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사일즈 뉴스레터는 융합예술주간에서 퍼포먼스와 체험형 전시 형태로 펼쳐지고 있는 '디엔에이 아트랩 DNA Art Lab'과 '머신아트랩 Machine Art Lab'을 집중 조명합니다.
참여 작가들은 포항의 지리와 지질, 역사에 대해 해양 문명, 해양 문화, 도시 특성, 철강 산업, 포항 사람들의 관점을 담습니다. 이번 리서치는 투사 관점과 접근 방법론적 측면에서 기존 상징들을 재해석하는데 머무르지 않고, 현상과 작용과 변화 과정을 주목한다는 특징을 갖습니다.
과학적 분석과 원리, 그리고 기술적인 해결을 활용하면서 그에 공공성을 덧붙입니다. 또한 예술이라는 공감 장치를 활용하여 도시 문제를 모두가 함께 풀어가는 장을 만들자는 것이 이번 융합예술주간의 목표이기도 합니다. 그리하여 애초 접근에서 작가들은 문제적인 소재를 선택하되, 그것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관점과 방법론을 고안해 내기 위해 그 소재나 대상에 대해 물질 차원, 특히 나노 차원, 화학적 변화 등 보다 근본적 차원에서 접근하게 됩니다. 또한 현상에 대해서도 빛, 소리, 전기, 뇌파 등의 속성적 측면에 주목해 움직임과 관계성을 파악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도시 프로젝트인 만큼 도시 디자인에서도 물, 불, 바람과 같은 기후적 또는 환경적 측면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뉴스레서는 10월부터 11월까지 매주 화요일, 목요일, 토요일(가끔은 다른 요일)에 찾아뵙겠습니다. 🙂
많은 기대 바랍니다. ✨
2024 포항융합예술주간 '제6의 섬'에 관한 내용은 홈페이지와 인스타그램을 참고해주세요.
11호: 철의 감각, 이승정, 서정우 🔩
📆 2024년 11월 2일
📝 철의 감각, 이승정, 서정우 🔩
💌 구독하기
2024 포항 융합예술 프로젝트 참여 작가 이승정, 서정우는 10월 25일부터 11월 17일까지 동빈문화창고1969에서 진행되는 전시 《제6의 섬 Sixisles》에서 〈철의 감각 Sensation of Steel〉(2024)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포항을 검색하거나 탐색하다 보면 ‘철’이라는 물질 이야기가 풍성합니다.
포스코 역사관 Park1538 앞에는 남한 최초의 고로인 (구)삼화제철소고로(국가등록 문화재 217호)가 있습니다. 형산강변을 따라 송도 앞바다로 이어지는 포스코 고로들의 웅장함을 한켠으로 하며, 동해에 있던 이 고로가 이곳 포항의 공원 연못가에 조각 작품처럼 서 있는데요, 우리나라의 산업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담고 서있는 보물인 것이죠.
문화재. 그렇죠 지금 우리가 하는 융합의 경우도 산업시설이건 문화시설이건 예술품이건 무형의 작업이건, 어떻게 여기고 함께하고 보존하고 재배치할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이기때문에, 당연히 '철'의 이야기가 풍성한 포항에서 '고로'라는 작품들에 대해서도 눈여겨 보게 됩니다.
이처럼 포항이라는 도시가 철과 엮인 역사는 오래되었는데요, 왜 하필 포항에 제철소가 건립되었을지도 궁금해졌습니다. 제출소를 짓기 위해선 고로를 포함한 제선, 제강, 연주 및 압연 시설 등 대단위 설비들을 갖춰야 합니다. 그러니 엄청난 규모의 큰 부지가 꼭 필요하죠.
뿐만 아니라 지정학적인 이유도 있을 것입니다. 포항은 제철소가 등장하기 이전에는 어업의 도시로 이름을 널리 알렸습니다. 포항의 해안은 육지가 영일만을 감싼 형태로, 동해의 강한 풍랑을 막는 형태를 띄고 있어 해외 수출을 염두에 뒀을 때 좋은 위치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또한, 인근 도시에 경부고속도로가 통과하고 있으며 해상으로도 부산·울산·묵호·삼척 등을 연결하는 중심지이기도 했습니다.
