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슬프고 괴이한 시절이지만, 아무 것도 연주하지 않고는 견딜 수 없었습니다. 동기 부여가 절실히 필요했어요. 계속 연습하며 생존하기 위한."
레비트가 즐겨 입는 티셔츠엔 "음악을 사랑하고, 인종차별을 혐오한다(Love Music Hate Racism)"는 문구가 새겨져있다. 그의 SNS에선 음악뿐만 아니라 기후위기, 전쟁, 난민 등 우리 시대의 중차대한 이슈를 통렬히 각성시킨다. 자신의 예술을 역사적 흐름과 분리하지 않으며 무심한 익명성에 비판과 경계를 일깨워 온 레비트의 행보는 앞으로 어디를 향하게 될까.
#
이러한 구분의 논리는 배경, 계급, 출신으로 사람들을 구분하고 나와 너를 가르며 나에게 주어진 권리를 다른 배경이나 계급의 사람들과 나눌 수 없다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데에서 그치지 않는다. 나보다 나은 배경, 계급, 출신의 사람과 만날 때 내가 남에게 했던 동일한 배척을 나 역시 당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제국신문의 평등을 위한 여성의 “자격” 논쟁은 결과적으로 차별을 정당화하는 논리에 지나지 않는다.
제국신문은 ‘별보’란에 실은 그녀의 글 뒤에 짧은 설명을 부기한다. 제국신문 측은 사실 그 시골 여성에게 설득되지는 않았다. 그들에게 첩이 천하다는 것은 바꿀 수 없는 고정된 사실이었다. 그러나 입장은 다르다 하더라도 그녀가 추구하는 발전에 대한 생각에 감명되었고, 그래서 “편지를 쓴 부인의 뜻과 같이 진보하기”를 바라며 글을 신문에 싣기로 결정하였다.
삼가 고인들의 명복을 빕니다.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