 뭐 별거 있어? 너무 열심히 하지 마. 어차피 얼마간 일하다가 그만둘 건데. 받는 만큼만 해.” 주변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이런 이야기의 연장선에 있는 질문처럼 보였다.

새뮤얼 셰플러의 용어를 쓰자면, 우리 자신이 죽은 후에도 계속되는 삶(나 이외의 다른 인간의 삶)이 존재한다는 의미의 후생(afterlife)을 믿을 때, 죽음이 예정된 삶이라도 삶은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우리의 삶이 세상을 지속시킬 ‘집단적 후생(collective afterlife)’에 대한 암묵적 믿음에서 많은 의미를 얻는다는 셰플러의 말을 저자 딘 리클스가 인용했는데, 이 문장을 읽으며 고개를 끄덕이다가 미안한 얼굴이 떠올랐다.

얼마 전 소설가 장강명 작가의 글쓰기 강연에 참여했다가 말미에 이런 질문을 한 적이 있다. “작가님은 내세를 믿지 않는다고 최근 출간한 책에 쓰셨는데요. 오늘 강연을 들으면서 작가님의 동시대 노동과 시스템 문제를 다룬 작가로 기억되고 싶어 하는 욕망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 둘은 서로 상충하는 것 아닌가요?” 공격하려고 했던 건 아니지만 자칫 도발적으로 비췰 수도 있었던 질문에 작가는 성실하게 답을 했다. 논지가 잘 기억나지 않는 걸 보면 그 답에 진정으로 수긍하진 못했던 것 같다. 그러다가 <인생의 짧음에 관하여>를 읽다가 장강명 작가의 욕망과 믿음이 서로 상충하지 않는다는 점을 새롭게 발견했다. 이 지면을 빌어 그에게 미안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조직의 한 구성원으로서, 내가 일하는 동안만 일 잘 처리하고 월급 받으면 됐지, 뭐 그렇게 진지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어?’라는 의문이 들지도 모른다. 하지만 내가 오늘 하는 일과 그 결과물이 내일의 나와 동료들의 일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 이 조직을 떠난 뒤에 이곳에서 일하게 될 이들의 일과 삶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조직에서의 후생(afterlife)'을 떠올려볼 수밖에 없다. 그러다 보면 자연스럽게 내 일의 무게를 느끼게 되고 의미 추구 활동이 이어지리라 본다. 그 깨우침을 <인생의 짧음에 관하여>가 내게 선사했다.

그뿐만 아니라, 4장에 등장하는 ‘현재 자아는 곧 과거 자아의 미래 자아다.’라는 문장은 미래의 모든 시간을 현재와 똑같이 대해야 할 당위를 전해주기도 했다. 허준이 교수가 서울대 졸업식 축사 말미에 이야기했던 문장과도 연결되어 보인다. “타인을 내가 아직 기억하지 못하는 먼 미래의 자신으로, 자신을 잠시지만 지금 여기서 온전히 함께하고 있는 타인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지 궁금해집니다.”

<인생의 짧음에 관하여> 4장, '미래는 우리 자신의 현재가 된다.' 중에서
<인생의 짧음에 관하여> 4장, '미래는 우리 자신의 현재가 된다.' 중에서

우리 각자가 일하고 있는 일터에서 현재를 살며 일하고 있지만 이는 미래의 나를 위한 일이기도 하며, 내 뒤에 올 이들의 일터에서의 삶과 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건들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이 짧은 인생을 살면서 일터에서 자신만의 의미를 추구하고 오늘 하루를 오롯이 살아낼 힘을 얻게 된다.

덧. <인생의 짧음에 관하여>에도 언급된 알베르 카뮈의 <행복한 죽음>과 함께 페어링해서 읽어도 좋을 것 같다.

<인생의 짧음에 관하여>와 <행복한 죽음>
<인생의 짧음에 관하여>와 <행복한 죽음>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성실하게 읽고 쓴 글입니다 :)

#인문학 #철학 #세네카 #을유문화사 #인생의짧음에관하여

 

* 글쓴이

인생여행자 정연

이십 년 가까이 자동차회사에서 HR 매니저로 일해오면서 조직과 사람, 일과 문화, 성과와 성장에 대해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몸으로 답하는 시간을 보내왔다. 지층처럼 쌓아두었던 고민의 시간을 글로 담아, H그룹 칼럼니스트로 활동하며 칼럼을 쓰기도 했다. 10년차 요가수련자이기도 한 그는 자신을 인생여행자라고 부르며, 일상을 여행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며 글을 짓는다. 현재는 H그룹 미래경영연구센터에서 조직의 나아갈 방향을 고민하며 준비하고 있다.

인생여행자 정연, 20년차 HR 매니저, 10년차 요가수련자, 15년차 아빠로 살아갑니다.일상을 여행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며 글을 짓습니다.
인생여행자 정연, 20년차 HR 매니저, 10년차 요가수련자, 15년차 아빠로 살아갑니다.일상을 여행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며 글을 짓습니다.

*

'세상의 모든 문화'는 별도의 정해진 구독료 없이 자율 구독료로 운영됩니다. 혹시 오늘 받은 뉴스레터가 유익했다면, 아래 '댓글 보러가기'를 통해 본문 링크에 접속하여 '커피 보내기' 기능으로 구독료를 지불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보내주신 구독료는 뉴스레터를 보다 풍요롭게 만들고 운영하는 데 활용하도록 하겠습니다.

 

 

*
'세상의 모든 문화'는 각종 협업, 프로모션, 출간 제의 등 어떠한 형태로의 제안에 열려 있습니다. 관련된 문의는 jiwoowriters@gmail.com (공식메일) 또는 작가별 개인 연락망으로 주시면 됩니다.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세상의 모든 문화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4 세상의 모든 문화

총 20여명의 작가들이 세상의 모든 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매일 전해드립니다.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