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브 투 헤븐 ; 니가 왜 거기서 나와?_세상 모든 B급들을 위한 작은 시_김싸부

2021.06.14 | 조회 2.49K |
2
|

세상의 모든 문화

총 20여명의 작가들이 세상의 모든 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매일 전해드립니다.

 

넷플릭스 드라마 <무브 투 헤븐 : 나는 유품 정리사 입니다>가 다루고 있는 주제는 ‘죽음’이다. 직접적으로 다룬다기보다 우회적으로 죽음을 다룬다. 부제가 말해주는 것처럼 유품을 정리하는 일을 하는 회사인 ‘무브 투 헤븐’의 주인공 그루의 눈을 통해서.

죽음이라는 단어가 주는 느낌적인 느낌은 굉장히 다크 한 것 같지만, 신기하게 그것을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삶은 달콤 해진다.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_ 죽음을 기억하라)라는 말은 늘 사랑받는 메이커 명언이었으며, 구약성서의 전도서에도 ‘지혜로운 사람의 마음은 초상집에 가 있고 어리석은 사람의 마음은 잔칫집에 가 있다 (새번역)’라는 말씀이 있다. 죽음을 기억하고 가까이 갈수록, 삶은 생기로 뚜렷해지며 지혜로 풍성해진다.

근데 분명 <무브 투 헤븐>은 죽음에 대해서 말하는데, 이질적인 느낌을 감출 수가 없다. 왜 그런지 곰곰이 생각해보았다. 답을 찾았다. 머릿속에서 노래가 울려 퍼진다. ‘니가 왜 거기서 나와 ~’

미디어가 죽음을 다루고 있다는 그 사실이 이질적이었던 것이다. 애초부터 미디어란 죽음을 기억하게 하는 것과는 상극이 아니었는가. 눈에 보이는 것이 최고라고, 인생에 대한 진지한 고민은 집어치우고 지금 이 순간이 주는 기쁨에 몰입하라고, 멍하니 보고 멍 때리면서 다 잊어버리라고, 그렇게 말하고 있는 것이 미디어의 속삭임 중 하나가 아닌가. 그런데 그런 채널을 통해서 ‘죽음’을 말하다니, 이건 마치 떡볶이 집에서 파는 스테이크 같은 느낌이랄까. (물론 난 스테이크보다 떡볶이를 더 좋아한다)

유투브로 인해서 이런 죽음에 대한 망각은 한층 더 가속화되고 있는 시대를 맞이한 것 같다. YouTube라는 명칭은 사용자를 가리키는 '유(You, 당신)'와 미국 영어에서 텔레비전의 별칭으로 사용되는 '튜브(Tube)'를 더한 것이다. 과거 텔레비전이 브라운관(Cathode-Ray 'Tube', CRT)를 사용했기 때문에 텔레비전을 미국 영어에서 다른 말로 '튜브'라 부른다. 즉 'YouTube'라는 명칭의 뉘앙스는 '당신을 위한 텔레비전', '당신이 곧 텔레비전' 정도이다. (나무위키 참고)

우리나라에서는 ‘유’튜브를 ‘너튜브’라고 부르는데, 그야말로 ‘너를 위한 티비’라는 의미를 가질 수 있으니 매우 적절하다. 그 너를 위한 티비 속으로 빨려 들어가면서 사람들은 각자 죽음을 생각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망각한다. 오직 현실, 오직 현재, 오직 현질(?), 그렇게 해서 찾아오는 것은 오직 현타 밖에는 남지 않는다. 이런 맥락에서 <무브 투 헤븐>은 ‘니가 왜 거기서 나와?’라는 소리를 듣기 충분하다. 우린 다 죽음을 잊어버리라고 외치고 있는데, 왜 너는 다른 목소리를 내느냐고 말이다.

총 10회, 1회당 50~60분, 고요한 밤 10시에서 11시 사이, 불 꺼진 방에서 티비를 통해 죽음에 젖어들었다. 이질적인 느낌은 지울수 없었지만, 고맙다는 생각이 들었다. 좋은 스토리를 가진 드라마를 통해서, 이렇게 편하게 앉아서, 죽음에 대해서 기억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는 것이. 한 회 한 회가 끝날 때마다 삶은 적절히 깊어졌고 풍성해졌고, 마침내 고요해지기도 했다.

