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ummary
1️⃣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등장해 AI 시장을 흔들고 있습니다.
2️⃣ 애플이 애플 인텔리전스를 중심으로 한 iOS 18.3 업데이트를 공개했습니다.
3️⃣ 마이크로소프트가 딥시크를 Azure AI Foundry와 GitHub에 도입했습니다.
4️⃣ 트럼프가 틱톡에 끊임없이 의견을 제시하며 미국의 틱톡 인수전이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습니다.
5️⃣ 구글이 발표한 2040 여행 산업의 미래에 대해 알아봅니다.
안녕하세요 구독자님, 이번주에도 새로운 뉴스들과 즐거운 월요일 보내세요!
AI 시장의 새로운 게임 체인저, 딥시크(DeepSeek)
아무래도 설 연휴 기간 내내 가장 흥미로운 뉴스가 아니었나 해요.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오픈소스 전략과 강력한 성능을 앞세워 AI 시장을 흔들고 있죠. 비용 효율성이 뛰어난 이 모델은 OpenAI의 ChatGPT, Google의 Gemini, Meta의 Llama 3.2 등의 경쟁자로 여겨지는데요, 딥시크의 AI 기술 민주화와 오픈소스 AI의 확산이 더욱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DeepSeek의 탄생과 특징
- 설립 배경: 2023년 5월, 중국 AI 기반 퀀트 헤지펀드 High-Flyer의 대표 량원펑(Liang Wenfeng)이 창립
- 오픈소스 전략: 핵심 기술을 공개하여 개발자들이 자유롭게 활용하고 개선 가능
- 비용 효율성: 경쟁 모델 대비 1/30 수준의 개발 비용
- 강력한 성능: 복잡한 추론, 수학 문제 해결, 프로그래밍 지원에서 뛰어난 성과
DeepSeek R1은 OpenAI, Google, Meta 등의 AI 모델과 경쟁하고 있는데요, 일부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GPT-4를 능가하는 성능을 보였으나 개발 비용은 경쟁사의 1/30 수준으로 비용 효율성 측면에서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죠. 다만, ChatGPT에 비해 대화 맥락 유지 능력이 부족하고, 창의적 답변 생성은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있어요. 그리고 중국에 대한 질문은 거의 피해가는 것으로 보았을 때 중국 당국의 검열에 대한 우려가 높은 상태입니다.
💬 DeepSeek의 출현은 AI 산업 전반에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여요. 저비용 고성능 모델이면서 동시에 오픈소스라는 점은 AI 접근성 및 해당 생태계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 같습니다. 또한 미국 중심의 AI 경쟁에서 판이 좀 더 커짐에 따라 사용자로서의 즐거움은 더 커질 것 같아요. 하지만 중국 AI를 사용함에 있어 보안 이슈는 쉽게 극복하지 못할 것 같습니다.
https://www.bbc.com/news/articles/c5yv5976z9po
https://edition.cnn.com/2025/01/27/tech/deepseek-ai-explainer/index.html
https://www.engadget.com/general/the-morning-after-engadget-newsletter-121642950.html
애플 인텔리전스 중심의 iOS 18.3 업데이트
애플이 iOS 18.3 업데이트를 통해 Apple Intelligence 기능을 기본 활성화하고, AI 생성 알림 요약을 더 명확하게 표시하도록 변경했어요. 이는 AI 기반 요약 기능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보이며, 향후 AI를 활용한 사용자 경험 개선이 더욱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주요 변경 사항은 아래와 같아요.
- Apple Intelligence 기본 활성화 – 설정에서 비활성화 가능
- AI 생성 알림 요약 개선 – 요약이 이탤릭체로 표시되며 'Summarized by Apple Intelligence' 문구 추가
- 뉴스 알림 요약 일시 중단 – 일부 오류로 인해 기능 개선 후 재출시 예정
💬 애플은 AI 기반 기능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며, 사용자 중심의 AI 경험을 강화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죠. 앞으로 iOS에서 AI 추천, Siri 개선, 맞춤형 알림 시스템 등이 더욱 고도화될거에요. 애플은 Siri에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투명성과 사용자 신뢰에 초점을 맞춘 AI 전략을 유지하는 것 같네요.
마이크로소프트의 딥시크 R1 모델 도입
마이크로소프트가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R1 모델을 Azure AI Foundry와 GitHub에 도입했어요. 이는 OpenAI 독점 구조에서 벗어나 AI 기술의 다변화를 모색하는 전략적 움직임으로 보이며, AI 시장의 경쟁을 더욱 가속화하는 시작인 것 같아요.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로 인해 개발자들이 신속한 AI 테스트 및 개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라며 광범위한 보안 및 안전성 검토를 완료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향후 Copilot Plus PC용 경량 모델 출시 예정이라고 해요.
마이크로소프트는 딥시크 공개 이후 불과 10일 만에 R1을 통합한 것인데요, 이는 일반적인 대기업의 의사결정 속도를 고려할 때 이례적으로 빠른 움직임인데다가 OpenAI와의 파트너십을 고려했을 때에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한 뉴스였던 것 같아요.
