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번역] AI 캐릭터 기업 픽토리아(Pictoria), 격동의 2024년을 돌아보며 25년 전망을 이야기하다

AI 캐릭터 기업 픽토리아는 2024년 AI튜버 '츠무기 넨'이 일본 AI튜버 최초로 실버 버튼을 획득하고 B2B 영역에서 '픽토 스탠드' 솔루션을 확장하는 등 두 축의 사업을 성공적으로 발전시키며, 2025년에는 독자 기술과 글로벌 협업을 바탕으로 'AI 캐릭터 프로바이더'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2025.02.12 | 조회 139 |
0
|
0xPlayer의 프로필 이미지

0xPlayer

버튜버, 라이브 스트리밍, e스포츠, 블록체인 게임, AI 아티스트, K-Pop, 팬덤, 애니메이션 등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비즈니스에 관한 심층 분석과 최신 트렌드를 다루는 아티클, 논문, 리포트, 인터뷰를 번역하고 리서치합니다 🦫

픽토리아의 CEO 아케도입니다. 저희 회사는 이번 달로 제8기에 진입했습니다. 2024년을 돌이켜보면, 그 어느 때보다도 깊이 있게 '통찰과 모색'을 이어간 한 해였습니다. AI와 캐릭터를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전개해 온 픽토리아는 2023년부터 시작한 여러 시행착오의 축적이 하반기에 큰 성과로 이어지기 시작했고, 제8기에 진입한 현재는 최고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 AI튜버(AITUBER)의 약진: AI 캐릭터 사업(B2C)에서는 AI튜버 '츠무기 넨(TsumugiNen)'의 유튜브 구독자 수가 10만을 돌파하여 일본 국내 AI튜버 중 최초이자 최고로 실버 버튼을 획득했습니다. 버튜버를 포함한 사업 전체적으로도 점차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 B2B 솔루션의 본격적인 도입 및 출시: AI 접객 시스템 '픽토 스탠드(Picto STAND)'를 중심으로 한 B2B 영역에서도 구시로 공항 등에 도입 실적이 공개되었고, 그 외에도 미공개 프로젝트(대규모 프로젝트 포함)가 다수 진행 중이며, 계약 및 구현이 착실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홋카이도 에어포트(北海道エアポート)사(구시로 공항)와의 협업 발표
홋카이도 에어포트(北海道エアポート)사(구시로 공항)와의 협업 발표

한편으로는 외부에서 "AI 캐릭터 회사가 뭐지?", "단순한 캐릭터 회사인 줄 알았는데 진지한 AI 개발도 하나?", "클라이언트가 일류 기업뿐이네, 뭔가 수수께끼 같아..."라는 인상을 받기 쉬운 한 해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오히려 아직 전달하지 못한 매력이 있다는 것이야말로 '픽토리아의 흥미로운 점'이며, 앞으로 더욱 폭발적으로 성장할 여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2024년 돌아보기: 끊임없는 모색과 드러난 성공의 길

2024년, 아케도로서는 '깊은 니즈를 찾아 나서는' 작업을 계속해온 한 해입니다. 다음과 같은 핵심 질문들과 마주하며 여러 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했습니다:

  • AI와 캐릭터를 어떻게 융합하여 독자적인 가치를 창출할 것인가
  • 어떤 카테고리와 니즈에 집중하여 클라이언트와 팬들의 열광적인 지지를 얻을 것인가
  • 이를 어떻게 시장에 언어화하고 제시하여 최우선 상기도를 확보할 것인가
  • 현금 흐름의 안정성과 연구개발을 포함한 새로운 영역에 대한 투자를 어떻게 양립시킬 것인가

 

1. 캐릭터 비즈니스와 B2B 비즈니스의 양립

B2C 사업과 B2B 사업을 어떻게 두 축으로 운영할지에 대해서는 한정된 자원 내에서 항상 세심한 균형 감각이 요구되어 왔습니다. 하나에만 집중하면 되지 않느냐는 의견이 있을 수 있지만, 저희는 '이 두 축을 동시에 추진함으로써 강점이 생기고 강화된다'고 생각합니다. 사내 체제 정비부터 고객 접점 확대까지,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듭하며 다각적인 노력을 진행했습니다.

