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is 트렌드

CES 2025로 Dive In, 한눈에 살펴보기(2)

매주 화요일, 주목해야 할 IT 트렌드를 전달해 드립니다!

2025.01.21 | 조회 726 |
0
|
from.
잇이즈 편집자
잇이즈 ITis의 프로필 이미지

잇이즈 ITis

데일리 뉴스클리핑부터 핫한 IT 트렌드와 마케팅 레퍼런스까지, IT 이슈의 모든 것을 전하는 잇이즈입니다.

첨부 이미지

 

요즘 제일 핫한 IT 트렌드, 놓치고 싶지 않다면?
화요일마다 주목해야 할 트렌드 소식을 전달해 드립니다!

 

 

지난주 CES 2025 1편, 재미있게 읽으셨나요? 😊 100주년을 맞은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5에서 선보인 혁신적인 기술들 중, AI와 첨단 모빌리티 분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요. 이어지는 CES 2025 2편에서는 세 번째 키워드인 디지털 헬스에 주목해보려 합니다! AI 기반 건강 모니터링, 웨어러블 디바이스, 원격 의료 플랫폼 등 우리의 일상을 바꿀 디지털 헬스 기술들과 함께, 최고혁신상을 받은 화제의 제품들도 정리해드릴 예정입니다.

이번에도 알차고 재미있는 내용들로 준비했으니, 끝까지 함께해 주세요! 🚀

 


 

Keyword 03. 디지털 헬스(Digital Health)

CES 2025의 세 번째 핵심 기술 키워드는 디지털 헬스입니다. 디지털 헬스 분야에 AI와 IoT 기술이 결합하며 건강 관리와 의료 서비스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번 CES에서 디지털 헬스는 특히 질병 예방과 조기 진단, 그리고 개인 맞춤형 의료 서비스라는 두 가지 주요 트렌드로 주목받았는데요.

먼저, 예측형 헬스케어는 기존의 사후 치료 방식에서 벗어나 발병 전 예방에 중점을 둔 새로운 접근 방식입니다. AI와 IoT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를 바탕으로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거나 예방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질병으로 인한 위험을 줄이는 것은 물론, 의료비를 절감하고 궁극적으로 삶의 질 향상을 이룰 수 있습니다.

또한, 초개인화 의료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개인의 건강 상태와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맞춘 진단과 치료를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이 기술은 의료 서비스의 정밀성과 효율성을 크게 높이며, 각 개인에게 최적화된 건강 관리 경험을 제공합니다. 초개인화 의료는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능동적인 관리를 할 수 있게 돕는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죠. 🏥

 

📊 질병 예방 및 맞춤형 건강 관리

앞서 말씀드렸듯이 CES 2025에서는 예측형 헬스케어가 디지털 헬스케어의 핵심 트렌드로 떠오르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여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거나 발병 전에 예방하는 혁신적인 기술들이 다양하게 공개됐어요.

 

이미지 출처: New York Post
이미지 출처: New York Post

Withings가 선보인 Omnia 스마트 미러전신 거울 형태의 디스플레이와 스마트 체중계를 결합한 제품으로, CES 2025에서 주목받은 대표적인 예측형 헬스케어 기기입니다. 체중, 체성분, 심장 건강, 폐 건강 등 다양한 지표를 측정할 뿐만 아니라 심전도(ECG) 기능까지 갖추고 있어 사용자에게 종합적인 건강 데이터를 제공하는데요. Withings의 스마트워치 및 수면 트래커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연동해 개인 맞춤형 분석과 실시간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또한, AI 음성 어시스턴트를 통해 데이터를 해석하고 적절한 건강 조언도 제공합니다.

Omnia는 특히 ‘AI 주치의’와 같은 역할을 하며 의료 접근성이 부족한 지역이나 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현재는 컨셉 단계로 크기와 무게에 있어 실용화까지 개선이 필요하지만, 일부 기능은 올해 중 Withings 앱에 추가될 예정입니다.