사실 제철소 부지를 정할 때, 마지막 후보에도 오르지 못했던 포항이 최종 승자가 된 것은 이 땅이 그 어디보다도 바다와 친했고, 그 형태가 제철소를 품기 가장 좋았기 때문입니다.
이제 1973년 포항제철소가 본격적으로 가동하면서 이 도시와 철은 뗄레야 뗄 수 없는 사이가 되었습니다.
이승정과 서정우는 철과 맺어온 포항 사람과 포항이라는 도시, 그리고 포항의 느낌에 관심을 갖습니다. 그리고 포항에 대한 느낌과 감정을 기계의 관점과 인공지능의 관점에서 구현한 〈철의 감각 Sensation of Steel〉(2024)을 소개합니다.
과연 기계가 인간의 고유의 감정을 느낄 수 있을까요? 🤔
알파고는 바둑에서 승리했을 때 사실을 인지할 수는 있지만, 그 승리에서 오는 기쁨을 느낄 수 없습니다. 이는 기계가 이성은 학습할 수 있지만, 감정은 사유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이들은 이번 작업에서 기계가 감정을 느낄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기반으로, 인간 고유의 감정과 기계가 어떻게 공존할 수 있을지에 대해 탐구해보기 시작합니다.
이승정, 서정우는 작품에 설치된 알고리즘을 학습시킵니다.
먼저, 작가는 뇌파 장비인 Epoc-X를 착용하고, Russell Circumplex Emotion Model을 기반으로 감정을 분류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본인의 감정 데이터를 기록합니다. 이후, 작가는 본인의 감정을 분류할 능력이 생긴 인공지능이 담긴 장치를 착용한 채, 포항의 사진을 봅니다.
이후 작가는 수백 장의 포항 사진을 보고 느낀 감정을 뇌파 데이터로 분석해 감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인공지능 모델에 학습시킵니다. 이렇게 학습된 기계는 작가가 포항을 봤을 때 느꼈던 감정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가지고 있게 됩니다.
이승정, 서정우는 포항을 모티브로 한 2~3미터 크기의 오브제를 만들고, 그 오브제를 둘러싼 6개의 웹캠(기계의 눈)을 설치합니다. 이 웹캠들은 작가의 감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모델을 통해 감정을 학습한 상태입니다. 작가는 인공지능을 탑재한 기계(실시간 녹화 카메라)가 철제 조각을 관찰하게 합니다. 이 인공지능은 작가의 생체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든 알고리즘으로 작동하는 대리인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기계가 오브제를 바라보면서 느끼는 감정은 6개의 65인치 모니터에 끊임없이 바뀌는 이미지로 표현됩니다. 이 이미지 안에는 작가의 감정과 기계의 감정이 뒤섞여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모습은 인간의 느낌 작용이기도 하며, 동시에 기계가 빠르게 계산한 철의 감각 이미지가 되기도 합니다.
생체 데이터로 초기 세팅된 이미지가 계속 방향을 바꿔가며 관찰된 철제 조각의 데이터로 인해 역동하고 있습니다. 인간과 철의 감각 이미지는 휘몰아치거나 사라지거나 유동합니다.
6개의 카메라와 6대의 디스플레이의 종합으로서의 전체 감정이 과연 무엇일까요? 생체데이터가 탑재된 기계가 철 오브제를 보고 느끼는 감정은 과연 어떤 감정일까요? 철의 도시라는 포항, 그리고 포항 사람이 느끼는 포항의 느낌은 어떤 것일까요? 모여 표현된 감정은 어떤 것일까요?
작가는 그 질문에 답을 내리지 않고 관객을 맞이합니다. 가만히 작업 앞에서 바라봅니다. 포항의 감각, 포항의 감정은 어떤것일까? 관객 모두에게 던져진 이 질문에 대한 나름의 답이 모여 우리에게 명확하진 않지만 미래를 향한 답을 내려줄 것입니다. 그렇다면 두 작가는 포항을 상징하는 '철'이라는 소재를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기계가 감정을 사유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탐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