어차피 우리 모두는 언젠가는 죽는다. 잊어보려고 해도, 피해 보려고 해도, 언젠가는 마주해야 하는 숙제다. 책으로 공부해서 답을 찾기 어려운 과목인데, 이렇게 미디어를 통해서 친절히 쏴주는데 이걸 안 본다는 건 좀 아깝지 않나 생각해본다. 삶은 삶에 대해 생각할 때보다 죽음에 대해 생각할 때 풍성해지고 달콤해진다. 달콤한 인생을 꿈꾸는 누군가에게, <무브 투 헤븐>을 추천한다 -

 

 


‘세상 모든 B급들을 위한 작은 시’ 글쓴이 - 김싸부

내가 글을 쓰는 것이 아닌, 글이 나를 쓰길 바라며, 오늘도 쓰는 사람 - 

 

*

'세상의 모든 문화'는 별도의 정해진 구독료 없이 자율 구독료로 운영됩니다. 혹시 오늘 받은 뉴스레터가 유익했다면, 아래 '댓글 보러가기'를 통해 본문 링크에 접속하여 '커피 보내기' 기능으로 구독료를 지불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보내주신 구독료는 뉴스레터를 보다 풍요롭게 만들고 운영하는 데 활용하도록 하겠습니다.

 

 

*
'세상의 모든 문화'는 각종 협업, 프로모션, 출간 제의 등 어떠한 형태로의 제안에 열려 있습니다. 관련된 문의는 jiwoowriters@gmail.com (공식메일) 또는 작가별 개인 연락망으로 주시면 됩니다.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세상의 모든 문화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2개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 안또진심

    0
    over 3 years 전

    친정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1년 후에 친정어머니 마저 돌아가셨어요. 두 분이 사시던 집을 정리하고 유품을 정리하던 때가 떠오릅니다. 그 밖에도 사회속에 제 삶 속에 있던 공식적인 부분에서 두 분을 지워내는 데 생각보다 많은 에너지를 쏟고 지쳐 쓰러졌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러고보니 그저 즐거움만을 얻고 싶은 매체에서 ‘죽음’을 또 마주하고 싶지는 않은 거 같긴합니다. 그럼에도 니가 거기서 나온다니… 어떤 내용일지, 정말 죽음이란 이야기를 통해 삶이 더 달콤하게 느껴질 수 있는 건지 궁금해집니다. 아직은 피하고싶은 작품이었는데 이 글을 읽으며 설득당했습니다. 오늘도 달콤한 인생을 꿈꾸는 저이기 때문입니다. 좋은 글 써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울러 좋은 작품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ㄴ 답글
  • 펄케이

    0
    over 3 years 전

    죽음을 늘상 생각하고 살아왔던 것 같아요. 아주 어린 시절부터 죽음은 내게 두려운 존재라기보다는 오히려 나의 고통과 두려움을 끝내줄 친구라고 생각해 왔던 것도 같아요. 사람들이 죽음을 두려워하는 이유를 이해할 수 없었어요. 결국 제가 죽음을 선택하지 않았던 건 죽음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 아니라, 남겨질 사람들의 슬퍼할 얼굴을 생각해서였던 것 같아요. 물론 지금은 그때 죽음을 선택하지 않아서 무척 다행이라고 매일 생각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소재에 유난히 끌리는 걸지도 모르겠습니다. 정말 감동적으로 본 무브 투 헤븐이었는데, 이 드라마가 존재하는 것에 대한 포인트를 정확히 짚어주시니 역시 감탄하게 됩니다. 좋은 글을 통해 좋아하는 드라마를 다시 한 번 되짚어볼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ㄴ 답글
© 2024 세상의 모든 문화

총 20여명의 작가들이 세상의 모든 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매일 전해드립니다.

자주 묻는 질문 서비스 소개서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사업자 정보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