 

이미지 출처: CES
이미지 출처: CES

Eli HealthHormometer는 사용자가 간단히 타액을 채취해 스트레스 호르몬(코티솔)과 여성 호르몬(프로게스테론) 수치를 분석할 수 있는 비침습 진단 기기입니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호르몬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스트레스와 여성 건강 문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병원 방문 없이 개인 건강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예방적 건강 관리의 혁신으로 평가받았습니다.

 

이미지 출처: 엠비트로
이미지 출처: 엠비트로

엠비트로ORTIV레이저 기술을 활용해 통증 없이 혈당을 측정하는 혁신적인 기기입니다. 기존의 일회용 바늘 대신 레이저를 사용함으로써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고, 기존 채혈 과정에서의 통증과 불편함도 대체할 수 있습니다.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경고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을 더욱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왔죠.

ORTIV는 당뇨 관리의 게임 체인저로 평가받으며, 통증 없는 혈당 모니터링이라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으로 사용자 경험을 한 단계 끌어올렸습니다. FDA 승인을 받은 이 제품을 통해 엠비트로는 CES 2025에서 ‘주목할 만한 기업(Featured Exhibitor)’으로 선정되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 가정 의료와 원격 진료

CES 2025에서는 가정 의료 원격 진료 기술이 의료 서비스의 접근성을 혁신적으로 확장하며, 환자 중심의 의료 패러다임을 강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기술들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데요. 병원 중심의 의료 시스템을 환자 중심으로 재편하는 동시에, 의료 사각지대 해소에도 적합한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Geekazine [A Walkthrough of CES Unveiled]
이미지 출처: Geekazine [A Walkthrough of CES Unveiled]

폴란드 스타트업 StethomeAI 기반 가정용 청진기는 호흡기 질환 관리를 위한 간편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사용자가 집에서 청진기를 통해 호흡 소리를 측정하면, AI가 데이터를 분석해 감기, 천식, 폐렴 등의 질병 가능성을 예측하고 즉시 결과를 제공합니다. 필요 시 분석 결과를 의료 전문가와 공유할 수 있어 만성 호흡기 질환 환자에게 특히 유용한데요. CES 2025에서는 이 제품이 가정에서도 전문적인 건강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의료 접근성이 낮은 지역이나 바쁜 현대인들에게 효과적인 솔루션으로 평가받았습니다.

 

이미지 출처: Shanmu
이미지 출처: Shanmu

중국 스타트업 SHANMU가 선보인 소변 분석 로봇 ‘S1’은 변기에 부착해 작동하는 혁신적인 디바이스로, 소변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건강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S1은 소변 내 당 수치와 기타 생체 지표를 자동으로 측정해 데이터를 클라우드 기반 앱과 동기화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 상태를 손쉽게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당뇨병 환자들에게 비침습적인 방식으로 정기적인 혈당 모니터링의 가능성을 열어준 기술인데요. 고령 인구와 만성 질환 환자들의 의료 부담을 줄이고, 개인 건강 관리를 단순화하는 점에서 호평받았습니다.

 

이미지 출처: OnMed
이미지 출처: OnMed

OnMedCareStation이동식 원격 진료소로, 원격 의료 기술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린 사례입니다. 화상 상담과 진단 기능을 통해 환자가 의사와 비대면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필요 시 처방전 발급까지 지원합니다. 또한, 통합된 의료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건강 이력을 관리할 수 있어 효율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CES 2025에서는 이 솔루션이 팬데믹 이후 원격 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미래 의료 서비스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 웨어러블 헬스 디바이스

CES 2025에서 웨어러블 헬스 디바이스 분야 역시 건강 관리의 동반자로서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단순한 피트니스 트래커를 넘어, 웨어러블 기기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질병 예방부터 건강 관리에까지 도움을 주고 있는데요. 이번 CES에서는 특히 혈당 추적, 수면 관리, 재활 치료와 같은 세부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들이 소개되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CES
이미지 출처: CES

