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란스런 시국과 바쁜 연말로 잘 지내고 계신지요. 연기되었던 《2045 거주(불)가능도시》 온라인 성과공유회를 재안내드립니다.
⚡2024년 12월 27일 금요일 오후 2시, 유튜브 생중계
그리고 크리스마스 선물로 지난 10월 당진에서 진행된 <일렉트립: 당진과 당신의 이야기> 기록영상을 공유합니다.
모두 행복한 🎄성탄절🎄 보내시기를 바라며, 곧 온라인에서 인사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퍼블릭 퍼블릭입니다.
저희는 올해 충청남도 당진에서 첫 로컬 프로젝트 《2045 거주(불)가능도시》를 진행했습니다. 우리가 쓰고 있는 ‘전기’가 어디에서 생산되고 또 어디로 이동하는지를 당진과 서울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고자 시작되었는데요. 지역 간 자원의 이동과 역학관계를 통해서 기술낙관주의 시대에 인간중심적 도시체계를 되돌아보고자 했습니다.
그리하여 📢세미나 <에너지학교>, 📢워크숍 기반 설치 및 퍼포먼스 <새들을 위한 기념비>, 📢지역투어 <일렉트립> 등을 개최하였습니다. 또한 📢지역 리서치 기반의 예술작품이 제작되었습니다. (물론 올해를 시작으로 로컬 프로젝트는 내년에도 계속 됩니다!)
12월의 마지막 토요일 오후에, 당진과 서울을 오고가며 저희가 고민하고 진행했던 결과물들을 소개하는 공유회 자리를 마련합니다. 저희와 함께 문화예술적 접근으로 지역의 잠재성을 새로이 발견하는 시간을 되길 바랍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1부 프로젝트 소개
- 2045년 거주가능한 도시를 향하여 _ 2045거주(불)가능도시, 이경미 총괄 기획자
- 발전은 과거를 기억한다 _ 에너지학교, 박규섭 협력 연구자
- 여행의 감각으로 이슈를 자기화하기 _ 일렉트립, 주혜진 협력 기획자
- 기획자와의 대화 _ 이경미, 박규섭, 주혜진
2부 작품 프리뷰
- 도시산책론2 - 도시의 미스터리 _ 권은비 참여예술가
- 역기념비 프로젝트 - 새들을 위한 기념비 _ 서해영 참여예술가
- 작가와의 대화 _ 권은비, 서해영, 이희옥 협력 기획자(모더레이터)
3부 라운드테이블
- 전기로 연결된 도시에 관한 이야기 _ 박향주 가주스페이스 대표, 유은정 당진 그루매니저, 전민정 문화정책⋅기획 연구자, 홍기후 충청남도의회 의원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