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최근 발표한 자료에서 회원국 중 한국의 공적 연금 보험료율이 리투아니아를 제외하면 앞으로 가장 낮을 것으로 예상됨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연금 개혁을 하지 않으면 50년 뒤 한국의 나랏빚이 GDP의 2배까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경고를 발표했습니다.
국제 통화기금(IMF)의 ‘2023년 한국 연례 협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9.0%로 OECD 35개국 공적연금 보험료율 평균인 18.0%에 비해 절반 수준임을 밝혔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한국의 공적 연금 지불 능력이 크게 악화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또한, 예측에 따르면 50년 뒤 한국의 정부 부채 비율은 현재 수준의 3배까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앞으로 한국이 다양한 경제적 부담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지금 뭐가 문젠데?
연금과 연관된 소득 대체율은 근로기간 동안 벌었던 월 평균 연봉을 기반으로, 노후에 받는 월 평균 연금과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현재 2023년에는 이 소득 대체율이 42.5%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근로 기간동안 평균 월급이 100만원이라면, 연금으로 월 42만 5천원을 받게 됩니다. 그러나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소득대체율이 70%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한편, 대한민국의 국민연금은 2041년부터 보험료 납부를 초과하는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며, 2055년에는 기금이 고갈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현재 태어난 아기가 연금 수급자가 되는 70년 후에는 국민연금 재정적자 규모가 773조원에 이를 것으로 정부의
공식 전망에 나와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인구구조를
고려한 연금 개혁이 적절한 대안으로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 연금 제도의
문제점 및 그 해결 방안은?
인구 절벽과
연금 제도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는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국민 연금 제도의 설계와 관련하여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
재정추계전문위원회(이하 추계위) 분석에 따르면, 70년 뒤인 2093년에는 국민연금 기금의 적립액이 최소한 그해 연금 지급액만큼 남아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보험률을 약 18.0%선까지 높여야 한다는 예측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보험료율의 인상은 국민들의 조세 부담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인구 절벽과 출산율 하락 등의 요인으로 인해 보험료율은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구 절벽 상황에서 계속해서 보험료율을 인상시키는 방향으로만 전략을 구성한다면, 연금 제도는 현재 문제를 미래 세대에게 떠넘기는 방식으로 변질될 수 있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최소한 미래 세대에 더 이상의 부채를 전가하지 않는 수준까지라도 보험료율을 높이는 연금 개편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연금 제도의 지속 가능성과 미래 세대의 부담을 고려하여 보험료율을 인상시키는 연금 개혁이 필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균형 있고, 지속 가능한 연금 제도를 구축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입니다.
댓글
의견을 남겨주세요