AbbottLingo혈당 및 케톤 수치 추적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로, 당뇨 환자나 저탄수화물 다이어트를 하는 사용자들에게 도움을 주는 도구로 주목 받았습니다. 이 기기를 피부에 부착하면 혈당과 케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며, 건강 관리 앱과 연동되어 식단과 활동에 따라 맞춤형 조언까지 제공합니다. 특히, 14일 동안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며 개인의 대사 경향을 분석하고 건강한 습관 형성을 위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CES 2025에서는 정확성과 사용자 친화적 설계에 있어 혁신성을 인정받았습니다.

 

이미지 출처: Apollon
이미지 출처: Apollon

ApollonMoglu는 CES 2025에서 공개된 비침습 웨어러블 혈당계로, 사용자가 바늘 없이도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라만 분광법을 활용해 피부 표면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혈당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기존 바늘로 찌르는 혈당 측정 방식의 불편함을 없앴습니다. 특히, 센서 교체가 필요 없는 메커니즘으로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으며, 기기의 소형화를 통해 휴대성을 강화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에이빙뉴스
이미지 출처: 에이빙뉴스

휴로틱스는 CES 2025에서 스포츠와 의료용 웨어러블 로봇으로 주목받았습니다. 스포츠용 달리기 보조 로봇 H-Fit은 사용자의 달리기 자세를 개선하고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체험 행사와 대회를 통해 그 성능을 입증했습니다. 보행 재활 치료 로봇 H-Medi는 착용자의 걸음걸이를 AI가 분석해 맞춤형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이 두 제품은 의료 및 피트니스 융합 기술의 대표 사례로 CES에서 혁신상을 수상하며, 웨어러블 로봇 기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 혁신적인 치료기기와 생활 솔루션

이외에도 건강한 생활을 지원하는 혁신적인 치료기기와 생활 솔루션들을 살펴볼 수 있었는데요. 이제는 단순히 병원에서의 치료를 넘어, 일상에서 개인의 웰빙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며, 사용자가 더 건강하고 편리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여러 혁신적인 사례들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텐마인즈
이미지 출처: 텐마인즈

텐마인즈Mopill은 CES 2025에서 혁신상을 수상한 대표적인 슬립테크(SleepTech) 제품입니다. 이 AI 기반 베개코골이 감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수면 중 기도를 열어주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코골이가 감지되면 베개 속 에어백이 부풀어 기도를 확보해 코골이를 완화하며, IoT 기술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수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합니다. 특히, AI가 코골이 패턴을 학습해 사용자의 수면 습관에 맞춘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Mopill은 단순히 코골이를 줄이는 데 그치지 않고, 사용자가 건강한 수면 습관을 형성하도록 돕는 혁신적인 기술로 CES 2025에서 큰 호평을 받았습니다.

 

이미지 출처: 연합뉴스
이미지 출처: 연합뉴스

네덜란드의 FlowBeams는 CES 2025에서 레이저를 활용한 비침습 주사 기술BoldJet을 선보였습니다. 이 기술은 레이저로 액체를 가열해 미세 거품을 생성한 뒤, 높은 압력을 이용해 액체를 피부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 과정에서 통증이 없고, 바늘로 인한 감염 위험이나 폐기물 문제를 완전히 제거하며, 의료 분야에서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크게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BoldJet은 예방 접종, 약물 전달, 미용 시술 등 다양한 의료 및 비의료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헤럴드경제
이미지 출처: 헤럴드경제

일본의 기린홀딩스는 나트륨 섭취를 줄이면서도 짠맛을 유지할 수 있는 전기 소금 수저를 선보였습니다. 이 숟가락은 미세 전류를 통해 나트륨 이온을 자극하여 혀에서 약 30% 더 강한 짠맛을 느끼게 합니다. 이를 통해 실제 나트륨 섭취를 줄이면서도 맛의 만족감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과 심혈관 질환 예방에 효과적인 이 기술은 단순한 식품 혁신을 넘어 건강한 생활 방식을 지원하는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CES 2025에서는 건강과 기술의 융합을 통해 개인의 웰빙을 향상시키는 사례로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이미지 출처: 누비랩
이미지 출처: 누비랩

