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重그룹, '스마트 조선소' 구축 성큼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등 현대중공업그룹 조선 계열사는 최근 디지털 기반의 조선 미래전략인 'FOS(Future of Shipyard) 업무 보고회'를 갖고, 2차 연도 사업에 본격 착수했다고 5일(화) 밝혔다.
현대중공업 한영석 부회장과 이상균 사장, 김재을 안전생산본부장 등 그룹 경영진 20여명은 총 190여개의 추진계획을 점검하고 협력방안을 모색했다. 특히, △다수의 용접기에서 가동 정보를 수집·분석하는 '용접모니터링 시스템(현대중공업)' △검색엔진처럼 사내 기술·설계 정보를 간편하게 조회하는 '지식자산 플랫폼(현대삼호중공업)' △비대면 품질검사가 가능한 '원격검사 플랫폼(현대미포조선)' 등 10여개의 디지털 기술들이 우수한 효과를 인정받아, 전 계열사로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현대중공업그룹은 디지털 지도 위에 선박을 클릭하면 건조 현황과 온실가스 배출량 등을 시각적인 정보로 제공하고, 크레인과 지게차를 비롯한 동력장비까지 모니터링하는 가상 조선소(Digital Twin)인 '트윈 FOS'를 내년 상반기까지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눈에 보이는 조선소(~'23) △연결되고 예측 가능한 최적화된 공장(~'26) △지능형 자율운영 조선소(~'30) 등 3단계에 걸친 FOS를 적극 추진하며, 조선 계열사를 스마트 조선소로 전환하는데 박차를 가한다.
2030년에는 선박 설계부터 인도까지 모든 공정에서 시뮬레이션 검증(CPS)을 통해 불필요한 공정 지연과 재고를 줄이고, 최신 스마트 기술과 로봇으로 사람 개입이 최소화되는 조선소를 운영할 예정이다. 이로써 현대중공업그룹은 △생산성 30% 향상 △공기(리드타임) 30% 개선 △낭비 제로(0) 등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대우조선해양의 업그레이드 스마트십 기술력 공식 인증
대우조선해양은 자체 개발한 스마트십 기술인 “DSME 기자재 상태진단 솔루션”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로부터 이분야 최고 등급인 GS(Good Software) 1등급 인증을 획득했다고 11일 밝혔다.
대우조선해양의 기자재 상태진단(Condition Based Monitoring & Maintenance) 솔루션은 선박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고 안전운항능력을 강화한다. 먼저 인공위성통신을 활용해 해상에서 운항 중인 선박의 각종 장비에서 운전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육상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이때 주요 장비와 기자재의 결함 등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고 이를 시정할 수 있도록 최적의 해결 방안을 제공한다. 이로써 선주는 선박 내 주요 장비의 문제를 조기에 감지해 그에 따른 예지 정비와 유지 보수, 재고 관리 효율을 높여 보다 안전한 선박 운항을 꾀할 수 있게 된다.
대우조선해양 중앙연구원장 최동규 전무는 "이번 기자재 상태진단 기술 확보로 자율운항선박 실현에 한 걸음 다가설 수 있게 됐다."며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되고 있는 대우조선해양의 스마트십 솔루션은 선주들에게 실익을 안겨 주고, 수주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대우조선해양은 업계 최초로 LNG-FSU 2척에 이 솔루션을 적용하고 있다.
대한항공, 도심항공교통(UAM) 운항시스템 개발협약 체결
대한항공은 4월 11일(월) 국토부가 주관하는 UAM 감시정보 획득체계 연구개발에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UAM 환경에서 운항사에게 필요한 ▲운항통제시스템 ▲운항사 모의시스템을 개발한다.
