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자님 안녕하세요. 은호입니다.
테슬라(TSLA) 4분기 인도 실적 분석 및 투자 전략
1. 테슬라 4분기·연간 인도 실적 요약
- 4분기 인도량(Q4 2024)테슬라는 약 495,570대를 인도하여, 시장 전망치(대략 50만 대 초중반)와 테슬라가 제시한 가이던스(51.5만 대)를 모두 소폭 하회하였습니다. 전 분기 대비로는 늘었으나, 예상치에 못 미쳤다는 점에서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아쉬움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연간 인도량(2024)2024년 연간으로는 총 1,789,226대를 인도해, 전년(2023년) 대비 약 1%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테슬라가 그동안 매년 기록적인 전년 대비 성장률을 이어왔던 점을 고려할 때, 회사 설립 이래 ‘처음 있는 연간 판매량 감소’라는 상징적 의미가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30~4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으나, 2024년 들어 급격히 둔화된 모습입니다.
- 주가 반응인도량 발표 당일(발표 직후) 테슬라 주가는 약 6% 하락하였으나, 이후 단기적으로 +8% 반등하는 등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습니다. 일부 투자자는 이미 예상된 실적이라는 시각과 함께 중국 시장에서의 12월 호조를 주목하고 있으나, 연간 판매량 첫 감소를 경험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의 깊게 살펴봐야 할 사안입니다.
(멤버십 구독시 전체 내용 열람 가능)
미국 장기채 금리 전망
1. 2024년 시장 조정 이후 달라진 국채 환경
2024년 한 해 동안 미국 장기 국채 시장은 여러 차례 큰 폭의 변동을 겪었습니다.
- 연초에는 경기 둔화와 빠른 금리 인하 기대감이 부각되면서 채권 가격이 반등했지만,
- 이후 고용지표가 견조함을 다시 보여주고 관세 이슈를 포함한 물가 상승 압력이 가세하면서 긴축적인 전망이 힘을 얻었고, 이 과정에서 채권금리가 다시 상승(가격 하락)하는 ‘롤러코스터’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이제 2025년에 진입하며 시장 변동성이 줄어들 것이란 전망도 나오지만, 양적 긴축(QT) 정책, 노동시장(고용) 동향, 관세 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 각국 통화정책 간 격차 등이 여전히 복잡하게 맞물려 향후 금리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에서는 각 요인이 어떤 식으로 장기 채권금리에 작용할 수 있는지 살펴봅니다.
(멤버십 구독시 전체 내용 열람 가능)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