한국 기업 누비랩AI 코칭 솔루션은 어린이와 청소년의 식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돕는 기술입니다. 이 솔루션은 AI 푸드 스캐너를 통해 개인별 식사 섭취량과 영양 상태를 분석하며, 교사와 보호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달합니다. 또한 탄소 배출 감소 효과를 시각화하여, 건강뿐 아니라 환경 보호 의식도 함께 높입니다. 특히 CES 2025 혁신상 수상작으로, 식습관을 개선하는 동시에 지속 가능한 삶을 지향하는 기술로 주목받았습니다.

 

디지털 헬스 분야를 마지막으로 CES 2025의 세 가지 핵심 키워드, AI, 모빌리티 혁신,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제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성을 인정받아 최고혁신상을 수상한 기업과 제품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최고혁신상 수상작

CES 2025를 앞두고 CTA(미국소비자기술협회)는 제품군 카테고리별로 최고혁신상과 다수의 혁신상을 시상했습니다. CES 2025 최고혁신상 수상작은 30여 개 기업만이 수상하였는데요. 수상작 제품의 특징을 파악한다면 부상하는 기술의 최근 트렌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겠죠? 그래서 잇이즈가 최고혁신상 수상작들을 모아 정리했습니다!

 

🏆 CES 2025 최고혁신상 수상작: 국내 기업

이미지 출처: 삼성전자 뉴스룸
이미지 출처: 삼성전자 뉴스룸

삼성전자는 올해 무려 29개의 혁신상을 수상했으며, 이 중 4개의 제품이 최고혁신상을 받았습니다. AI 기반 음향 최적화 기술을 적용해 사용자의 청취 환경에 맞춤형 사운드를 제공하는 무선 이어버드 ‘갤럭시 버즈 프로 3’, 공중에 상을 맺히게 하여 가상과 현실을 연결하는 몰입형 경험을 선사하는 ‘Holodisplay Floating Screen’, 마이크로 기술을 활용해 미용 관리와 엔터테인먼트를 동시에 제공하는 ‘Micro LED Beauty Mirror’, 그리고 생성형 AI를 탑재해 사용자 맞춤형 화면과 음향을 구현하는 프로젝터 ‘The Freestyle AI+’가 그 주인공입니다.

 

이미지 출처: LG전자
이미지 출처: LG전자

LG전자 역시 CES에서 총 24개의 혁신상을 수상하며 가전 기술의 혁신을 다시 한번 입증했으며, 이 중 3개 제품이 최고혁신상을 받았습니다. 세계 최고의 화질과 몰입감을 제공하는 ‘LG 올레드 TV’, 초고속 응답 속도와 생생한 색감으로 게이머들의 몰입도를 높이는 ‘LG 울트라기어 올레드 게이밍 모니터’, 그리고 AI 기술을 활용해 반려동물의 건강과 생활환경을 최적화하는 스마트 케어 솔루션인 ‘LG Pet Care Zone’은 생활 속 기술 혁신의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SK텔레콤은 문자나 통화 등 모바일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금융 사기를 AI로 분석하고 대응하는 기술인 ‘스캠뱅가드’로 최고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이 기술은 SK텔레콤의 AI 서비스인 ‘에이닷’과 인증 서비스 앱 ‘PASS’와 연동되어 금융 사기 패턴을 사전에 학습하고 사용자 맞춤형 보안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 이용자들에게 더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며 사이버 위협을 효과적으로 예방합니다.

