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3일, 밤 10시 30분이라는 시간이 큰 점으로 멈출 줄은 아무도 몰랐을 겁니다. 몇 개월 째 회자되고 있는 ‘그 날 밤’ 저는 일찍이 잠에 들었다가 잠시 깼더랬습니다. 마침 새벽잠에서 깬 짝꿍이 “비상계엄을 선포했대! 근데, 끝났대!”라고 소식을 전해주지 않았다면, 아침까지 깜빡 모를 뻔 했죠. 덕분에 추운 겨울 밤과 새해의 아침을 거리에서 보내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더슬래시 필진으로 참여하신 김유미, 이경주, 성다인님의 글들도 모두 12월 3일로 시작합니다. 그만큼 그 날은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들에게 뼈아프게 인지된 시간이었습니다. 장회익씨가 쓰고 우리사상연구소가 엮은 <우리말 철학사전(2002)>에서는 시간에 대해 이렇게 짚어냅니다. “인간이 시간의식을 지니게 되었다고 하는 사실은 곧 인간이 주체적 삶의 영위자가 되었다는 것을 뜻한다(책 p.145-146)” 저는 이 문장이 ‘12월 3일 밤 10시 30분’을 ‘의식’하게 된 한국 시민들이 곧 헌법의 주체성을 찾게 되었다는 의미로 다가왔습니다. ‘내가 원하는 미래를 만들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 ‘일상의 평온함으로 돌아가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 를 고민하며, 주체적으로 거리를 채운 시민들의 발걸음이 그랬습니다.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