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즈진

간짜장, 그 이름 속 숨겨진 이야기

2025.03.27 | 조회 92 |
0
|
NCHART의 프로필 이미지

NCHART

특별한 주제에 얽매이지 않고 N CH_ART와 함께하는 분들에게 나누고 싶은 여러 이야기를 콘텐츠로 제작합니다.

우리는 외식 메뉴로 종종 중국 요리를 선택한다. 그중에서 특히 짜장면은 평소에도 자주 먹지만 이삿날이나 당구장에 가면 짜장면이 마치 국룰처럼 친숙한 음식이다. 나는 항상 짜장면 중에서도 간짜장을 선택하는 편이다. 그러다 어느 날 나는 궁금증이 생겼다.

 

"왜 간짜장일까?"

 

혹시 '간'이 더 강해서 간짜장이라고 불리는 걸까? 그런데 간짜장의 가장 큰 특징은 일반 짜장과 달리 면과 짜장 소스가 별도로 나온다는 점이다. 이 소스가 바로 이 의문에 대한 힌트였다!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사전에서 간짜장을 찾아보니, -짜장(zhajiang)’이라고 나와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이 바로 마를 건()’이라는 한자라는 것이다. 이 단어를 보고 나는 당황스러웠다. 그렇다면 왜 건짜장이라고 부르지 않고 간짜장이라 부르는 것일까?

알고 보니 -’은 접두사 '-()'의 원말로, 일부 명사 앞에 붙여 '마른' 또는 '말린'의 의미를 더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간짜장'이란, 물을 적게 넣거나 아예 넣지 않고 볶은 짜장면을 의미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었다.

 

@헤이즈진
@헤이즈진

 

그렇게 생각해 보니 우리가 흔히 아는 간짜장, 즉 물기가 적고 진한 맛을 자랑하는 짜장면이 바로 이 간짜장이었다는 사실이 재미있었다. 간짜장의 유래를 알게 되면서, 나는 이 요리에 대해 한층 더 애착을 느끼게 되었다

또한, '-()'이 붙은 다른 단어들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가자미, 건과자, 건어물, 건포도와 같은 단어들은 모두 "마른" 또는 "말린"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이러한 단어들은 오랜 시간 동안 보관할 수 있는 음식들이거나, 특유의 맛을 자랑하는 요리들이다. '간짜장' 역시 그와 마찬가지로 볶아서 오래 두고 먹을 수 있는 특성이 있어, 이렇게 이름이 붙여졌다고 볼 수 있다.

이 작은 호기심에서 시작된 질문 하나가 음식 이름 속에 담긴 이야기를 알게 해주니, 그 음식이 더욱 특별하게 느껴진다. 이렇게 '우리 주변의 많은 것들이 생각보다 더 풍성한 이야기를 품고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스쳐 지나간다. 💡

 

말이 나온 김에 "오늘 저녁, 간짜장 콜?!!!"🍜

다가올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지금 구독해서 새로운 레터를 받아보세요

✉️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NCHART 님에게 ☕️ 커피와 ✉️ 쪽지를 보내보세요!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

확인
의견이 있으신가요?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 !
© 2025 NCHART

특별한 주제에 얽매이지 않고 N CH_ART와 함께하는 분들에게 나누고 싶은 여러 이야기를 콘텐츠로 제작합니다.

메일리 로고

도움말 자주 묻는 질문 오류 및 기능 관련 제보 뉴스레터 광고 문의

서비스 이용 문의admin@team.maily.so

메일리 사업자 정보

메일리 (대표자: 이한결) | 사업자번호: 717-47-00705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8층 11-7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정기결제 이용약관 | 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