 

이미지 출처: 웅진씽크빅
이미지 출처: 웅진씽크빅

교육 분야에서는 웅진씽크빅이 증강현실(AR) 독서 솔루션 ‘AR피디아(ARpedia)’를 베이스로 새롭게 개발한 AI 독서 플랫폼 ‘북스토리’로 AI 부문 최고혁신상을 받았습니다. 이 플랫폼은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책을 원하는 언어로 읽어줄 뿐만 아니라 부모나 성우 목소리를 적용 맞춤형 독서 경험을 제공합니다. 또한 효과음과 시각효과를 더해 생동감을 높였으며, 어린이부터 읽기에 어려움을 겪는 성인까지 폭넓은 이용자층을 대상으로 다양한 독서 경험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CES
이미지 출처: CES

한양대학교가상현실(VR) 기술을 적용한 이명 치료 기기 ‘TD Square’를 통해 디지털 헬스 부문에서 최고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TD Square는 사용자의 청각, 시각, 촉각에 대한 피드백 시스템과 VR 기술을 결합하여 이명 증상을 완화하고 인지 능력을 증진시키는 디지털 치료 기기입니다. AI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몰입형 가상현실 환경에서 치료를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 제품은 단순 증상 완화를 넘어 사용자의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받으며,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고스트패스
이미지 출처: 고스트패스

AI 기반 보안 솔루션을 개발하는 한국 기업 Suprema AI에서는 온디바이스 AI 기반 금융 범죄 예방 모듈인 ‘Q-Vision Pro’로 최고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이 기술은 비전 AI를 통해 이용자의 얼굴과 행동을 분석하여 위험을 감지하고, 분석 데이터를 금융기관에 제공함으로써 더욱 강력한 보안 환경을 조성합니다. 고스트패스는 온디바이스 AI 기반 생체인증 결제 솔루션으로 최고혁신상을 수상하며, 원격 인증과 결제 과정에서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안성과 편의성을 극대화한 혁신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국내 핀테크 스타트업 고스트패스에서는 온디바이스 AI 기반 생체인증 결제솔루션을 통해 최고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온디바이스 AI의 높은 보안 성능을 활용해 원격 인증 및 결제 과정에서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증 절차의 편의성 높인 것이 큰 인정을 받았습니다.

 

이미지 출처: 니어스랩
이미지 출처: 니어스랩

자율주행 드론 개발 스타트업인 니어스랩자율비행 드론 운용을 지원하는 ‘드론 스테이션’으로 최고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이 기술은 비행 허가 취득부터 데이터 수집까지 드론 운용의 모든 과정을 자동화하여 자율비행 드론의 상용화를 위한 핵심 역할을 합니다.

 

🏆 CES 2025 최고혁신상 수상작: 해외 기업

이미지 출처: ZDNET
이미지 출처: ZDNET

중국 상하이의 Hypershell은 야외 활동과 작업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외골격 장치 ‘Hypershell Carbon X’로 최고혁신상을 수상하며 주목받았습니다. 이 제품은 AI 기술을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보조하고, 초경량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적용해 착용감과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킨 점이 특징입니다. 한 번 충전으로 최대 17.5km를 이동할 수 있는 효율성 덕분에 야외 작업과 스포츠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크게 넓혔는데요. 이 장치는 인간의 신체적 한계를 기술로 보완하고 확장한다는 점에서, 미래형 웨어러블 기기의 새로운 표준으로 평가받았습니다.

 

이미지 출처: CES
이미지 출처: CES

특수 유리 제조로 잘 알려진 미국의 Corning차량 내부 환경에 최적화된 인포테인먼트 디바이스를 선보이며 CES 2025에서 최고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Corning의 디바이스는 차량 내부의 환경에 맞춰 화면 구성을 맞춤화하여 운전자와 탑승자의 몰입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았는데요. 더불어, 상온에서 제조 공정을 진행해 지속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이 강조되었습니다. 친환경 제조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차량 내부의 사용자 경험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미지 출처: ZEISS
이미지 출처: ZEISS

