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천 교수가 주장하는 교육

공부는 협력과 토론

2022.06.16 | 조회 530 |
0
|

푸른청년의 뉴스레터

제가 읽었을 때 좋았거나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기사나 책을 요약 정리해서 소개합니다. 간혹 제가 쓴 글도 있습니다.

# 경쟁이 아니라 협력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법을 배우는 게 공부인데 각개전투만 가르친다. 그리고 토론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는 말도 많이 공감합니다.

- 지금 교육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재 양성과는 거리가 멀어요. 현 교육시스템을 완전히 부숴버려도 잘못되지 않을 것으로 저는 확신해요

- 학력이 모든 것을 보장해주는 시대는 오래전 지났다. ‘창의적 실력’이 중요한 시대다.

- 인간의 두뇌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기가 10대 후반이에요. 그 시기를 창의적 일이 아니라 똑같은 것을 반복해 외우며 보내고 있어요. 

- (국가교육위원회 그 안에 여러 소위원회 그 중 한곳에서) 사회생활에서 꼭 필요한 최소한의 것을 추려주고, 나머지는 학생이 하고 싶거나 배우고 싶은 것을 이것저것 맘껏 경험하게 하면 좋겠어요.

- 20년 전부터 제 수업에선 학생들이 시험을 안 봐요. 대신 10여가지, 그야말로 온갖 것으로 평가해요. 과정을 무시한 채 한 번의 시험으로 평가하는 게 불합리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저는 물론 학생들 간에도 평가하게 해요.

- (대학에 꼭 갈 필요는 없다) 다만 일단 대학 문턱을 넘은 학생들은 성실과 지식을 채울 수 있도록 양적으로라도, 공부를 많이 시키는 틀을 갖춰야 한다고 생각해요.

- 인디언 보호구역에 백인 선생님이 부임해 오늘 시험이다, 했더니 아이들이 둥그렇게 둘러앉더래요. 그래서 ‘이놈들아, 시험이라는데 붙어 있으면 어떻게 하니? 떨어져 앉아’라고 했대요. 그랬더니 ‘어, 우리는 어른들한테 어려운 문제는 항상 같이하라고 배웠는데요?’라고 하더랍니다. 

- 인류가 성공한 건 어려운 일을 함께했기 때문이에요. 우리 모두 사회에 나가서도 함께 일하잖아요. 그런데 우리 교육은 철저히 각개전투만 가르쳐요.

- 적자생존(survival of the fittest)이라는 말이 부각되면서 진화에 대한 오해가 생겼지만 다윈 이론의 핵심은 상대성이에요. 상대와의 관계 속에서 조금이라도 적응을 잘했으면 살아남을 수 있음을 설명했어요.

- 제가 이 책보다 먼저 쓰려 한 책은 토론에 관한 거예요. 우리 사회에 필요한 마지막 요소가 저는 토론이라고 생각하거든요

- 서울대생 1100명을 심층조사한 결과를 담은 <서울대에서는 누가 A+를 받는가>라는 책이 있어요. 그런데 우등생들의 답이 한결같더란 겁니다. 자기 생각을 집어넣으면 망한다.

- 미국의 대학은 거의 모든 수업이 토론으로 이뤄져요. 교육 내용은 교과서에 이미 다 있어요. 누구나 읽어야 하는 거죠. 그 외에 필요한 책들도 읽어야 하고요. 그런 다음 모여서 쌓은 지식을 다 꺼내놓고 자기 언어로 토론을 해야 집단지성이 생겨요. 

- 토론을 잘하려면 말이 짜임새 있어야 하고 논리적 사고를 해야 하니 글쓰기 훈련이 돼 있어야 해요. 글을 잘 쓰려면 책 읽기가 필요하고요. 독서는 취미로 하는 게 아니라 정말 빡세게 해야 해요. 또 평소 관찰도 많이 해야 하고요.

# 기사 요약글입니다. 원문은 링크를 확인하세요

혹시라도 내용이 괜찮으셨다면 구독 및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제 브런치 주소는 https://brunch.co.kr/@kawn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푸른청년의 뉴스레터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4 푸른청년의 뉴스레터

제가 읽었을 때 좋았거나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기사나 책을 요약 정리해서 소개합니다. 간혹 제가 쓴 글도 있습니다.

뉴스레터 문의 : imblue9118@gmail.com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