💬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전략은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니라 생태계 확장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 같아요. 이번 의사결정은 Satya Nadella CEO가 직접 지시한 프로젝트라고 해요. OpenAI와 긴밀한 협력을 유지하면서도, 독점적 관계를 피하고 다양한 AI 기술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려는 것 같습니다. OpenAI와 긴밀한 협력을 유지하면서도, 독점적 관계를 피하고 다양한 AI 기술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려는 것 같습니다.
https://www.theverge.com/notepad-microsoft-newsletter/603170/microsoft-deepseek-ai-azure-notepad
틱톡, 미국 내 운명은?
틱톡은 25년 1월 18일부로 미국 내 서비스가 중단되었으나,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개입 이후 다음 날 일부 복구된 상태입니다. 75일의 유예 기간 내에 인수 또는 합작 방안이 결정되어야 하는데요,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개입으로 인수전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으며, 오라클, 마이크로소프트 등 다양한 기업과 개인들이 인수에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과거 틱톡 금지를 추진했으나, 2024년 대선을 앞두고 입장을 바꾸며 현재는 틱톡이 미국 기업에 인수되기를 원하며 미국 정부가 일부 지분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현재 가능한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아요. 먼저 미국 기업이 인수 후 미국 내 운영을 지속하는 방안, 또는 ByteDance와 미국 기업이 합작 법인을 설립해 지분 구조 조정 후 공동 운영하는 방안, 마지막으로 협상이 실패하면 틱톡이 영구적으로 미국 시장에서 철수하게 되겠죠.
💬 틱톡을 둘러싼 논란은 단순한 앱 차단이 아니라 국가 안보, 기술 경쟁, 글로벌 데이터 관리가 얽힌 복잡한 문제로, ByteDance가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을 경우 추가 규제가 예상됩니다. 틱톡의 가치는 소셜 미디어를 넘어 데이터, 광고, AI 추천 알고리즘에 있으며, 인수 주체에 따라 서비스 방향이 크게 달라질 가능성이 크죠. 특히 오라클이나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B2B 중심 기업이 인수할 경우 데이터 보안이 핵심 논점이 될 것입니다. 또한, 이 문제는 미국 대선과 미중 관계와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글로벌 테크 기업의 자율성과 국가 규제 간의 대표적인 사례로 떠오르고 있어요. 이 문제는 정치, 경제, 기술적 요소가 얽혀 있어 쉽게 해결되긴 어려울 것 같아요. 향후 정부 규제, 인수 협상, 중국 정부의 대응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 같네요.
2040년 여행의 미래 – 국제 여행객 60% 증가, AI 기반 맞춤형 여행 확대
구글이 2040년 ‘여행’의 미래에 대해 예측한 자료가 흥미로워 공유해드립니다. 여행 관련 서비스나 컨텐츠 기획하시는 분들 뿐 아니라 사용자의 트렌드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 되시길 바래요.
구글과 딜로이트의 최신 연구에 따르면, 2040년까지 국제 여행객이 60% 증가하며 여행 시장이 급격히 변화할 전망입니다. 인도, 중국, 미국이 주요 출발지 시장으로 성장하고, 스페인이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국가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고령 여행객 증가, 맞춤형 여행 경험, 지속 가능한 여행 방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행업계의 대응이 필요해지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
- 국제 여행의 급증 : 2040년까지 전 세계 국제 여행 횟수가 약 24억 회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새로운 주요 출발지 시장 : 인도 여행객이 2040년까지 5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중국과 미국도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이 될 것입니다.
- 목적지 다양화 : 스페인이 프랑스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국가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멕시코가 상위 5개 인기 목적지에 새롭게 진입할 것으로 보이며 중동 지역, 특히 사우디아라비아와 UAE가 큰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 미래의 여행객 특성 : 신흥 시장의 여행객들은 성숙한 목적지를, 성숙 시장의 여행객들은 덜 알려진 장소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모든 여행객들이 더 많은 정보를 찾고 광범위한 사전 조사를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고령 여행객의 증가 : 건강한 상태로 은퇴하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특별한 요구사항과 선호도를 가진 새로운 여행객 세그먼트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여행 산업을 위한 주요 시사점
- 새로운 시장에서의 브랜드 구축 : 여행 브랜드들은 새롭게 부상하는 시장에서 인지도를 높이고 신뢰를 구축해야 합니다.
- 다양한 국적의 방문객 수용 : 목적지들은 다양한 국가에서 오는 방문객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준비를 해야 합니다.
- 개인화된 경험 제공 : 여행객들은 더욱 맞춤화된 경험을 기대할 것이며, 이는 데이터와 AI의 활용을 통해 가능해질 것입니다.
- 지속 가능성에 대한 집중 : 여행 산업은 환경적, 사회적 영향을 고려하여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성장해야 합니다.
- 기술 혁신의 활용 : 새로운 기술은 여행 경험을 향상시키고 운영 효율성을 개선할 것입니다.
💬타이틀은 2040년이지만 그리 머지 않은 미래의 예측인 것 같아요. 이미 우리 주변에서도 많이 찾아볼 수 있는 행태인것 같거든요. AI 및 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여행 추천 시스템 개발, 인도/중국/중동 등 신흥 시장 소비자들을 위한 서비스 최적화, 로컬 체험 및 지속 가능한 여행 상품 개발 등 경험 중심의 여행 확대, 장기 체류 패키지나 웰빙 여행 서비스 강화 등을 기반으로 한 고령 여행객 시장 대응, 지속 가능한 여행 컨텐츠 개발 등이 추후 여행 산업에서 중요한 키워드가 될 것 같네요.
수요일에 깊은 이야기로 만나요!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