독일의 Carl ZEISS 자회사 ZEISS Microoptics홀로그래프 광학 기술을 활용한 투명 카메라 기술로 Vehicle Tech 분야 최고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이 기술은 홀로그래프 광학 요소를 활용해 카메라 기능을 투명한 부품에 통합하는 획기적인 솔루션인데요. 차량의 윈드실드 같은 투명한 부품을 카메라로 활용할 있도록 설계되어, 자율주행 자동차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역량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은 자동차 설계의 자유도를 높이며, 자율주행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Haply Robotics
이미지 출처: Haply Robotics

캐나다의 햅틱 기술 및 로보틱스 전문 기업인 Haply Robotics는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현실감 있는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3D 터치 마우스minVerse’로 메타버스 부문 최고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minVerse’는 가상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현실과 같은 물리적 상호작용을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장치로, 메타버스 기술의 몰입감을 획기적으로 높였습니다. Haply Robotics의 기술은 가상 세계에서의 경험을 보다 실제적인 차원으로 끌어올리며, 메타버스의 상용화와 활용 범위를 넓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지 출처: HP AI Creator Community
이미지 출처: HP AI Creator Community

미국의 IT 제조 기업 HP는 소재를 디지털로 렌더링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기 Z Captis를 통해 컴퓨터 부품 및 액세서리 부문 최고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이 기기는 Adobe Substance 3D와 통합된 세계 최초의 소재 캡처 시스템으로, 편광 및 포토메트릭 컴퓨터 비전 시스템이 장착된 휴대용 장치를 활용해 사물의 소재를 캡처하고 이를 디지털로 변환할 수 있는 점이 특징입니다. AI 기술이 접목된 Z Captis는 높은 성능과 사용자의 편의성, 다양한 활용 가능성으로 전문가와 창작자들에게 새로운 작업 방식을 제공하며, 건축, 패션, 게임 디자인 등 다양한 산업에서 창의성을 확대할 도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CES
이미지 출처: CES

일본 스타트업 BionicM은 전기 모터와 센서를 탑재하여 이용자의 보행 편의성을 크게 개선한 의족 제품Bio Leg를 출품해 최고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Bio Leg는 무릎 위에 착용하여 보행을 돕는 의족으로, 내장된 전기 모터와 정밀 센서를 통해 사용자 움직임에 맞춘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보행을 지원합니다. 이 기술은 장애가 있는 사용자들에게 보다 편리하고 자연스러운 이동 경험을 제공하며, 특히 사용자 개개인의 움직임 데이터를 AI로 학습해 더욱 정교한 보행 지원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러한 혁신적인 접근은 보조기기 시장의 패러다임을 전환시키며, 기술과 인간의 조화로운 연결을 보여줍니다.

 


 

CES 2025가 보여준 기술의 미래 🔮

이번 시간에는 디지털 헬스케어를 주제로 한 다양한 기술과 제품들, 최고혁신상 수상작들을 살펴보았는데요. 이를 통해 혁신적인 기술들이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뿐만 아니라 일하고 건강을 관리하는 방식까지 새롭게 정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CES 2025가 역시 이제는 단순히 첨단 기술과 신제품을 선보이는 전시회를 넘어, 우리가 맞이할 미래를 미리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네요.

 

2편에 걸쳐 CES 2025의 핵심 내용만 모아 전달해드린 IT is 트렌드! 정말 다양한 내용을 다루었지만, CES 2025가 전하는 핵심 메시지는 분명합니다. 기술은 단순히 도구가 아니라, 우리의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끄는 동반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앞으로도 재미있고 유익한 트렌드 소식 많이 전달해드릴 테니까요, 계속해서 잇이즈와 함께해 주시길 바랍니다! 🤓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잇이즈 ITis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다른 뉴스레터

© 2025 잇이즈 ITis

데일리 뉴스클리핑부터 핫한 IT 트렌드와 마케팅 레퍼런스까지, IT 이슈의 모든 것을 전하는 잇이즈입니다.

뉴스레터 문의ITis@maily.so

메일리 로고

도움말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뉴스레터 광고 문의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사업자 정보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 | 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