운항통제시스템은 운항사가 비행계획, 비행감시 및 스케줄 관리에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기상, 공역, 통신, 버티포트(Vertiport) 등 운항을 위한 부가정보까지 제공한다. 운항사 모의시스템은 비행준비단계부터 비행 종료까지 전과정을 모의하는 시스템으로 UAM의 안전운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대한항공은 무인항공기 통합관제시스템(UMS, UAS Management System) 개발 및 비행 과정 전반에서의 안전한 운용을 위한 기반 구축을 선도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UAM의 비행계획 승인, 비행 모니터링, 비상 상황 대응 등 교통 흐름을 종합적으로 관리해주는 시스템인 교통관리사업자용 ‘교통관리시스템’도 개발하고 있으며, UAM 생태계 전반을 가상으로 구현한 디지털트윈(Digital Twin) 구축도 추진해 나가고 있다.
레이저폭발물제거장비 체계개발 추진
방위사업청은 '22.3.24.(목) 제56회 방위사업기획·관리분과위원회에서 "레이저폭발물제거장비 사업추진기본전략(안)"을 심의·확정하였고, 이어서 기획재정부, KIDA 등 관련기관과 협의하여 사업타당성조사를 착수, 예산 반영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레이저폭발물제거장비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불발탄, 유기탄 등을 제거하기 위한 무기체계로 국내 연구개발(체계개발)로 획득하는 사업이다. 전·평시 위협이 되는 폭발물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신속하게 제거가 가능하고 차량에 탑재하여 신속성, 기동성, 안정성 측면에서 기존 처리방식보다 뛰어나며, 레이저를 이용한 폭연(爆燃)작용을 통해 폭발물을 무능화하여 부수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지난 2011년 신개념기술시범사업(ACTD) "레이저를 이용한 폭발물처리기('11.07~'15.04)" 과제를 통해 두산DST(現 한화/방산)에서 레이저폭발물처리기를 개발한 바 있으나, 2013년에 단계전환불가 평가를 받고 사업이 취소되었다. 현재 한화는 레이저대공무기(Block-I)의 광섬유 레이저 기술을 바탕으로 출력 0kW의 레이저를 소형전술차량에 탑재하여 불발탄 및 근거리 드론요격이 가능한 레이저폭발물처리기를 제안하고 있으며, 본 체계개발 사업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방위사업청 기동사업부장은 "레이저 기술을 활용하여 폭발물을 제거하는 무기체계를 국내 기술로 획득하는 최초 사업으로 체계개발을 통해 개발한 주요 기술들은 향후 다양한 무기체계에 적용 가능할 것이며, 해당 무기체계의 전력화가 완료되면 폭발물 전담부대의 생존성 향상은 물론, 전·평시 작전간 효율적인 폭발물 제거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레이저폭발물제거장비는 '23년 개발업체를 선정하고, '27년까지 개발하여 육·해·공군 및 해병대 폭발물전담부대에 전력화될 예정이다.
풍산 방산기술연구원 소식
램제트(Ramjet)탄 개발 위해 국방과학연구소, 카이스트 협의
3월 25일 램제트 탄약 개발 논의를 위해 국과연 및 카이스트 일행이 안강사업장을 방문했다. 일행은 복합화약시설을 비롯해 내년도 양산예정인 신형사거리연장탄 생산시설 공사현장을 견학했다. 연구기획팀장 이상심 부장은 "램제트탄약은 풍산의 미래 사업 중 하나로, 본격적인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스페인 EXPAL Systems社 내방 탄도수정신관 사업화 논의
3월 21~24일 스페인 방산업체 EXPAL Systems社 일행이 탄도수정신관 사업화 협의를 위해 안강, 방산기술연구원, FNS를 방문했다. EXPAL社는 R&D 현황과 사업화 방안을 제시하고 안강과 FNS 생산시설을 견학했다. 대표단은 "풍산의 탄약 일관생산시스템과 자동화 가공라인이 인상적이다"라고 전했고, 이후 신관 개발과 제조 사항을 협의했다.
분산매질탄두 핵심기술개발사업 CDR-II 개최
방산기술연구원은 3월 31일 국방과학연구소 주관 분산매질탄두 상세설계검토(CDR) 회의에 참석했다. 강력한 열과 압력을 발산하여 목표물을 제압하는 무기체계 개발이 목적이며, 관련기관은 탄두 설계/제작 및 분산특성 성능 확인시험 등 실적 점검을 통해 세부 시제설계안을 확정했다. 향후 연구원은 2023년까지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다.
