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치료가 그렇듯, BNCT 또한 단순한 치료를 넘어 통합적인 절차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직접 치료에 참여하기 전까지는 이러한 절차를 알기 어렵습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치료 참여 시작부터 치료 후 관리까지 이어지는 BNCT 치료 절차와, 외부 치료 센터를 연계한 현실적인 운영 사례, 그리고 발전해 나가는 환자 중심의 치료방법까지 소개해 드립니다.
🔎 BNCT, 어떤 단계가 있을까요?
BNCT는 크게 세 가지 단계로 나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치료에 적합한지 확인하고 치료계획을 세우는 치료 준비 단계, 치료를 진행하고 급성기 증상을 확인하는 치료 단계, 그리고 치료 이후 환자의 상태를 장기적으로 관찰하는 추적관찰 단계로 나뉩니다.
지금은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는 중이니 임상시험의 절차에 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다만, 빠른 이해를 위해 연구자를 '주치의'로 표현하겠습니다.
1️⃣ 치료 준비 단계
모든 암 치료가 그렇듯,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가장 적합한 치료를 찾게 됩니다. BNCT도 마찬가지로, 환자가 BNCT에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절차를 거쳐야 하죠.
✅ 상담 및 동의서 작성
치료 전, 주치의가 환자에게 BNCT의 목적과 위험성, 예상되는 부작용 등을 설명하고 동의를 받습니다.
✅ 스크리닝 검사
환자의 건강 상태, 종양의 위치 등을 확인하고자 혈액검사, 소변검사, 영상검사 등을 시행하게 됩니다.
이때 CT나 MRI 영상은 사전 치료계획(Pre-planning)에 활용되게 됩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양전자 단층촬영(PET/CT)를 진행하는데요, 이는 붕소의약품이 종양세포에 얼마나 잘 섭취될 지를 간접적으로 판단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사전 치료계획(Pre-planning)
이전 뉴스레터에서 설명드렸듯이, 중성자는 투과력이 강하지만 또한 산란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때문에 종양의 깊이가 BNCT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사전 치료계획 단계에서는 정상조직에서는 가급적 적은 선량이, 종양에는 높은 선량이 전달될 수 있도록CT나 MRI 영상을 토대로 치료 자세를 결정하게 됩니다.
✅ CT 모의치료 (CT-simulation)
환자는 사전 치료계획에서 결정된 치료 자세를 재현하여 고정장치를 제작합니다. 그리고 고정장치를 착용한 상태로 치료 시와 동일한 자세로 CT를 촬영하게 됩니다. 이러한 절차가 바로 CT 모의치료(simulation)입니다.
✅ 치료계획 수립 및 승인
이렇게 촬영한 모의치료 영상 이후의 치료계획은 일반적인 방사선치료와 유사합니다.
영상에서 치료 범위와 정상 조직을 정의하며, 이를 컨투어링(Contouring)이라고 합니다. 이후에 부위별 선량 등을 토대로 치료계획을 최적화 하며 수립된 치료계획이 안전한지를 주치의가 최종 확인한 뒤 계획을 승인하게 됩니다.
2️⃣ 치료 단계
이렇게 치료계획이 승인된 후, 치료 당일 약물 투여와 중성자 조사로 BNCT가 수행됩니다. 국내에서는 인천 송도에 위치한 BNCT 의원에서 이 절차가 진행되고 있어요.
✅ 문진 및 약물 처방
BNCT 진행 당일, 환자의 상태를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체중을 측정하게 됩니다. 이후 측정된 체중에 따라 붕소의약품이 처방되게 됩니다.
✅ 약물 투여 후 혈중 붕소 농도 확인
붕소의약품은 총 3시간에 걸쳐 정맥 투여됩니다. 이후 약물이 종양에 전달되는 시점을 고려하여 1시간을 대기하게 되는데요, 이 동안 채혈을 통해 얻은 혈액 검체로 환자의 혈중 붕소 농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합니다. 붕소 농도에 따라 중성자 조사 시간이 달라지기 때문에, 최적의 치료 선량을 전달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절차입니다.
✅ 중성자 조사
이제 모든 절차가 완료되었다면, 치료계획에 따라 중성자를 전달할 수 있는지를 마지막으로 확인(QA)한 뒤 중성자 조사를 시작합니다. 중성자 조사 시간은 실시간으로 확인된 혈중 붕소 농도에 따라 조사시간이 결정됩니다.
중성자 조사가 종료되면, 환자는 진료실에서 나와 혈중 붕소 농도를 확인합니다. 예측된 혈중 붕소 농도가 얼마나 정확했는지 최종 점검하기 위함이죠.
✅ 급성기 증상 관찰
이후, 환자는 병원으로 이동하여 며칠 머무르며 치료 후 발생할 수 있는 급성 반응을 관찰합니다.
3️⃣ 추적관찰 단계
치료 단계까지 모두 종료되었다면, 이제는 치료 경과를 관찰합니다. 이 시기에는 짧으면 2주, 길면 3개월 간격으로 병원을 방문해서 영상검사를 포함한 다양한 검사와 진료를 하면서 치료의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합니다.
📍BNCT는 왜 외부 시설에서 이뤄질까요?