  • B2C: AI튜버 '츠무기 넨(Tsumugi-Nen)'을 비롯한 AI튜버 운영
  • B2B: '픽토 스탠드(Picto STAND)'를 중심으로 한 AI 솔루션군과 AI 수탁개발
AI튜버 츠무기 넨이 획득한 유튜브 10만 구독자 증명,
AI튜버 츠무기 넨이 획득한 유튜브 10만 구독자 증명, "실버 버튼"

2. 기술 개발과 실적 구축

첨단 연구개발의 강화뿐만 아니라 개발 조직의 기반을 다지는 노력에도 큰 투자를 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속도와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AI 프로덕트의 공통 기반화'와 SI 기업과 동등한 수준의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체제 구축에 주력했습니다. 이를 통해 B2B 영역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지게 되었습니다.

B2C에서는 어느 정도 유연한 대응이 가능했던 부분도 B2B에서는 어떠한 타협도 허용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B2B, B2C 각 영역을 담당하는 엔지니어들의 역할 분담과 우선순위 조정을 모색하는 시간이 계속되었습니다.

프로덕트 면에서는 디지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시설과 이벤트에서의 도입 사례가 증가하며, 실제 사용자로부터 직접 피드백을 받는 기회가 대폭 증가했습니다. (때로는 실패를 경험하기도 했지만...)

그 결과, 서비스를 실제 운용 환경에서 검증하면서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선순환이 시작되었습니다. 기존의 탁상공론과는 다른 질의 직접적인 피드백을 얻을 수 있게 되었고, 현장에 맞는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실용적이고 실제로 활용되는 프로덕트로의 전환이 마침내 진행되고 있습니다.

B2B 사업을 시작할 때부터, 현장에 맞지 않는 일회성 프로젝트 수주만 하는, 영원히 PoC만 하는 회사가 되지 않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3. "수수께끼"를 강점으로 전환하기

외부에서 보는 '수수께끼 같은 회사'라는 이미지는 저희 내부에서는 숨겨진 '강점'에 다름 아닙니다. AI 기술과 캐릭터 제작이라는 서로 다른 영역을 동시에 추진하기 때문에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탄생하고, 고도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합니다. 2024년은 이러한 강점을 어떻게 매력적으로 전달하고(영업 활동 포함), 과제 해결로 연결할 것인가를 계속해서 모색한 한 해이기도 했습니다.

영상을 통한 발신을 늘리기 위해 픽토리아 랩(Pictoria Lab)이라는 공식 채널도 적극적으로 운영해 나갈 예정입니다! 클라이언트 인터뷰 영상도 있으니, 앞으로도 주목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www.youtube.com/@pictoria2017


시장 환경의 변화: 생성형 AI "원년"의 시대

챗GPT(ChatGPT)로 대표되는 LLM이 보급되어 누구나 '생성형 AI'를 사용할 수 있게 된 2024년. 시장에서 유사한 서비스가 급증하는 한편, "AI 캐릭터 사이니지? 의외로 괜찮을 수도 있겠네"라며 관심을 보이는 기업도 늘고 있습니다. 올해 니케이 크로스트렌드(Nikkei xTREND)의 "미래의 100대 기업" 기사에서 AI 접객이 첫 번째로 언급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의 AI 캐릭터를 통한 접객과 마케팅 활용은 단순한 '생성형 AI + 외관'이 아닌 새로운 가치를 어떻게 창출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타사와의 차별점:

  • 캐릭터 제작의 정교함과 그 이후의 IP 전개
  • B2C에서 축적한 인게이지먼트 확보 방법을 통한 '실제로' 활용되는 AI 접객
  • 자체 개발한 음성 합성 및 독자적인 정보 정리·검색 기술

그 외에도 로컬 LLM을 활용한 로그 분석 방법 확립, 단기·장기 기억을 활용한 AI 대화 방식 모색, 이미지 인식 중심의 멀티모달 모델 구현, 대화 속도 향상을 위한 최적화 프로젝트, RAG 기술의 정교화(특허 출원 진행 중), 합성 음성 연구(대학 연구실과 공동 진행), 개발 속도 향상을 위한 각 시스템의 모듈화 등 다방면에서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해외 스타트업과의 협업이 구체화되기 시작하여, 국내 기업만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혁신적인 콘텐츠 출시가 임박했습니다.

구독자만 읽을 수 있어요

이 콘텐츠를 읽으려면 로그인 후 구독이 필요해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다른 뉴스레터

© 2025 0xPlayer

버튜버, 라이브 스트리밍, e스포츠, 블록체인 게임, AI 아티스트, K-Pop, 팬덤, 애니메이션 등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비즈니스에 관한 심층 분석과 최신 트렌드를 다루는 아티클, 논문, 리포트, 인터뷰를 번역하고 리서치합니다 🦫

뉴스레터 문의lowell9195@gmail.com

메일리 로고

도움말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뉴스레터 광고 문의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사업자 정보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 | 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