정전탄 비행시험 등 계획 점검
방산기술연구원은 3월 31일 방위사업청 주관 정전탄 체계개발사업회의(PMR)에 참석했다. 연구원과 방사청 등 관련기관은 탄두조립체 설계/제작현황 및 자체 성능시험 결과를 점검하고, 국방과학연구소 주관 비행시험 등 계획사항을 검토했다. 향후 연구원은 2025년 양산단계까지 시제제작과 각종 기술시험 등 계획된 사업일정을 차질없이 수행할 계획이다.
초장사정 화력체계과학기술그룹회의, 기술현황 공유
방산기술연구원은 3월 29일 육군 포병학교 주관 2022년 1분기 초장사정 화력체계 과학기술 그룹회의에 참석했다. 방사청, 포병학교 등 관련기관은 정밀유도, 사거리 증대 및 고위력 화력체계 관련 국내외 주요 기술개발 현황을 공유했다. 연구원은 산학연 전문 연구위원으로서, 화력체계 발전방안을 논의하고 미래 소요전력 제안 활동을 지속할 예정이다.
한화시스템, 생산성경영시스템(PMS) 레벨8 획득
한화시스템은 생산성경영시스템(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 이하 PMS) 인증 심사에서 국내 최고 등급인 '레벨8'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PMS '레벨8'은 환경 변화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경영시스템을 갖춘 기업에게 부여되는 최상위 등급이다.
한화시스템은 지난 3월 15일부터 18일까지 한국생산성본부의 PMS 인증 현장 심사를 받았다. 이번 심사에서 전체 7개의 항목 중 ▲리더십 ▲혁신 ▲고객 ▲측정·분석 및 지식관리 ▲인적자원 ▲프로세스 등 6개 항목에서 레벨8 이상을 획득했다. 특히, 저궤도 위성통신 및 UAM 등 미래성장 전략에 따른 가치실현 프로세스 구축과 방산 부문 수출시장 확대를 위한 체계적인 고객관리, 방산 부문과 ICT 부문의 시너지 극대화 등에 노력을 기울인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어성철 한화시스템 대표이사는 "한화시스템이 글로벌 시장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가진 경영환경을 구축하고 있음을 PMS 레벨8 획득으로 인정받았다"라며, "한화시스템이 보유한 초연결·초지능·초융합 사업역량을 바탕으로, 더욱 민첩하고 혁신적인 경영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BAE Systems, 美 공군 고주파 무전기 성능개량 사업 수주
BAE Systems는 미 공군 "공중 고주파 무전기 성능개량 사업 (AHFRM, Airborne High Frequency Radio Modernization)"을 성공적으로 수주했다고 밝혔다. 미화 1억 7,600만 달러 (한화 2,150억원) 규모의 본 계약은 FlexRadio와의 협업 하에 수행되며, 위성 통신이 제한되는 환경에서도 운용 가능한 비화 통신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데이브 로건(Dave Logan) BAE Systems C4ISR 사업본부장 겸 부사장은 "당사의 항공 무전기는 확장성을 갖춘 개방형 아키텍처로 설계되어 미 공군의 미래 소요에 최적화된 솔루션"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로건 부사장은 "진화하는 위협을 마주하게 될 현대의 전장에서는 BAE Systems의 무전기가 제공하는 확장 가능한 최신형 항재밍 솔루션이 필요하다"고 더했다.
AHFRM 솔루션은 항재밍 능력을 갖춘 초수평(Over-the-horizon) 통신을 제공할 것이며, FlexRadio의 상용 기성품을 최대한 활용하고 기존 장비와 호환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확장성, 모듈형 설계, 충분한 용량을 통해 미래의 추가 성능개량 소요 및 작전적 요구사항을 충족하게 될 것이다. AHFRM 개발은 인디애나주 포트웨인(Fort Wayne, Indiana)에 위치한 첨단 연구∙생산 시설에서 이뤄질 예정이다.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