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편. 효모의 당분 섭취 (2)
구독자 님, 안녕하세요.
저번 Yeasty Letter에서는 양조 효모가 맥즙 내 다양한 당분을 순차적 또는 동시에 섭취하여 발효에 활용하고, 이 과정에서 효소의 가수분해와 세포막 수송이 이뤄진다고 소개해드렸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맥즙의 주요 당분인 말토오스와 말토트리오스의 섭취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편을 읽지 않으신 분들은 먼저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그림 1>에서 보시다시피, 맥즙에는 말토오스(maltose)와 말토트리오스(maltotriose)라는 두 가지 당이 주로 들어 있습니다. 효모가 이 두 당을 얼마나 잘 활용할 수 있는지는 유전적 특성에 따라 달라지며, 이러한 차이가 결국 맥주의 맛에 변화를 줍니다.
효모가 말토오스와 말토트리오스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 당들을 세포 내부로 운반해야 합니다. 이때, 투과효소(permease)가 말토오스와 말토트리오스를 세포막을 통해 내부로 이동시키죠. 세포 안으로 들어온 당은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라는 효소에 의해 포도당으로 분해됩니다.
특히, 말토오스는 맥주 양조, 증류, 베이킹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효모가 말토오스를 잘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 과정의 시작이 말토오스의 섭취와 분해인 것입니다.
이와 같은, 말토오스의 섭취와 분해를 위해서는 3개의 유전자 인코딩을 포함하는 5개의 별도 MAL loci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필요합니다.
*참고: 유전학에서 'locus'(복수형: loci)는 염색체 상에서 유전자가 위치한 지점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인간은 23쌍의 염색체에 약 19,000~20,000개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MAL loci는 효모가 말토오스를 사용하는 데 관련된 유전자 서열의 위치를 뜻합니다.
다음은 각 유전자와 그 역할에 대한 설명입니다.
- MALS: 말토오스를 포도당으로 분해하는 효소인 α-글루코시다아제를 만드는 유전자
- MALT: 말토오스를 세포 내부로 운반하는 투과효소를 만드는 유전자
- 활성자(Activator): 위 두 유전자의 발현을 함께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들 유전자는 맥즙에 말토오스가 있을 때 활성화되고, 포도당이 존재하면 억제됩니다. 예를 들어, 포도당 농도가 10 mg/L 이상이면 MAL 유전자가 억제되며, 포도당이 약 40%–50% 정도 흡수된 후에야 말토오스와 말토트리오스의 흡수가 시작됩니다.
효모는 주변에 말토오스가 있을 때에만 에너지를 들여 말토오스를 세포 안으로 운반하고, 이를 포도당으로 분해하는 효소를 생산합니다. 이는 말토오스가 없을 때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피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요약하면, 말토오스를 분해하는 효소 정보를 담은 유전자가 MALS이고, 외부의 말토오스를 세포로 끌어들이는 투과효소 정보를 담은 유전자가 MALT입니다. 이 두 유전자의 발현은 환경 조건에 따라 달라지며, activator(활성자)가 이 과정을 조절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에일과 라거 효모가 말토오스와 말토트리오스를 얼마나 섭취하는지 비교하고, 균주 특성이 당분 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Written by. SB
참고 문헌.
1. Wood, E.J. (1995). "The encyclopedia of molecular biology". Biochemical Education. 23 (2): 1165.
2. Ezkurdia, Iakes; Juan, David; Rodriguez, Jose Manuel; Frankish, Adam; Diekhans, Mark; Harrow, Jennifer; Vazquez, Jesus; Valencia, Alfonso; Tress, Michael L. (2014-11-15). "Multiple evidence strands suggest that there may be as few as 19,000 human protein-coding genes". Human Molecular Genetics. 23 (22): 5866-5878.
3. Sills, A.M.; Stewart, G.G. Production of amylolytic enzymes by several yeast species. J. Inst. Brew. 1982, 88, 313–316.
4. Sills, A.M.; Sauder, M.E.; Stewart, G.G.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amylolytic system of Schwanniomyces castellii. J. Inst. Brew. 1984, 90, 311–314
5. Stewart, Graham G. Brewing and Distilling Yeast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7.
6. Bisson, L.F.; Coors, D.M.; Frankel, A.L.; Lewis, D.A. Yeast sugar transporters. CRC Crit. Rev. Biochem. Mol. Biol. 1993, 284, 259–308.
7. Zheng, X.; D’Amore, T.; Russell, I.; Stewart, G.G. Factors influencing maltotriose utilisation during brewery wort fermentations. J. Am. Soc. Brew. Chem. 1994, 52, 41–47.
8. Russell, I.; Stewart, G.G. Transformation of maltotriose uptake ability into a haploid strain of Saccharomyces spp. J. Inst. Brew. 1980, 86, 55–59.
9. Sherman, F.; Fink, G.R.; Lawrence, C.W. Methods in Yeast Genetics; Cold Spring Harbour Laboratory: Cold Spring Harbor, NY, USA, 1979.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