이렇게 BNCT의 절차를 순서대로 말씀드렸는데요, 중간에 BNCT 의원이라고 쓰인 것을 확인하셨나요? 이는 BNCT에 사용되는 설비가 양성자 치료기기, 중입자 치료기기와 마찬가지로 대형 장비이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으로, 대만의 THOR (Tsing Hua Open-pool Reactor) 센터는 병원 외부 시설에서 BNCT 치료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THOR은 대만 국립 칭화대학교의 원자로 기반 BNCT 시설로, 2010년부터 2022년까지 250여명의 환자에게 BNCT를 제공했죠.
THOR 센터에서 BNCT를 받는 환자들은 치료 전날 타이페이 보훈병원 (Taipei Veterans General Hospital)에 입원합니다. 치료 당일에는 엠뷸런스 차량을 타고 THOR 센터로 이송되어 치료를 받고, 이후 병원으로 복귀합니다.
현재 국내에서 진행 중인 BNCT 임상시험은 가속기 기반 BNCT 장비가 설치된 인천 송도의 BNCT의원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는 대형 장비 특성상 모든 병원에 설치가 어려운 현실을 반영한 운영 모델로, 외부 전문 시설과 연계한 임상시험 구조를 통해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고 환자에게 BNCT 치료 기회를 제공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더 나은 치료 경험을 위한 발전
BNCT는 고정밀 방사선 치료인 만큼, 치료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환자의 자세를 정밀하게 고정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강하게 고정될수록 환자는 불편해질 수밖에 없죠. 때문에 환자의 편안함과 정밀도를 동시에 높이기 위해, 세계적으로 다양한 BNCT 친화적 설비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 로보틱 카우치 (Robotic Couch)
기존의 치료용 침대는 수동으로 위치를 조절하거나, 3축 (X, Y, Z) 정도로만 움직일 수 있었습니다. 반면 로보틱 카우치는 자동화된 다축 조정이 가능해, 환자를 보다 정밀하게 빔 포트에 맞출 수 있죠.
치료 중에도 빠른 위치 조정이 가능하고, 높은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어 안정적인 자세 유지가 가능합니다. 또한 환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치료자세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 경험 개선에 기여할 수 있죠.
✔️ 업라이트 CT (Upright CT)
두경부암처럼 상체 위주의 고정이 필요한 경우, 현재는 앉은 상태로 고정장치를 제작한 뒤 자세를 바꾸어 누운 상태로 CT 모의치료가 이루어집니다. 이럴 경우, 중력으로 인해 자세가 바뀌는 등 치료계획 최적화에 어려움을 주는 경우가 있죠.
업라이트 CT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만들어졌습니다. 바로 앉은 자세나 반좌위 (half-seated position)으로 CT 촬영이 가능한 것이죠. 이럴 경우 기존 CT 모의치료보다 치료계획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영상 촬영이 가능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영국의 Leo Cancer Care가 이러한 업라이트 CT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다가오는 5월의 이벤트
- 🎉2025년 5월 9일 대한방사선종양학회 춘계학술대회
오는 5월 9일, 부산항 국제전시컨벤션센터 이벤트홀에서 대한방사선종양학회 춘계학술대회가 개최됩니다.
다원메닥스 또한 부스전시 예정이며, 런천 심포지움을 통해 연구자 분들께 한 발짝 더 다가갑니다. 4월 23일까지 사전등록이 마감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BNCT Library
BNCT의 대표적인 임상시험 논문을 소개해드립니다. 그리고 최근 어떤 뉴스들이 배포되었을지,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
(1) BNCT 임상시험
- Kashihara T, Nakamura S, Yamazaki N, Takahashi A, Namikawa K, Ogata D, Nakano E, Okuma K, Kaneda T, Mori T, Ito K, Itami J, Shimada K, Nakagama H, Igaki H. Boron neutron capture therapy for cutaneous angiosarcoma and malignant melanoma: First in-human phase I clinical trial. Radiother Oncol. 2025 Jan;202:110607. doi: 10.1016/j.radonc.2024.110607. Epub 2024 Nov 1. PMID: 39489429.
- Kawabata S, Suzuki M, Hirose K, Tanaka H, Kato T, Goto H, Narita Y, Miyatake SI. Accelerator-based BNCT for patients with recurrent glioblastoma: a multicenter phase II study. Neurooncol Adv. 2021 May 20;3(1):vdab067. doi: 10.1093/noajnl/vdab067. PMID: 34151269; PMCID: PMC8209606.
- Zhou T, Igawa K, Kasai T, Sadahira T, Wang W, Watanabe T, Bekku K, Katayama S, Iwata T, Hanafusa T, Xu A, Araki M, Michiue H, Huang P. The current status and novel advances of boron neutron capture therapy clinical trials. Am J Cancer Res. 2024 Feb 15;14(2):429-447. doi: 10.62347/HBBE6868. PMID: 38455422; PMCID: PMC10915318.
(2) BNCT 관련 뉴스
📌4월 다원메닥스 활동
- 4월 18일 "한국의학물리학회 춘계학술대회 BNCT 세션 발표"
제69회 한국의학물리학회 춘계학술대회에 참여하여 BNCT의 개괄에 대하여 전문가 분들 앞에서 다루는 자리가 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 감사드립니다!
👋마무리하며
BNCT는 더 이상 실험실에 머물러 있지 않습니다. 환자의 삶을 바꾸는 현실적인 치료법으로 다가오고 있죠. 복잡해보이지만, 하나하나 의미가 있답니다.
다원메닥스는 앞으로도 환자 중심의 BNCT 치료환경을 만들어가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번 뉴스레터가 임상시험을 넘어 BNCT 절차 전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BNCT와 관련된 내용을 전달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